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학위논문

유물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관계형 모델과 개체 지향형 모델 비교 연구 : 모델 KJI-ADB1과 모델 KJI-ADB2 제시

1999-11-30 00:00:00
조회 1315
국문 초록 필자는 본 고에서 고고학 유물 정보 관리 데이터 베이스 의 두 모델을 시험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 델 KJI-ADB1, 모델 KJI-ADB2. 최근의 데이터베이스에는 크게 두 가지 패러다임 즉 관계 형 데이터베이스와 개체 지향형 데이터베이스가 있다. KJI- ADB1은 국립 중앙 박물관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수정× 보완해 만든 모델이고 KJI-ADB2는 패러다임을 바꿔 개체 지 향형으로 만든 모델이다. 고고학계도 다른 인문학과 마찬가지로 학술자료를 합리적이 고 효율적으로 디지털화해야 하는 과제에 당면하고 있다. 인문학의 주된 자료인 문헌 자료와는 달리 고고학의 주요 자료인 유물은 자체의 속성 뿐만 아니라 해석의 주요한 실 마리를 제공하는 그와의 관련요소에 대한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원형대로 확보해 놓는 것이 중요하다. 필자는 학술 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고고학 연구 과정 전반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본 고는 그 기초 작업으로 서 유물을 대상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사례로 하여 고고 학 학술 자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 있어서 고려해 야 할 사항들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현재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대표적 데이터 베이스 패러다임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차세대 주자로 각광 받고 있는 개체 지향형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데이 터베이스에 관련된 논의를 진행시켰다. 그 절차로서 각 패 러다임의 이론적인 기초를 고찰하고 동일한 대상을 각각의 방법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계하여 데이터베이스 를 구축하는 모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두 패러다임의 차이 점을 비교 검토하였다. 한편 국립 중앙 박물관에서 사용하 는 유물 관리용 데이터베이스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구 축된 주요 사례로 면밀히 분석하였다. 본격적인 고고학 학술 작업에 활용할 수 있는 관계형 유물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지향해 필자가 본 고에서 제시 한 것이 KJI-ADB1이다. 이는 국립 중앙 박물관의 관계형 데 이터베이스를 수정×보완한 모델로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축 원칙에 충실한 데이터베이스 구조로 설계했는데 28개 의 테이블로 구성되어, 유물과 유물 관련 개체들에 관련된 정보 및 개체들 간의 상관 관계를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도 록 설계하였다. 특히 유적과 유물간의 관계는 유물이 발견 된 정확한 위치가 표현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적을 균등한 크기의 정육면체로 분할한 “큐브” 라는 개념을 도 입해서, 개별 유물의 출토 유적에서 발견된 3차원 좌표 공 간상의 정확한 위치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개 별 유물에 관련된 복수의 개체들이 표현될 수 있도록 설계 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패러다임을 충실하게 활용하였 다. KJI-ADB2는 필자가 KJI-ADB1과 동일한 데이터 모델을 기반 으로 개체 지향형 데이터 베이스로서 제시한 모델이다. 필 자는 이 모델을, KJI-ADB1이 드러냈던 계층 관계를 갖는 개 체 표현의 어려움과 사용자 정의 데이터 표현의 문제를 해 결하는 데 관심을 두고 구축하였다. 개체 지향형 데이터베 이스는 개체의 집합(Set of Object)으로 표현되는데, KJI- ADB2에는 8개의 Class 집합을 설정하였다. 이는 관계형인 KJI-ADB1의 28개 테이블에 비하면 획기적으로 줄어든 것인 데, 사용자 정의 데이터 형식의 도입으로 가능할 수 있었 다. 또한 한 개체에서 참조된 다른 개체는 개체 식별자에 의해 검색되므로 관계형의 연결 테이블을 통하는 것 보다 훨씬 빠르게 접근된다. KJI-ADB2에서 주목해야 할 또 다른 특징은 Artifact와 Painting Class의 관계인데 이 두 개체 들은 계층 관계로서 Painting은 상위 클래스(Super Class) 인 Artifact의 모든 속성을 고스란히 이어받은 형태로 표현 되도록 하였다. 즉 하위 클래스(Sub Class)이다. 필자의 두 모델 제안에서 볼 수 있듯이 고고학 학술 정보 를 관리함에 있어서 데이터 표현의 우위성을 확보하기 위해 선 개체 지향형 데이터베이스가 적합한 대안이다. 그러나 본격적인 고고학 학술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을 위 한 도구로 개체 지향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데 따르는 부담도 없지 않다. 가장 큰 부담 요소는 널리 사용되는 시 스템이 아니기 때문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기술 적, 인적 자원에 대한 선택의 폭이 좁다는 점과 능숙한 활 용을 위한 기술 인력 교육에 요구되는 시간과 노력이 관계 형 데이터베이스에 비해 더 많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고고학계의 현실을 보자면 현재에는 국립 중앙 박물관의 예 에서 볼 수 있듯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주류를 차지하 고 있지만 고고학의 이론적 발전과 유물의 특성에 따른 적 합한 관리를 위해서는 개체 지향형 패러다임의 추구와 모델 의 개발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주요어 : 유물, 유적, 유물 정보 관리, 모델 KJI-ADB1, 모 델 KJI-ADB2, 큐브,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개체 지향형 데 이터베이스,국립 중앙 박물관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60개(3/3페이지)
 
학위논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20 남해안의 신석기시대 석부에 대한 일고찰 운영자 1262 1999.11.30
19 안면도 신석기문화연구-고남리패총유적을 중심으로- 운영자 1252 1999.11.30
18 無文土器時代 住居樣式의 變化 : 忠南地方을 中心으로 운영자 1354 1999.11.30
>> 유물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관계형 모델과 개체 지향형 모델 비교 연구... 운영자 1316 1999.11.30
16 인류 형질 성차의 진화: 성별을 알 수 없는 자료에서 성차 근사치를 구할... 운영자 1633 1999.11.30
15 中部地方 3∼4世紀 古墳群 一硏究 -細部編年과 古墳群 造營 樣相 分析 -... 운영자 1265 1999.11.30
14 韓半島 柱狀片刃石斧의 硏究 배진성 1241 1999.11.30
13 원형점토대토기문화연구-호서 및 호남지방을 중심으로 안승모 1262 1999.11.30
12 제주도 신석기시대 토기 변천에 대한 연구 운영자 1265 1999.11.30
11 京畿地域의 烽燧硏究 운영자 1192 1999.11.30
10 한강유역 1-3세기 주거지 연구 -"풍납동식 주거지"의 형성과정을 중심... 운영자 1480 1999.11.30
9 호남지방 청동기시대의 주거지연구 안승모 1302 1999.11.30
8 경기북부지역 성곽출토 고구려 평기와 연구 박준범 1740 1999.11.30
7 신라 西原京 治址 연구 운영자 1437 1999.11.30
6 북한강유역 지석묘 연구 심재연 1169 1999.11.30
5 영동지역 청동기시대 주거지연구 안승모 1283 1999.11.30
4 영산강유역의 지석묘연구 안승모 1185 1999.11.30
3 삼국시대 시지취락의 변천연구 안승모 1177 1999.11.30
2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西三陵 移藏 태실을 중심으로- 운영자 1321 1999.11.30
1 가야서남부지역 출토 도질토기에 대한 일고찰 운영자 1292 1999.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