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신라 왕경의 이해

2021-01-11 09:45:52
조회 464

도서 개요

제목 : 신라 왕경의 이해

저자 : 주보돈

판형 및 페이지 : 150 X 220mm / 652 페이지

발행일 및 가격 : 20201221/ 가격 28,000

ISBN 978-89-6246-431-3 93910

주류성출판사 02-3481-1024 (대표전화) / 02-3482-0656 (FAX)

e-mail : juluesung@daum.net / 홈페이지 : www.juluesung.co.kr

 


도서 소개

 

단 한 차례도 천도한 경험이 없는 신라 천년 왕경에 대한 입체적인 이해

 

신라 왕경의 경관과 운영을 굳이 중국사에서 모델을 찾아내어 이에 비추어 이해하려 함이 일반적 경향이었다. 그리하여 전혀 생뚱맞게도 왕궁을 기준으로 북쪽으로 길게 뻗어나간 주작대로(朱雀大路)의 존재를 터무니없게 잘못 상정하면서 당의 장안성(長安城)과 일본의 평성경(平城京)에 견주어 대략의 구조와 규모를 추정하는 해프닝까지 벌이기도 하였다.

신라 왕경 중심부는 세 방면이 큰 시내[]로 둘러싸이고 왕궁이 남쪽에 치우친 까닭으로 방향의 측면에서도 그러하지만 엄청난 크기의 대로가 존재하기 힘든 구조였다. 이러한 점이 오히려 동아시아세계 속에서 신라의 왕경의 경관을 각별하게 만든 또 다른 요인이라 하겠다. 이는 신라 왕경의 특징적 측면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특히 염두에 두어야 할 대목이다.

이처럼 신라 왕경은 줄곧 같은 곳에 자리하면서 지형적 여건으로부터 적지 않은 제약을 받은 까닭에 오히려 나름의 독창적 면모를 지니게 되었다. 왕경의 형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점검하는 가운데 그런 특징은 저절로 드러나리라 여겨진다.

 

신라 왕경은 비슷한 시기의 고구려, 백제나 인근의 중국이나 일본과는 전혀 다른 독특한 면모를 지녔다. 이는 단 한 차례도 천도한 경험을 갖지 못한 데서 비롯한 일이었다.

신라는 모태가 된 사로국의 경역이 그대로 왕경으로 전화하였지만, 자체 내부의 변화를 통해서 탄생한 6부의 경역이 곧바로 왕경과 등치되었다. 출발기의 6부는 단순한 행정구획이라기 보다는 각기 정치적으로 반()자립적 성격을 띤 단위 집단으로 국가의 중대사는 6부의 논의를 거쳐 결정, 집행되었다.

이때부터 상당 부분 비어있는 상태나 다름없던 왕경의 중앙부는 6부의 공동 합의 아래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그 출발을 이룬 것이 정치 행정의 중심으로서 왕궁과 신성공간으로서의 공동묘역이었다. 이를 중심으로 바깥으로부터 주민의 집주(集住)가 본격화됨으로써 신라 왕경은 제 모습을 갖추어나갔다.

신라 왕경 전반이 일시에 같은 수준으로 개발의 과정을 거친 것이 아니었다. 처음에는 중앙부에 집중되었으며 이로부터 점차 주변부로 확산되어 갔다. 중앙부는 기본적으로 부-리를 근간으로 하면서 그 하부가 방으로 구획된 반면 주변부에는 부-리의 아래에 자연 상태의 취락인 촌()이 존재하였다.

이 책에서는 신라의 천년 왕경 경주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현대에 이르러 상상보다 더욱 큰 규모와 시스템을 갖춘 왕경 유적들의 출현과 거기서 나온 기록들에 대한 연구조사 결과를 전방위적이고 입체적으로 소개하며 분석하고 있다.

 


목차

 

신라 왕경론

1. 신라 왕경의 형성과 전개

2. 신라 궁성의 형성과 변화 - 고려 궁성으로의 전화(轉化)

3. 월성(月城)과 해자(垓字) 출토 목간의 의미

4. 신라 금입택(金入宅)과 재매정택(財買井宅)

 

왕경과 신앙

1. 황룡사의 호국 기능과 그 변화

2. 신라 남산의 역사성

3. 신라 왕경5악의 형성과 금강간

4. 선도산과 서악고분군

5. 신라의 능묘비(陵墓碑)에 대한 몇몇 논의

 

왕경과 인식

1. 신라의 동경((東京)’과 그 의미

2. 신라 하대 김헌창(金憲昌)의 난과 그 성격

3. 신라의 달구벌(達句伐) 천도 기도와 김씨족단의 유래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4개(2/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744 백제 아포 칼립스 1 - 백강과 기벌포는 어디인가?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72 2024.01.11
743 신간 소개- 『임진-한탄강 유역 구석기 연구』(2023) 유용욱 84 2024.01.04
742 한국의 고고학 61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81 2024.01.02
741 삼한三韓, 인식과 이해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16 2023.11.24
740 전북지역 고대문화와 사회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07 2023.10.30
739 백제 기와 연구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17 2023.10.12
738 고신라목간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02 2023.09.12
737 渡來人의 考古學과 歷史 (도래인의 고고학과 역사)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24 2023.09.12
736 북경(北京), 그 역사의 기원과 변천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07 2023.09.12
735 한국의 고고학 60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91 2023.08.25
734 디지털고고학 개론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97 2023.06.19
733 일본 소재 한국 고대 문자자료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62 2023.05.09
732 조선시대 울릉도와 독도의 우리말 이름들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24 2023.05.04
731 한국의 고고학 59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64 2023.04.18
730 통일신라 고고학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221 2023.04.18
729 통일신라토기 편년과 활용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232 2023.03.15
728 청동기시대 문화변천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328 2023.03.15
727 한사군 연구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203 2023.02.06
726 한국의 고고학 58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49 2023.02.01
725 가야토기 연구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218 2023.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