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학위논문

남해안의 신석기시대 석부에 대한 일고찰

1999-11-30 00:00:00
조회 1261
국문요약 지금까지 남해안을 비롯한 남한의 신석기시대 연구는 토 기 형식을 중심으로 한 편년 연구에 지나치게 치중하였고, 토기 이외의 자료에 대해서는 자료의 소개 정도에 불과했 다. 최근 도구조합을 통해 신석기시대의 생업을 복원하려 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이러한 연구에 앞서 도구의 형 태나 기능에 대한 기초적인 검토가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 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도구 검토의 일환으로서 남해안의 신석 기시대 석부를 검토하고자 한다. 양적, 질적으로 비교적 풍 부한 남해안의 신석기시대 도구 중 석부는 굴지구, 보습, 또는 목재가공구 등의 여러 형태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러 한 기능에 대해서는 검토된 바 없다. 석부의 기능은 출토 유적의 성격과 공반유물이라는 출토맥락을 통해 추정해 보 고자 한다. 우선 기능과 관련되었으리라 추측되는 석부의 속성-제작방 법, 평면형태, 인부형태, 크기-을 검토하고, 자주 결합되 어 나타나는 속성조합을 살펴보았다. 석부는 제작방법과 평면형태에서 시기적인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조기 및 전기에는 마제 석부가 많고, 늦은 시기 로 갈수록 타제 석부가 증가하는테 마제 석부 중 특히 장방 형 석부의 감소현상이 뚜렷하다. 유적을 그 성격에 따라 단순패총유적, 복합패총유적, 비 패총유적으로, 또, 유적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내륙유적, 해안유적, 도서유적으로 구분하여 석부의 양상과 공반유물 을 살펴보았다. 해안 및 도서지역에 위치한 복합패총유적은 석부뿐만 아니 라 공반유물의 내용도 풍부하여 자원획득 행위를 비롯한 자 원의 처리, 도구 제작 등 다양한 생계행위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복합패총유적에서는 특히 화살촉, 작 살 등 자루를 장착한 도구들과 함께 중·소형의 장방형 마 제단면가공날(자귀날)과 장방형의 마제양면가공날(조개날) 이 출토되는데 이러한 석부들은 도구의 자루등을 제작한 목 재가공구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작살 등 제한된 자원획득 구와 함께 단순패총유적에서 출토되는 중형의 마제양면가공 날(조개날)은 자원의 획득 및 처리구로 추정된다. 내륙의 비패총유적에서는 대형의 타제석부들이 많은데 주거지 등 의 유구를 파는데 사용된 굴지구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유적 유형 및 공반유물이라는 출토맥락을 통해 석부를 검토해 본 결과, 주로 제작방법에 의해 기능을 구분 할 수 있고, 특정 크기와 평면형태는 특정 제작방법에 의 해 선호되고 있음을 보았다. 그러나, 석부의 기능 추정은 일부형식에 대해서만 가능하고, 제작방법, 평면형태. 크기 에 따라 석부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신 석기시대 제작된 석부들이 일정한 형식을 갖추지 못해서라 기보다는 활발한 사용과 재가공에 의한 결과로 생각되는데 일부이긴 하지만 유의미한 속성조합에 의한 형식들을 구분 해낼 수 있고, 다시 가공하여 재활용된 예도 많기 때문이 다. 검토한 석부의 속성 중 인부의 형태는 시·공간적인 특 징을 찾아보기 힘든데 사용에 의한 파손과 재가공으로 인부 에 가장 많은 변형이 가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활발한 생계행위가 이루어졌을 해안 및 도서지역의 복합패 총유적에서 편인이 많이 나타나는 것도 빈번한 사용 및 재 가공등의 변형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렇게 추정된 석부의 기능은 앞으로 사용흔 관찰, 실험적 이고, 민족지적인 접근방법을 통해 보완되고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석부, 남해안, 신석기시대, 기능, 유적 유형, 공 반유물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60개(3/3페이지)
 
학위논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 남해안의 신석기시대 석부에 대한 일고찰 운영자 1262 1999.11.30
19 안면도 신석기문화연구-고남리패총유적을 중심으로- 운영자 1252 1999.11.30
18 無文土器時代 住居樣式의 變化 : 忠南地方을 中心으로 운영자 1353 1999.11.30
17 유물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관계형 모델과 개체 지향형 모델 비교 연구... 운영자 1315 1999.11.30
16 인류 형질 성차의 진화: 성별을 알 수 없는 자료에서 성차 근사치를 구할... 운영자 1633 1999.11.30
15 中部地方 3∼4世紀 古墳群 一硏究 -細部編年과 古墳群 造營 樣相 分析 -... 운영자 1265 1999.11.30
14 韓半島 柱狀片刃石斧의 硏究 배진성 1241 1999.11.30
13 원형점토대토기문화연구-호서 및 호남지방을 중심으로 안승모 1262 1999.11.30
12 제주도 신석기시대 토기 변천에 대한 연구 운영자 1265 1999.11.30
11 京畿地域의 烽燧硏究 운영자 1192 1999.11.30
10 한강유역 1-3세기 주거지 연구 -"풍납동식 주거지"의 형성과정을 중심... 운영자 1480 1999.11.30
9 호남지방 청동기시대의 주거지연구 안승모 1302 1999.11.30
8 경기북부지역 성곽출토 고구려 평기와 연구 박준범 1740 1999.11.30
7 신라 西原京 治址 연구 운영자 1437 1999.11.30
6 북한강유역 지석묘 연구 심재연 1169 1999.11.30
5 영동지역 청동기시대 주거지연구 안승모 1283 1999.11.30
4 영산강유역의 지석묘연구 안승모 1185 1999.11.30
3 삼국시대 시지취락의 변천연구 안승모 1176 1999.11.30
2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西三陵 移藏 태실을 중심으로- 운영자 1321 1999.11.30
1 가야서남부지역 출토 도질토기에 대한 일고찰 운영자 1292 1999.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