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渡來人의 考古學과 歷史 (도래인의 고고학과 역사)

2023-09-12 11:07:36
조회 124

도서 개요

- 제목 : 渡來人考古學歷史 (도래인의 고고학과 역사)

- 지은이 : 이송래, 멜빈 에이켄스, 지나 반즈

- 옮긴이 : 김경택

- 판형 및 페이지 : 152 X 225mm / 376

- 발행일 및 가격 : 2023911/ 가격 24,000

- ISBN : 978-89-6246-511-2 (93910)

- 주류성출판사

  02-3481-1024 (대표전화) / 02-3482-0656 (FAX)

  e-mail : juluesung@daum.net / 홈페이지 : www.juluesung.co.kr

 

 

도서 소개

 

1,400년간 (c. 800 BC~AD 600)

한반도에서 일본열도로 이동한 사람들, 기술, 그리고 문화

 

바다를 건너온 사람들이란 의미를 지닌 용어인 도래인은 민족-문화적인 동시에 역사적 뉘앙스를 지닌다. 도래인이란 표현은 동아시아의 다른 나라들보다 일본에서 훨씬 많이 사용된다. 중국과 한국에서는 거의 언급되지 않으며, 설명을 듣기 전까지 한중(韓中)의 일반 대중들은 그 의미를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일본에서는 주로 서기전 800년부터 서기 600년에 이르는 두 천년기 동안 한반도에서 열도로 이주해 온 사람들을 지칭할 때 도래인이란 표현을 사용한다.

일본 고대 기록에 따르면, 도래인은 다양한 종류의 선진 기술과 함께 집단을 이루어 여러 시기에 걸쳐 열도로 온 대륙 사람들로 오랫동안 일본인들의 상상력을 자극해 왔다. 열도에서 도래인의 첫 번째 중요한 파도는 서기전 1천년기 초에 처음 등장했음을 고고학적 발견들은 말해 왔다. 그들은 선사시대 일본의 수렵-어로-채집 사회가 식량을 생산하는 彌生(야요이) 농경사회로 변화하고 彌生(야요이)사회가 청동기와 철기 기술을 익히도록 도움을 주었다. 그후 도래인들은 5세기 일본이 그때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문화와 기술로 더욱 진보된 사회로 발전하도록 도왔다. 따라서, “5세기는 日本의 기술 혁명의 세기로 간주된다

 

이 책은 최근까지 발견된 고고 및 역사자료를 바탕으로 서기전 800-600년경부터 서기 600년경까지 1,400년간 도래인 이야기를 다음 7개 질문을 통해서 槪觀的(panoramic)으로 다룬다. (1) 도래인은 어디에서 왔을까?, (2) 도래인의 역사적-사회문화적 배경은 무엇이었을까?, (3) 도래인들은 왜 목숨을 걸고 위험하기로 악명높은 대마도 해협을 건너 고향을 떠났을까?,

(4) 그들은 일본열도 내 어디에 정착했을까?, (5) 그들은 일본열도에서 무엇을 했을까?, (6) 일본열도 사람들은 도래인을 어떻게 대우했을까?, (7)도래인은 고대 일본사회에 어떤 공헌을 했을까?

 

 

출판사 서평

 

현재도 진행 중인 한일 관계 토론에서 2000년과 2001년 두 가지 특별한 사건이 목격되었다. 지난 2000년 저명한 일본 역사학자 井上滿郞(이노우에 미츠오)도래인이 없었다면 일본사는 200년 지체되었을 것이라는 매우 자극적 내용의 논문을 통해 일본사에서 도래인의 특별한 위치를 강조했다. 바로 다음해인 2001년 일왕(日王) 明仁(아키히토)한국에서 일본으로 이주 또는 초청된 사람들은 문화와 기술을 소개했다. 이러한 문화와 기술이 일본인들의 열정과 한국인들의 우호적인 태도를 통해 일본에 전해짐은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었다. 또 이 문화와 기술은 이후 일본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고 믿는다고 공개적으로 말했다

일본 사람들과 문화가 한반도의 초기 사회들에 진 빚에 놀라지 않고 일본열도의 사회 발전을 검토할 수 없음은 사실이다. 서기전 1천년기 초 한반도로부터의 도작 농민의 이주는 대륙과 일본열도 사이의 3가지 중요한 기술 전파 물결 중 첫 번째였다. 두 번째 물결은 서기전 4세기경 열도에 청동기와 철기 제작기술을 들여왔고, 세 번째 물결은 서기 5~6세기경 열도에 유교와 불교는 물론 엘리트 기술자와 행정 기술을 전해주었다.

 

1970년대까지 도래인(주로 한반도에서 일본열도로의 이주민)에 대한 정보는 古事記(712년 편찬), 日本書紀(720), 續日本紀(797), 新撰姓氏録(815) 등 도래인 관련 실제 사건들보다 한참 나중에 편찬된 몇몇 고대 사료들에 주로 기반했다. 그러나 일본열도 전역에서 수행된 대규모 구제고고학 발굴 덕분에 1980년대 초부터 유례없는 양의 고고학 자료가 수집되고 분석되면서 도래인의 기원, 취락, 생활, 초기 일본 사회와 초기 일본 문명에의 기여 등 도래인과 관련된 많은 부분이 밝혀지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지난 40년 동안 남한에서 이루어진 발굴 역시 도래인의 역사적·사회문화적 배경과 관련된 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었다.

이러한 정보의 해석, 즉 한반도의 주민들이 어디에서, 언제, 왜 이주했고, 또 이주민과 그 후손들이 일본열도의 주민 구조와 물질 문화를 어떻게 변하게 했는지를 입증하는 것이 본서의 과제이다. 이러한 기술 이전과 주민 이동의 물결은 선사시대에 드물지 않으며, 영국제도의 역사는 그 좋은 사례로 인식된다. 한반도의 주민들 역시 중국 본토, 스텝 지역, 그리고 동북아시아로부터 파생된 물결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입장이 당시와 지금 한국과 일본에 고유문화(uniqueculture)가 없었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철새의 휴지 기간은 반도/섬에 토착화된 새로운 형태의 물질 조성과 사회적 행동의 자율적 개화를 가능하게 했다. 본서에서 다루는 시간대는 서양 문화가 탐욕스럽게 수용되고 소비되던 일본의 明治時代(메이지시대. 1868~1912)와 비견될 수 있다. 오늘날 일본의 외형이 노골적으로 서구적이라고 해서 고유한 일본 문화가 없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따라서 본서는 일본 문화의 폄하(貶下)가 아닌 일본 역사의 일부 뿌리와 요소의 설명을 시도했다.

4C~5C 한반도의 호전적 집단에 의한 열도의 정복과 지배를 말하는 일본 내외의 사람들(江上波夫, Ledyard, Covell and Covell, 홍원탁)이 있다. 한편 초기 일본은 침략을 통해 한국의 선진 문화와 기술을 획득하여 사회 발전을 이룩했다는 한 무리의 사람들(末松保和와 추종자들)은 주로 일본인들이다. 사실 반도와 열도 사이의 초기 관계사는 이보다 훨씬 미묘하고, 복잡하고, 가변적이며, 국가의 지원을 받은 대규모 군사적 침략의 증거는 양측 모두에서 확인된 바 없다.

 

이러한 관계들을 풀어내는 작업은 매우 흥미로우며, 매년 새로운 발굴과 분석은 이전보다 더 깊이 파고들 수 있게 해준다. 도래인 이야기는 일본의 시작이란 미스터리들이 담긴 상자를 여는 중요한 열쇠이다.

 

 

지은이

 

Song-nai Rhee (이송래)

인류학(고고학) 박사 (Ph.D. University of Oregon; 헤브라이어, 구약, 근동학 박사 [Ph.D., Dropsie Universityfor Hebrew and Cognate Learning(University of Pennsylvania Center for Advanced Judaic Studies)]; Bushnell University 학무 부총장 겸 고고학/근동사/구약 명예교수; University of Oregon, Center for Asia and Pacific Studies 우대 연구교수.

관심분야: 동아시아 역사와 고고학, 한국/일본 고대사, 도래 인 고고학, 이스라엘과 근동 역사와 고고학, 문명의 발생; 유태인 민족사, 고대 지중해 연안 성곽제도의 기원과 변천.

 

C. Melvin Aikens

인류학(고고학) 박사 (Ph.D. University of Chicago); University of Oregon 인류학과(고고학) 명예교수, Museum of Natural and Cultural History 명예관장.

관심분야: 동북아시아 고고학; 선사 및 고대 한국/일본, 동해(일본해)지역 문화교류; 미국 서부 대분지(Great Basin) 고고학; 오레곤주 고고학.

 

Gina L. Barnes

인류학(고고학) 박사 (Ph.D. University of Michigan); 영국 Durham University 日本學 명예교수, 지구과학 프로젝트 회원; SOAS University of London 고고미술사학과 연구원.

관심분야: 동아시아, 특히 일본과 한국의 고고학/고대사; 일본/한국 고대국가형성, 고대 한일관계, 大和 왕권(Kingship) 등장, 일본 지질학; 지질 고고학.

 

 

옮긴이

 

김경택 (譯者)

인류학(고고학) 박사 (Ph.D. University of Oregon);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융합고고학과교수, 대학원장(2016~2017, 2022~2023)

관심분야: 한반도 복합사회의 등장과 발전, 고대국가 형성, 송국리 유형 사회 및 문화, 대중고고학.

 

 

추천사

 

동북아시아 고대사의 주요 주제인 도래인(渡來人)을 다룬 최신 서적을 추천하게 되어 기쁘다. 이 책은 무문토기시대(ca. 800~400 BCE)부터 삼국시대(三國時代, ca. CE 4C~7C)까지 한반도 출신 일본열도 이주민들과 이들이 일본 문화와 사회의 발전에 기여한 공헌을 다룬다. 특히 이 책은 방대한 고고학/역사학 관련 간행물의 서지 정보(한국어/일본어)와 함께 체계적으로 입증된 도래인 관련 연구 성과를 제공한다. H-Net: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Online 5/15/2022

- 조나단 베스트 Jonathan Best, 미국 웨슬리언 대학교(Wesleyan University) 명예교수

 

가야소국(伽倻小國백제(百濟)의 고고학(考古學역사(歷史문화유산(文化遺産)을 연구하는 한국인과 전근대 일본(日本)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일본학(日本學) 연구자의 필독서(必讀書). Monumenta Nipponica 77/2 (2022):318.

- 리처드 맥브라이드 Richard D. McBride II, 미국 브리검영 대학교

(Brigham Young University) 교수

 

모든 것을 고려했을 때, 이 책은 동()아시아 고대사(古代史) 및 한일 관계사(韓日關係史)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들의 필독서(必讀書)라 할 수 있다. The Journal of Japanese Studies 49/2(2023):430.

- 데이비드 와이스 David Weiss, 日本 九州大學 日本/아시아 知能史 講

 

 

목차

 

도래인의 고고학과 역사(Archaeology and History of Toraijin)

한국어판을 내면서

도면/표 목록

지도 목록

일러두기

감사의 말

서문(Preface)

 

서론

. 주제의 중요성: 渡來人

. 철기/철공기술의 傳播/移植: 事例

. 정체: 그들은 어디에서 왔고, 열도에 무엇을 공헌했는가?

. 이주의 밀고 당기기의 역학

. 이 책의 주 목적: 일곱 가지 질문

. 이 책에 인용된 연구자료

고고자료

사료

 

1/ [水稻作技術]을 전파/이식한 도래인

.역사적·문화적 배경: 한반도 중기 무문토기사회의 송국리 유형 문화 (c. 900~400 BC)

1. 송국리식 토기

2. 취락

3. 농경

4. 석기

A. 농공구

B. 의식용 무기

5. 청동단검과 청동기 제작

6. 방직기술

7. 위신재 및 정치 권력의 상징

8. 무문토기시대 중기의 매장 의례

A. 거석 매장 구조: 지석묘

B. 석관묘

C. 옹관묘

9. 새로운 사회복합도

10. 무문토기시대 중기 사회의 밀고 당기기의 역학

. 벼와 벼농사기술에 익숙한 도래인들이 일본열도에 도착하다

1. 대륙에서 온 새로운 사람들

2. 열도에 나타난 새로운 주거 유형

3. 열도에 나타난 새로운 묘제

A. 지석묘(거석묘)

B. 석관묘와 옹관묘

4. 초기 도래인의 기여

A. 九州 북부의 수도작

B. 토기

C. 석기

D. 방직기술

5. 彌生時代 편년 문제

6. 기타 제문제/논란에 관한 전반적 합의

 

2/ 청동기/제작기술을 전파한 彌生(야요이) 중기의 도래인 (c. 350 BC~AD 50)

. 역사적·사회/문화적 배경: 무문토기시대 후기 (c. 400~50 BC)

1. 마한 전기의 세형동검문화

2. 철기와 철기 생산

3. 무문토기시대 후기 토기

4. 무문토기시대 후기의 매장 의례

A. 서북지방

B. 서남지방: 마한 전기

C. 동남지방

5. ‘삼보’: , , 곡옥

6. 무문토기시대 후기의 밀고 당기기의 역학

. 새로운 도래인 집단이 日本 九州에 오다

1. 새 도래인 취락

2. 彌生 중기 사회에 대한 새 도래인의 기여

A. 청동기 제작

B. 새로 등장하는 묘제

a. 목관묘 ……

b. 주구묘(周溝墓)

C. ‘삼보’: , , 곡옥

3. 九州 북부에 등장한 사회계층화

4. 반도/열도 간 교역의 시작

3/ 철기/철공 기술과 유리 제작 기술을 전파한 彌生(야요이) 후기/古墳(고훈) 전기의 도 래인 (c. AD 50~350)

. 彌生 후기/古墳 전기 도래인의 역사와 사회/문화적 배경 : 삼한 (c. 50 BC~AD 300)

1. 三國志를 통해 본 삼한사회

2. 고고학적으로 본 삼한

A. 마한 후기 정치체들(c. AD 200~550)

B. 진한 정치체들

C. 변한 정치체들

3. 낙랑(樂浪대방(帶方)과 삼한(三韓) (지도 2.1 참조)

4. 삼한시대의 밀고 당기기의 역학

. 삼한으로부터의 새로운 도래인

1. 마한 후기 도래인들과 그들의 공헌

2. 열도 내의 변한/가야 초기 사람들: 변한/가야의 매장 의례, , 그리고 일본의 건국신화

3. 九州의 정치적 통합과 지역 간 전쟁

4. 한반도/열도 간 교역의 번창: 九州/近畿-늑도/김해

 

4/ 古墳(고훈)時代 ·후기의 도래인: “최근 도착한 숙련된 장인들(今來才技)” (c. AD 350~600)

. 역사문화적 배경: 한국 초기 국가들과 정치체들 (c. AD 300~700)

1. 개요

2. 백제, 가야, 후기 마한의 문화적·기술적 발전

A. 종교, 이데올로기, 예술, 건축

B. 철기 기술

C. 승마문화와 기병

D. 도질토기(陶質土器)

E. ·금동·은 공예술

F. 검 문화

G. 묘제

H. 농경과 수리공학

3. 밀고 당기기의 역학: 한반도와 열도 내의 위기

A. 한반도 내의 위기

B. 열도 내의 위기

. 새로운 기술자들이 열도에 도착하다

1. 4C ~5C 초는 도래인의 세기

2. 5C 중반~6C

3. 주요 도래인 취락들

A. 近畿 핵심지역(大阪, 奈良, 京都)

a. 大阪(河內) 평야의 도래인

b. 奈良 남부 飛鳥 지역의 도래인: 明日香村(東漢氏聚落地)

蘇我氏의 등장

분묘와 사원들

c. 奈良 南郷의 엘리트 도래인 기술자들

d. 山城의 도래인 취락

e. 고대 琵琶湖 주변과 近江의 도래인

B. 고대 吉備 (오늘날 岡山)의 도래인

C. 關東의 도래인

D. 九州의 도래인

 

5/ “최근 도착한 숙련된 장인(今來才技)古墳 중기·후기 사회에의 공헌

. 古墳時代 전기·중기 사회의 비교

. 기술 혁명

1. 鐵工業

2. 말 사육과 인마술

3. 홍수 통제, 토지 개간, 공공 사업

4. , 금동, 은 공예술

5. 잠사업

6. 須恵器 炻器 산업

. 사상적 변화

1. 大和 조정의 유교화

2. 국가를 위한 불교

3. 엘리트 묘제: 수혈식 묘제에서 횡혈식석실분으로

. 4C~6C 백제와 大和 엘리트 간 교환과 상호관계

1. 왕실 간 교류

2. 大和에 거주하는 백제 엘리트의 중간 역할

. 聖德太子: 604憲法十七條 공포와 도래인

. 大和 정권과 백제와의 지속적인 우애(友愛)

 

토론: 정복이 아닌 협력

결론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4개(2/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744 백제 아포 칼립스 1 - 백강과 기벌포는 어디인가?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75 2024.01.11
743 신간 소개- 『임진-한탄강 유역 구석기 연구』(2023) 유용욱 85 2024.01.04
742 한국의 고고학 61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82 2024.01.02
741 삼한三韓, 인식과 이해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17 2023.11.24
740 전북지역 고대문화와 사회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08 2023.10.30
739 백제 기와 연구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18 2023.10.12
738 고신라목간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03 2023.09.12
>> 渡來人의 考古學과 歷史 (도래인의 고고학과 역사)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25 2023.09.12
736 북경(北京), 그 역사의 기원과 변천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07 2023.09.12
735 한국의 고고학 60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92 2023.08.25
734 디지털고고학 개론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97 2023.06.19
733 일본 소재 한국 고대 문자자료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62 2023.05.09
732 조선시대 울릉도와 독도의 우리말 이름들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24 2023.05.04
731 한국의 고고학 59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65 2023.04.18
730 통일신라 고고학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221 2023.04.18
729 통일신라토기 편년과 활용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233 2023.03.15
728 청동기시대 문화변천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328 2023.03.15
727 한사군 연구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204 2023.02.06
726 한국의 고고학 58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49 2023.02.01
725 가야토기 연구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219 2023.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