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아무도 말하지 않은 ‘백제 그리고 음악’

2016-01-19 00:00:00
조회 909

■ 책 소개

 

이 책은 그간 사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던 백제강역에 대하여 초기백제, 한성백제, 마한흡수, 요서진평, 오월백제, 산동흡수, 열도백제 등 7단계 확장과정을 문헌사료 및 유물사료로서 객관적으로 서술하고, 갖가지 음악도상(圖像)과 관련음악 등의 문화자산으로 그 사실을 증거하고 있다.

책의 내용은 백제사, 백제음악문헌 정리, 백제악기, 백제음악 등 4장으로 구성되었다.

이 책은, 백제 그리고 음악을 다루면서, 시간을 소급하여 고구려, 부여, 고조선의 역사도 필요에 따라 설명하고, 유라시아 및 아메리카대륙 전체로 퍼져나갔던 알타이민족사의 흐름 속에서 백제를 보고 있다는 점이 돋보인다.

『고려사』에 이름만 남아있던 여러 백제가요를 안자산의 인작으로 모든 가사를 게재한 것과, 『만엽집(萬葉集)』 중 일본으로 독립하기 이전 열도백제시대의 시가를 백제문학으로 정리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정읍사」, 「산유화가」 등 4편의 백제관련 음악을 오선보로 채보하고 편곡하여, 연주할 수 있도록 부록으로 수록하고 있다. 

■ 출판사 서평

 

국사의 환경은 당연히 음악을 비롯한 모든 한국학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 역사를 흔히 반만년이라 한다. 그러나 그 중 약 3,000년의 고대사가 실종되면서 국악사의 이 시기도 비어 있게 되었다. 과거 『사기』 「조선열전」이나 25사의 「동이전」, 『논어』, 『시경』, 『악기』 등 수 많은 문헌에 나오는 다양한 동이(東夷) 음악이 우리음악이라 말한 한국의 박시인, 중국의 서량지, 임어당 등의 견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우리 국악계는 침묵하고 있다. 국사에서 고조선의 강역조차 설정하지 못하고 갈팡질팡하는데, 어찌 국악사에서만 이를 분명히 말할 수 있겠는가?

나머지 2,000년의 국악사도 꽉 차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 통사(通史)에서 가장 허약하였던 근대 500년의 음악사가 어림잡아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나머지 기간은 『삼국사기』,「악」과 신뢰성이 떨어지는 『일본서기』 등에 의지하는 것이 고작이다. 금나라와 명나라의 눈치를 보며 편찬한 『삼국사기』와, 『악학궤범』 등의 조선 초기 사료와 문헌이 지금 우리의 국사와 국악사의 성경(聖經)처럼 자리하면서, 그 속에 감추어진 사대주의적 요소가 우리 정신에 깊이 박혀있음에도 우리는 이를 인식조차 하지 못하는 처지에 있다. 여기에 일제강점기 이후 많은 음악 자산을 잃게 되어 근대학문으로 태어난 국악사의 입지를 더욱 위축시키고 있다. 이 모든 것이 기본적으로 한국사가 뒤틀어지면서 생겨난 문제점들이다. 스스로 보호막을 만들어 그 안에 안주하지만 말고, 냉철하게 동양사 전체를 연구하면서 그 가운데 우리음악의 정체를 찾아낼 필요가 절실하다

■ 목차

 

제1장. 백제음악과 백제사

제1편 백제사 사료

1. 백제주요문헌사료

2. 「양직공도」 백제사신도

토막이야기 I 백제가 차지한 요서·진평 - 북경을 포함하는 옥야천리

토막이야기 I 백제의 요람은 홍산문화의 터전 - 동이민족이 이룬 인류문명의 시원

3. 『북사(北史)』

토막이야기 I 다섯 차례의 백제와 북위의 전쟁 - 전쟁에서 웃은 사람들

토막이야기 I 영원한 우리민족의 고유악기 ‘해금’ - 동방 음악을 밝히다

4. 『삼국사기』와 백제

토막이야기 I 식민사학·반식민사학 - 두 친일파 사학자의 엇갈린 비운

5. 『일본서기』를 둘러싼 여러 가지 문제 071

토막이야기 I ?은내 아?의 나라 - 부여·고구려·백제·왜국의 닮은꼴 건국이야기

 

제2편 백제 강역(疆域)

1. 건국의 신비

토막이야기 I 황국사관과 조선사편수위원회 - 한사군이 동으로 간 까닭은?

2. 나라이름

3. 한반도의 본국백제

토막이야기 I 삼국사기가 말하는 백제 월주(越州) - ‘대해(大海), 소해(小海)’

그것이 문제로다

4. 대륙백제, 그 뜨거운 논란의 기록들

5. 일본열도의 백제 식민지

6. 담로

7. 백제 존속기간

 

제2장. 백제음악 관련 자료

제1편 백제음악 문헌사료

1. 백제음악 문헌 점검

2. 중국 문헌에 나나난 백제음악

3. 한국 문헌에 나타난 백제음악

4. 일본 문헌에 나타난 백제음악

가. 일본서기

나. 악보자료 『교훈초』 (敎訓秒)

토막이야기 I 조선말에 노래한 백제기악 - 악시부로 보는 백제악

 

제2편 백제음악 유물사료

1.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2. 백제금동대향로

3. 월평동 출토 양이두(羊耳頭)

4. 신창동 출토 현악기

5. 보원사지 석탑의 팔부중상 공후

 

제3장. 백제악기

제1편 백제악기 개괄

토막이야기 I 동양의 모음곡 - 수·당(隋·唐)의 연악(宴樂)

제2편 현악기

1. 비파(琵琶)

토막이야기 I 우리 비파의 시련 - 첫 문화콘텐츠 수출의 유감

2. 백제삼현

토막이야기 I 백제삼현을 찾아서 - ‘박자이’라 부르는 중국 속의 ‘백제(百濟)’

3. 공후(??)

4. 군후(군?)

5. 백제8현금

6. 금(琴)

7. 쟁(爭)

 

제3편 관악기

1. 횡적(橫笛)

2. 적(笛)

3. 배소(排簫)

4. 지(?)

5. 도피필률

토막이야기 I 벽사 주술의 힘을 숨긴 도피필률의 진실

6. 막목

7. 각(角)

8. 우(?)

9. 생(笙)

10. 소(簫) 또는 통소(洞簫)

11. 장소(長簫)

12. 백제생황

 

제4편 타악기

1. 고(鼓)

2. 요고(腰鼓)

토막이야기 I 타악기의 왕 - 천상천하를 넘나드는 음양의 소리

 

제4장. 백제음악

제1편 백제음악의 성격

1. 백제음악의 특성

2. 음률(音律, Temperament)

토막이야기 I 황금색 민족의 우주관을 담은-알타이 동이민족의 삼신오황 사상

 

제2편 백제악과 수(隋)·당(唐) 연악(燕樂)

토막이야기 I 기악(伎樂)의 스승 미마지 - 미마지(味摩之), 그는 백제를 떠난 일이 없었다

 

제3편 백제불교와 음악

토막이야기 I 미륵전쟁, 누가 이긴 싸움일까? - 신라미륵 선화공주 백제를 멸망시키다

토막이야기 I 불교사물 - 신성한 범음(梵音) - 중생의 깨달음을 향한 회향(廻向)의 소리

 

제4편 백제가요

1. 백제가요

토막이야기 I 백제에서 온 그대 – 유네스코, 수제천(壽齊天)을 으뜸으로 꼽다

2. 만엽집이 전하는 백제가요

토막이야기 I 이영희의 한·일 옛 이야기 노래하는 역사 - 영원한 백제의 여인 제명여왕

3. 민요 속에서 찾은 백제음악 『산유화가』

 

부록

악보 1. 정읍사(계면조)<오음약보>

악보 2. 산유화가

악보 3. 백제찬가

악보 4. 백제뱃노래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3개(9/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603 이슈와 쟁점으로 읽는 한국고대사 역사산책 1910 2018.08.01
602 삼국통일 어떻게 이루어졌나 권혁재 1008 2018.07.27
601 한국과 동아시아 동궁 연구 역사산책 820 2018.07.19
600 문화유산학 개론 사회평론 아카데미 992 2018.07.12
599 『한성백제의 성장』소개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882 2018.07.12
598 『북방고고학개론』소개 사진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159 2018.07.04
597 건축유적의 발굴과 해석 서경문화사 1043 2018.06.22
596 三國史記 본기의 원전과 편찬 최병식 887 2018.06.20
595 한국 고대사의 기본 사료 최병식 869 2018.06.15
594 북방 유라시아 제사 고고학의 현황과 과제 최병식 876 2018.06.05
593 백제 도성 연구 서경문화사 885 2018.05.31
592 안라(아라가야)의 위상과 국제관계 권혁재 733 2018.05.31
591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형성과정 연구 최병식 885 2018.05.08
590 무기형 석기의 비교 고고학 서경문화사 1098 2018.05.03
589 고고 유물의 관찰과 유구 조사방법 사회평론 아카데미 1663 2018.04.18
588 한국고대사와 백제 고고학 서경문화사 1250 2018.04.05
587 한국고대사의 재인식 서경문화사 880 2018.04.05
586 인류의 기원과 진화 (제2판) 사회평론 아카데미 1287 2018.03.29
585 『전남지역 고대문화의 양상과 교류』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764 2018.03.27
584 『영산강유역 마한제국과 낙랑•대방•왜』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883 2018.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