메인로고

토론방

송국리형 주거지에 대해

2001-05-18 00:00:00
조회 322
저는 개인적으로 송국리형 주거지에 많은 관심이 있는 고고학도 입니다. 하여 송국리형 주거지 뿐만아니라 송국리유형(선송국리 단계 포함)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하고있습니다. 1. 송국리형 주거지에 대한 남한지역의 밀도를 살펴보면, 서해안 변에 밀집하고 있다는 느낌을 바로 갖게 합니다. 특히 보령, 서 천, 금강하류, 고창·영광, 그리고 영산강유역의 지류를 따라 유 적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들 대부분은 대규모 건설공사 과정에 서 확인된 유적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유적의 밀도는 그 이상 이 될 것입니다. 잘 아시다시피 주암댐 건설로 인한 제유적과 남강댐 건설에 따 른 제유적, 그리고 대구 동천동유적 등 어느 일정지역에서의 유 적의 밀도는 앞으로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다는 것 을 암시해주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아직 많은 유적이 있겠지만, 제가 검토한 바로는 대부분의 송국 리형 주거지의 밀도는 수계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것이 아닌가 생 각됩니다. 이러한 수계별 검토에서 주거지유형이 어느정도 패턴 화(제 개인적인 생각일수도)되고 있지 않은가 하는 생각을 해 보 았습니다. 그래서 각 수계별끼리에서도 어느정도 연계성이 나타 나는 것 같으며 서로간에 교류 등을 상정해 볼 수 있는 자료도 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송국리형 주거지는 남한지역에서만 나타나고 있는데, 유적수는 대략 70여 곳 정도 되고, 송국리형주거지 수는 공식적 인 것은 아니지만 남강댐에서 조사된 것과 제주 삼양동, 그리고 대구 동천동 등의 유적을 합하면 대략 800∼900기 정도가 될 것 으로 추산됩니다. 이러한 주거지의 분포에서는 소규모의 취락이 있는 반면에 분지나 충적대지, 그리고 야트막한 구릉의 정상부 를 중심으로 대규모의 취락을 형성하는 것같습니다. 2. 대구동천동 유적의 성격에 대해서는 앞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린다면 저의 견해도 송 만영선생님과 같다고 봅니다. 동천동의 주거지는 송국리형 주거 지의 변화형으로 보여지며 지역색을 가지면서 변천된 것으로 보 여집니다. 또한 그 시기는 송국리형단계에서 늦은 단계가 아닐 까 생각도 해봅니다. 동천동 유적은 주지하다시피 대규모의 주거 지가 조사되었는데, 주거지 내부에서 나타나는 타운형 구덩이와 주공의 장축방향이 각각 2종류로 구분됨은 제 24회 고고학대회에 서 이야기된 바 있습니다. 저의 생각으로는 동천동에서 송국리 형 주거지의 공간적 분석은 이러한 장축방향과 주거지의 분포밀 도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러한 타원형 구덩이와 주공의 장축방향은 송국리형 주거지의 상부구조 중 도리의 방향 과 관련된다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이 도리의 방향은 방형주거 지 일 경우 등고선의 방향을 따라 축조되며, 원형일 경우에는 등 고선을 따라서, 정상부쪽에서는 능선을 따라서, 그리고 충적대지 나 평지에서는 일정한 방향을 선호하면서 밀집하고 있는 것같습 니다. 이것은 취락내에서 건물의 공간적인 배치와 관련이 있기 때문으로 생각됩니다. 3. 송국리형 주거지의 분포와 대구 동천동유적을 연관지어 살펴 볼 때, 지형적인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대 구 동천동은 낙동강유역의 중류역에 위치하고 있는데, 제가 알아 본 바에 따르면 이지역에는 동천동과 성동유적이 자리합니다. 그 러나 중류이상, 상류지역에서는 아직까지 조사된 예가 없습니 다. 그리고 황강유역이나 남강유역으로 내려가야 유적이 분포하 고 있습니다. 이는 구제발굴의 한계로 인하여 아직 발견예가 없 을 수도 있겠지만, 앞으로 김천-성주-칠곡-성주 등지에서 조사 될 가능성과 고령·달성·창령지역 등 중류역을 따라서 조사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호남동부 내륙지역과 황강 유역·남강유역간의 연계성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4. 송국리유형과 선송국리유형의 문제는 앞으로 많은 연구자들 에 의해 풀려가겠지만, 저는 영남지역의 무문토기문화의 전통 성, 즉 보편성에 대해 관심을 두고싶습니다. 이 문제는 더 생각 해 보겠습니다. 앞에서 송만영선생님께서도 언급하신 부분이지 만, 송국리형 주거지의 대체적인 양상도 남쪽으로 갈수록 늦어진 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와 함께 변화형도 많이 생겨나게 되구 요. 특히 타원형구덩이가 얕아지는 등 간략화 혹은 생락화되는 경향을 보이는 듯합니다. 남한지역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하는 이금동이나 여수 화장동 등 은 앞으로 북구주지역이나 제주도로의 전파경로를 설명해주는 주 요 유적으로 생각되며 남해안 일원에서 많은 유적이 발굴될 것이 라고 생각됩니다. 일천한 지식으로 몇가지 의견을 내놓았지만, 비약된 부분도 없 지 않아 있습니다. 많은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94개(4/5페이지)
 
토론방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34 시대에 대한 개념부터 안승모 742 2001.10.05
33 제25회한국고고학전국대회 예비토론-한국 농경문화의 형성- 안재호 1053 2001.09.17
>> 송국리형 주거지에 대해 이종철 323 2001.05.18
31 개성 지역 조사에 대한 의견 유용욱 406 2001.05.18
30 일본의 구석기 유물 발굴 조작 사건을 보고 이선복 1208 2001.05.18
29 카미타카모리 유적 사건에 대한 일언 장용준 717 2001.05.18
28 탤런트 유인촌씨의 명예고고학자의 추대 김상일 1885 2001.05.18
27 풍납토성 현장설명회 기사건을 읽고 이민석 435 2001.05.18
26 풍납토성과 경주경마장 권오영 527 2001.05.18
25 풍납토성과 경주경마장 권오영 414 2001.05.18
24 한번 생각해 봅시다 최완규 1173 2001.05.18
23 한중일 고고학 용어사전을 만들면 안춘배 642 2001.05.18
22 송국리형 문화의 공간과 시간에 대하여 이청규 350 2001.05.18
21 송국리유형의 지역적 분포 송만영 303 2001.05.18
20 유물의 검토를 바랍니다 안재호 293 2001.05.18
19 선송국리유형의 실체 송만영 724 2001.05.18
18 토론의 참여를 부탁합니다 안재호 347 2001.05.18
17 제 생각은요 ... 김재호 338 2001.05.18
16 송국리유형의 분포 송만영 653 2001.05.18
15 송국리형주거지의 분포 旅人 356 2001.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