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보고서

佳橋理陶器窯址

1999-11-30 00:00:00
조회 1067
V. 조사결과의 종합 본 가교리 통일신라 가마 유적은 충남 공주시 사곡면 가교 리 산 41-5번지에 위치하며, 공주시의 중심부에서 서북쪽으 로 약 18km의 거리에 위치한다. 유적은 가교리 마을 뒤쪽 에 있는 남동향 사면, 해발 약 145m지점에 위치하는 바 이 곳은 산의 중단까지는 밭으로 개간되어 있고, 그 하단에 마 을이 형성되어 있다. 요지가 위치한 곳은 경작지와 임야가 접하는 곳으로, 산사면의 중상단에 해당한다. 이곳은 통칭 마곡사 계곡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유적이 위치한 지역에 서 북으로 산등성이를 하나 넘으면 마곡사라는 고찰이 있 다. 더불어 이 지역은 일찍부터 온천개발부지로 예정되어 있었고, 본 조사지역도 마곡온천 개발지역으로 불린다. 개발에 앞서 지표조사가 이루어졌고, 그 과정에서 지표면 에 소토 및 토기편의 산포가 확인되어 가마로 추정하였으 며, 정확한 유적현황 파악을 위해 시굴겸 발굴조사를 진행 한 것이다. 조사는 해당범위가 넓지 않기에 일단 시굴성 피 트 조사를 진행하였고, 가마 1기와 관련시설만이 확인되어 전면조사를 아울러 진행하여 조사를 마무리하였다. 확인된 유구는 소형의 요지 1기와 요지를 운영하면서 형성 된 폐기장 2지점 그리고 성격이 불분명한 불에 탄 유구 1 기 및 석축 유구가 있다. 더불어 요지를 운영하면서 남게 된 다량의 도기편이 수습되었는데 재질이나 기종면에서 매 우 단순한 것들이다. 요지는 조사구역의 북단구역에 위치한다. 산림지역에 인접 해 있는 경작지로, 산지와 개간된 경작지는 약간의 단을 이 루듯이 되어 있고, 그 사이에 민묘가 위치하며, 조사범위 의 모서리부분에서 연소실의 일부가 노출되었는데 소성실 은 조사범위에서 벗어나는 상단부에 위치한 민묘 쪽으로 해 발 141.2~143.4m에 해당한다. 요지는 경사방향에 맞추어 지 하로 조성된 것이고 연소실과 상면 지붕을 꾸몄던 석축이 일부 무너진 것 이외에는 요 전체가 잘 남아있다. 연소실 과 煙道를 잇는 요의 장축은 등고선 방향과 직교하는 북서- 남동(N-20도-W)방향으로 배치되었고, 지하식으로 경사면에 잇대어 만든 등요인데, 연소실에서 소성실까지 전체길이는 430cm이며, 소성실 최대 너비가 150cm정도의 소규모이다. 窯前部,연소실, 소성실, 연도부로 구분된다. 窯前部는 처음 요를 구축할 때 구릉사면을 굴착하면서 절개 된 掘坑부분으로 溝의 형태로 요지의 남쪽으로 장축방향과 일직선상에 위치시켜 길이 700cm, 너비 70cm로 단면이 [U] 자 형태로 파여져 있으며 최대깊이는 50cm정도이다. 이는 연소실 내부에서부터 시작되는데 형상으로 미루어 배수로서 의 기능도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구와 연소실이 연결되 는 부분에는 배수구형태의 석축시설이 있는데, 너비 10- 20cm정도로 파고 그 위에 20cm내외의 판석형 개석을 덮어놓 았다. 연소실은 길이 230cm, 잔존높이 90cm의 규모이다. 바 닥은 거의 편평하고 소성실, 요전부와 이어지는 부분이 약 간 좁아진 즉 연소실의 가운데가 최대의 너비를 지닌 편구 형의 형상이다. 연소실의 벽면은 비스듬히 밖으로 경사를 두면서 올려져 있는데 바닥에서 50cm의 높이에 20-30cm너비 의 단을 시설하고, 그 위에 1열의 석축이 남아 있는데 보 다 위쪽은 유실되어 상부구조가 정확하지는 않다. 연소실 의 바닥중앙에서 부터 너비 10cm가량의 구가 시설되어 이것 이 요전부까지 이어진다. 火門은 연소실과 소성실의 경계지 점에서 좌우의 양쪽 벽면에 돌을 세워 좁힘으로써 불길을 모아주는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현재는 오른쪽 하 단에만 석재가 남아있다. 소성실과 연결되는 화문의 일부분 까지는 바닥면에 얇은 판석재를 부석하였다. 소성실은 연소 실과의 경계지점에서 일부 천장이 무너진 것 이외에는 거 의 원상태로 남아 있다. 천장에 인접한 곳은 비어 있는 것 으로 볼때, 폐기될 당시 내부는 일부가 비어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소성실의 바닥평면은 타원형이며, 길이 200cm, 최대너비 150cm, 높이 90cm이고 바닥면의 경사도는 24도 이다. 벽은 바닥면과 벽선이 만나는 변곡점부터 곡선을 이 루어 전체 단면은 반원형이고, 연도부에 연결된 부분은 단 면이 궁륭상이다. 바닥에는 소성실 북쪽 벽체에서 90cm정 도 떨어진 지점부터 연소실쪽으로 150cm가량 20×40cm의 판 석이 부석되어 있다. 소성실의 내부는 천장과 벽면이 높은 화도로 인해 유리질화 되었으나 균열이 심한 부분도 있다. 단면상에서 확인되는 불맞아 달구어진 부분은 10cm내외의 두께이다. 연소실에서 소성실로 이어지는 부분에 무단식으 로 바닥의 경사만 달리하고, 연소실의 화문부터 소성실의 3/1지점에 이르기까지는 너비 10-20cm의 판석형의 석재가 부석되어 있다. 연도부는 소성실의 북쪽 벽체의 상단 즉 천 장에서 돔형태로 너비를 좁혀서 만든 것이다. 연통의 직경 은 40cm이고 소성실 바닥에서 136cm, 천장에서 연도부 상면 까지의 길이는 46cm이다. 소성실의 가장 안쪽부분에서 약간 의 곡면을 이루며 축소되어 지상으로 비스듬하게 뚫려 있 다. 연도부 상면은 석재를 돌려 배치하였고, 그 위에 커다 란 도기의 바닥편을 덮었다. 한편 폐기장은 요지와 관련된 것으로 요지의 하단쪽에 지름 이 550cm정도의 범위로 부정형한 원형의 평면을 지닌채, 불 탄 흙과 재, 그리고 토기편이 뒤섞인 형태로 노출된 것이 제1폐기장이고, 2호 폐기장은 조사도니 요의 좌측에 위치하 며 요와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는 것이다. 이 2호 폐기장 은 남-북을 장축으로 길이가 400cm정도의 범위로 남았고, 동-서 간의 너비는 270cm로 전체적 평면이 타원형이다. 이외에 불땐 유구는 조사지역의 중간에서 약간 서쪽으로 치 우친 구역인 지형적으로 골짜기 형상의 지형에 있으며, 평 면형태는 T자형으로 장축이 N-26도-E이고 길이는 240cm인 데 너비는 넓은 곳이 180cm, 좁은 곳이 110cm이다. 측면의 가장자리에 점토를 덧발라 가열하면서 형성된 소토가 쌓여 있는 상태였다. 소토층 아래에 앞에서 언급한 아궁이 화문 형상의 2열 석렬이 50cm 폭으로 있다. 그 가운데에 목탄이 비교적 양호하게 남아 있다. 그리고 적석 유구는 폐기장 2 에서 경사면 위쪽인 북방에 자리한 것으로 4m정도의 거리 에 위치하나 등고선 방향과 나란하게 2m의 길이에 경사방향 에 따라 1m의 너비로 부석형태만 확인될 뿐이다. 수습된 유물은 도기편 이외의 것은 전혀 없으며, 도기편들 도 기종이나 내용에서 매우 단순함을 보인다. 다만 일부는 와질성이면서 적갈색조의 것도 있으나, 요를 운영하면서 초 벌구이 후에 폐기된 것에 불과하다. 전체적으로 소성도가 매우 높아 그릇의 표면에 대부분 자연유가 형성되어 있으 며, 기종은 복원되는 것이 없어 자세하지 않지만, 굽 있는 항아리라던가 장경호 혹은 작은 발형의 기종, 그리고 병형 기종 등이 확인된다. 표면에 원점문이 시문된 것도 일부 확 인된다. 가교리 요지는 그 조성시기가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 후반 의 것으로 추정되는 것이다. 절대년대를 추정할 수 있는 시 료가 있지만 그 결과는 아직 확인할 수 없는데, 우선 수습 된 유물로 미루어 그렇게 추정한다. 즉 수습된 도기편들은 시기적 편차가 크지 않으면서,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 형상 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 기종에서 구연의 발달정도나 문 양, 그리고 굽의 형상에서 당시의 토기 중에서는 비교적 발 달된 형상을 보이면서 일부 병형의 기종에서 오히려 고려시 대의 토기병 형상의 것도 있음에서 일단 통일신라시대에서 비교적 늦은 시기의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통일신라시대의 유적으로 이 가교리 요지의 의미는 적 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금강유역의 대부분 유적이 백제 시대에 초점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영세성을 면치 못하였 던 통일신라시대의 유적이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나아가 생 활유적과 밀접한 관련을 보이는 요지가 확인되었다는 점에 서 그러하다. 사실 충남 공주지역은 백제이후 신라의 중앙 정부에서 매우 중시한 지역이라는 것은 이 지역에 웅천주 의 치소를 마련하고 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그럼에도 이 시기 유적은 백제 유적과 겹쳐 있는 공산성 유적, 정지 산 유적, 그리고 일부 보통골 고분군 등의 분묘 유적 등에 국한되어 그 상대적 열악상이 두드러진 상태였다. 물론 이 러한 유적의 형성에 대한 배경은 조사의 미비에 기인한 바 가 많을 것이다. 가교리 유적 조사의 또 다른 의미는 통일신라 요지의 형상 을 확인하면서 다양한 요지 내용을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즉 가교리 요지가 소성실과 연소실간에 무단식으로 이루어 졌다든가, 요전부에 구가 시설되면서 연소실의 바닥에서 구 까지 바닥에 부석이 이루어진 것은 이 시기 요의 내용으로 서는 비교적 주목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동형의 요가 신 라지역에서 확인되지만 중서부 지역에서는 다소 이례적인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77개(7/9페이지)
 
보고서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57 상주 용담리유적 운영자 720 1999.11.30
56 상주 청리유적(XI) 운영자 808 1999.11.30
55 울산시상수도사업 편입부지내 시굴조사(1차) 운영자 660 1999.11.30
54 서해안고속도로 건설예정지역 지표조사보고서 운영자 718 1999.11.30
53 포천 성동리 마을유적 운영자 695 1999.11.30
52 상주 낙상동사지 ,추정 안빈원지 운영자 704 1999.11.30
51 김포 장기지구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운영자 703 1999.11.30
50 대구 팔거산성 지표조사보고서 운영자 864 1999.11.30
49 용산성 동문지 정밀지표조사 운영자 745 1999.11.30
48 김해 화목동 유적 보고서 발간 안승모 897 1999.11.30
>> 佳橋理陶器窯址 운영자 1068 1999.11.30
46 천안 백석동 택지개발지구 시굴조사보고서 운영자 1061 1999.11.30
45 斗井洞유적 운영자 1019 1999.11.30
44 寬倉里유적(본문) 운영자 1064 1999.11.30
43 石谷里유적 운영자 1050 1999.11.30
42 南村里유적 운영자 960 1999.11.30
41 寬倉里유적 운영자 928 1999.11.30
40 龍院里고분군 운영자 1026 1999.11.30
39 영광 모악산 불갑사 지표조사 보고서 운영자 1231 1999.11.30
38 경주 남산 장창곡 新羅瓦窯址 운영자 1089 1999.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