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학위논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西三陵 移藏 태실을 중심으로-

1999-11-30 00:00:00
조회 1311
<국문요약> 우리나라 왕실에서의 藏胎풍속은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없 는 독특한 문화로 신라 김유신의 장태기록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었으며, 고려시대 왕실을 거쳐 조선시대까지 오 랜 전통을 가지고 그 맥락을 繼承해 왔다. 현존하는 태실 은 거의 조선시대 왕실 태실로 대부분 한강이남 지역인 하 삼도(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에 집중되어 있지만, 성종 이 후로는 경상도와 강원도에서 태실의 조성이 있었고 예외적 으로 황해도 지역에도 설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태봉의 선정조건은 무덤을 선정하는데 있어서의 명당조건과 는 달리 野中의 圓峰을 택해서 산 정상에서 來脈(맥이 이어 오는)이 없고 龍虎를 마주보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國俗으 로 되어 있었다. 태실이 조성되는 태봉은 명당조건에 따라 3등급으로 구분되는데, 1등급에는 왕의 태실, 2등급에는 대 군과 공주의 태실, 3등급에는 왕자와 옹주의 태실로 나누었 으며, 금표구역 역시 태실을 중심으로 왕은 300步, 대군과 공주는 200步, 왕자와 옹주는 100步로 규정하였다. 태실의 구조는 阿只태실과 加封태실로 나뉘어지는데, 阿只 태실은 왕의 정실과 후실에서 태어난 모든 아기의 태가 봉 안되는 것을 말한다. 석물의 구조는 태봉 정상에 토광을 판 다음 미리 제작된 석함에 태항아리와 지석을 매납하고 지상에 墓碣의 외형과 유사한 阿只태실비를 세운 것이다. 加封태실은 왕으로 등극한 왕의 태실과 왕비의 태실을 말한 다. 석물의 구조는 지하 阿只태실 석함의 구조에 변화를 주 지 않고 지상에만 浮屠와 비슷한 석물을 조성한 후 八角欄 干石을 설치하고 사찰의 塔碑와 유사한 加封태실비를 阿只 태실비 옆에 세운 것을 말한다. 태실 석함안에는 태를 담은 항아리와 태주의 탄생일과 장시 일이 刻字된 지석이 있다. 태항아리와 지석은 西三陵에 옮 겨진 54기의 태실 내에서 다수 출토되어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태항아리는 조선초기부터 후 기까지 시기별로 변화되는 양상이 뚜렷하게 보여지며, 지 석 역시 시기에 따라서 크기와 재질 그리고 명문 각자의 방 식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항아 리 안에서는 동전과 금종이가 함께 동반되기도 하였는데, 동전은 錢文에 따라 4가지(朝鮮通寶, 萬曆通寶, 崇禎通寶, 開元通寶)가 확인되었다. 본고에서는 西三陵에 이장된 54기의 태실을 중심으로 조선 왕실의 태실석물 구조와 출토유물에 대한 전반적인 시기별 변천에 관해서 살펴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석물의 구조는 시기별 변화에 따라 加封태실의 석물은 5단계로 구분되고 阿只태실의 석물은 4단계로 확인되었다. 태항아리는 15세 기 초반에는 도질과 분청항아리가 사용되었고 15세기 중반 부터는 모두 백자항아리가 사용되었는데, 백자항아리는 시 기에 따라 총 5단계로 확인되었으며, 지석 역시 총 5단계 로 변화됨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지석의 명문각자방식 에서는 조선왕실의 위치를 중국(명, 청)보다 우월하거나 동 일선상에서 보려는 나름대로의 자존심이 담겨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일제강점으로 인해 국권을 상실한 후에도 일본보다는 조선이 우월하다는 의지가 마지막까지 표현되었 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금속유물 중 동전은 총 3단계로 구 분되는데, 시기에 따라 조선통보, 만력통보, 숭정통보, 개 원통보로 나뉘어진다. 결국, 태실의 전반적인 變遷은 개별 적으로 구분된 태실석물과 출토유물을 한 세트로 구성한 결 과 총 6단계로 시기가 설정됨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단계설정은 현재까지 확인된 자료만을 가지고 구분 한 것이므로 한계가 있음을 분명히 밝힌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60개(3/3페이지)
 
학위논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20 남해안의 신석기시대 석부에 대한 일고찰 운영자 1253 1999.11.30
19 안면도 신석기문화연구-고남리패총유적을 중심으로- 운영자 1241 1999.11.30
18 無文土器時代 住居樣式의 變化 : 忠南地方을 中心으로 운영자 1346 1999.11.30
17 유물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관계형 모델과 개체 지향형 모델 비교 연구... 운영자 1306 1999.11.30
16 인류 형질 성차의 진화: 성별을 알 수 없는 자료에서 성차 근사치를 구할... 운영자 1625 1999.11.30
15 中部地方 3∼4世紀 古墳群 一硏究 -細部編年과 古墳群 造營 樣相 分析 -... 운영자 1257 1999.11.30
14 韓半島 柱狀片刃石斧의 硏究 배진성 1231 1999.11.30
13 원형점토대토기문화연구-호서 및 호남지방을 중심으로 안승모 1255 1999.11.30
12 제주도 신석기시대 토기 변천에 대한 연구 운영자 1255 1999.11.30
11 京畿地域의 烽燧硏究 운영자 1184 1999.11.30
10 한강유역 1-3세기 주거지 연구 -"풍납동식 주거지"의 형성과정을 중심... 운영자 1471 1999.11.30
9 호남지방 청동기시대의 주거지연구 안승모 1292 1999.11.30
8 경기북부지역 성곽출토 고구려 평기와 연구 박준범 1732 1999.11.30
7 신라 西原京 治址 연구 운영자 1426 1999.11.30
6 북한강유역 지석묘 연구 심재연 1160 1999.11.30
5 영동지역 청동기시대 주거지연구 안승모 1276 1999.11.30
4 영산강유역의 지석묘연구 안승모 1177 1999.11.30
3 삼국시대 시지취락의 변천연구 안승모 1168 1999.11.30
>>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西三陵 移藏 태실을 중심으로- 운영자 1312 1999.11.30
1 가야서남부지역 출토 도질토기에 대한 일고찰 운영자 1284 1999.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