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토론방

유물의 시간성에 대한 해석

2001-05-18 00:00:00
조회 540
송만영님, 旅人님, 이종철님, 김재호님, 이청규님의 글 잘 읽었 습니다. 질문과 검토사항에 대하여 정확히 설명드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송국리문화의 분포와 시간성에 대하여 여러 견해와 해석은 충분 히 제 자신이 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나, 문제의 걸림돌은 시간성인 것 같습니다. 각각 다른 지역의 송국리문화를 어떻게 시간상으로 관계(병행관 계)를 맺는 것이 좋을까요. 유구와 유물이 있지만, 주거지의 경우는 최근 연구에서 보듯이 휴암리형(검단리형), 송국리형으로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밀도 가 낮은 영남동부지역의 검단리형을 송국리형보다 늦을 수도 있 다고 보아야 할까요. 유물에 있어서도 서남지역의 토기와 석기와 같은 형식의 동남지 역 유물을 늦다고 봐야 할까요. 특정 형식들의 조합이 서남지역의 유적에서 그리고 동남지역의 유적에서 같이 출토된다면 같은 시기로 보는 것이, 현 연구의 진 행상 문제 해결에 좋은 방법이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전파의 과 정이 있었다고 한다면 늦고 빠른 시간 차이는 당연히 있을 것입 니다만, 그 시간적 차이라는 것이 특정형식의 존속기간보다 크다 고 볼 근거는 아직 없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오히려 각지역마다 자체의 편년안이 유구와 유물로써 만들어지 고 그것을 타지역의 편년체계와 비교하여 시간적 병행관계를 찿 는 것이 옳바를 것입니다. 원형점토대도기와 송국리토기가 공반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송국 리식토기의 개념을 넓힌다면 늑도유적에서도 이와 유사한 것은 있습니다. 원형점토대토기와의 공반은 당연한 것이지요. 제주도 와 같이 경주의 피막유적의 포함층에서도 출토된 바가 있습니 다. 송국리식토기의 시간성은 최소한 공열문계토기의 끝에서 점 토대토기의 시작까지 존속한다고 본다면 남은 과제는 송국리식토 기의 세분화된 편년에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한강유역의 중기문화는 어떻게 인식해야 할지는 아직 모릅니다. 이 지역에 송국리문화가 확산되지 않았다고 본다면, 이백규교수 님의 중부지역의 편년이 참고가 될 것입니다. 공열문에서 점토대 토기로의 이행입니다만, 순수공렬문토기의 일부가 중기로 설정 될 수 있는가는 강원도지역과 함께 검토할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아무래도 석기의 연구가 따라야 할 것입니다. 토기는 소비와 간련된 용기에 불과하기 때문에 지역색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생산과 직접 관련된 석기나 금속 기의 경우는 지역을 초월하여 보다 광범위한 제일성을 띤다는 점 은 신석기시대나, 역사시대의 자료로써도 방증될 수 있습니다. 굳이 지역간의 시간성을 따진다면 석기에 대한 구체적이고 알기 쉬운 방법이 제시되어야 할 것입니다. 다소간의 자료 검토가 필요합니다. 저의 견해에 대해서는 문제 만 남긴채 잠시 떠나고자 합니다. 충분히 여러분의 지적을 수용 하고 중요한 숙제로 간직하겠습니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94개(5/5페이지)
 
토론방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14 개성청사진에 유적이 없다 송기호 393 2001.05.18
13 개성 지역 조사에 대한 의견 운영자 520 2001.05.18
12 김재호선생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과 질문 송만영 548 2001.05.18
11 저의 의견 김재호 458 2001.05.18
10 근거에 대한 보충 설명을 이종철 539 2001.05.18
9 질문에 대한 소견 이종철 374 2001.05.18
8 보충설명 및 질문 김재호 379 2001.05.18
>> 유물의 시간성에 대한 해석 안재호 541 2001.05.18
6 송국리형 주거지의 분포 김재호 493 2001.05.18
5 경주 경마장 유적 보호 문제 운영자 580 2001.05.18
4 풍납토성 발굴책임자로서 권오영 579 2001.05.18
3 풍납토성 토론방 : 학술단체 성명서 운영자 742 2001.05.18
2 부연설명과 더불어 이종철 446 2001.05.18
1 송국리문화의 편년(편년법의 논의) 송만영 559 2001.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