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비화가야(非火加耶)』 소개

2020-04-21 12:14:19
조회 882


비화가야(非火加耶)


ISBN: 978-89-6347-424-3  93900

판형: 153*225mm

페이지: 240

출간일: 20191031

지은이: 박천수

가격: 18,000

관련분야(): 역사



우리나라 가야고고학 연구의 권위자인 경북대학교 박천수 교수가 집필한 비화가야(非火加耶)』를 소개합니다. 비화가야(非火加耶)』는 일평생 가야를 중심으로 연구활동을 집적해 온 저자가 새롭게 기획한 가야각국사총서 1권으로 발간되었습니다. 가야각국사 총서는 합천 다라국, 김해 금관가야, 고성 소가야, 고령 대가야 순으로 출판될 예정입니다.

저자는 가야사 연구가 동시대 고대국가에 비해 현저히 부진하며, 문헌사학에 의해 주도되어 왔던 흐름에 대하여, 고고학의 연구 성과가 무시되는 경향과 신라/백제의 입장에서 가야사를 설명하는 편향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합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고고자료와 문헌사료를 정합적으로 보는 관점을 바탕으로 가야 전체를 통관하는 가야문명사』를 집필한 바 있습니다. 이번에 기획된 가야각국사총서는 가야문명사』에서 제시된 가야사 일반의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지리적 조건에서 병립한 가야 각국의 지역적 관점을 강조하여 기획되었습니다.
비화가야(非火加耶)』의 서술대상 지역인 창녕은 저자의 석사학위 논문의 주제가 되었던 곳으로서, 일찍이 일제강점기 초기 1918년부터 임나일본부설을 주창하기 위한 근거로 일인 학자들에 의해 발굴조사되었던 교동고분군이 있는 곳입니다. 저자는 일찍이 비자발/비사벌로 지칭되던 이 지역을 비화가야로 호명하면서 가야국가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합니다.

비화가야(非火加耶)』는 본문 200여쪽 분량의 간결한 연구서로서 창녕지역의 유적을 중심으로 비화가야 문화에 대한 심도있고, 상세한 내용을 간결하고 일목요연하게 정리했습니다.

7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1,2,3 장에서는 연구사 검토와 연구 목적, 편년, 역사 지리적 환경에 대한 배경을 서술하고, 4장에서는 해당지역을 남부와 북부로 구분하여 상세하게 소개합니다. 5장에서는 출토유물을 소개하는데, 토기, 장신구, 무기, 무구, 마구, 청동용기, 철정, 농공구 등을 통해서 비화가야의 문화적 정체성을 해석하여 설명합니다. 6장은 정치체로서의 비화가야의 전개과정을 대외적/대내적 관정에서 간략하게 소개했으며, 7장은 결론으로서 서장에서 제시된 문제의식에 대한 해답과 한계, 전망과 남겨진 과제 등을 서술하고 있습니다.

40년간의 고고학 연구의 여정을 정리하는 프로젝트로 기획된 가야각국사총서 1비화가야(非火加耶)』가 본격적인 가야 연구의 새로운 계기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새로 보는 가야각국사 총서를 집필하며    5

. 연구사의 검토와 본서의 목적    7

. 편년    21

1. 상대편년        21

2. 역연대    26

. 역사지리적 환경    31

. 유적    41

1. 남부    41

2. 북부    80

. 유물    133

1. 토기    133

2. 장신구    138

3. 무기    151

4. 무구    159

5. 마구    162

6. 청동용기        166

7. 철정    169

8. 농공구    171

. 비화가야사의 전개    175

1. 비화가야의 대외교류와 발전배경        175

2. 비화가야의 구조와 변천    200

. 맺음말        207

참고문헌        213

후기        233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78개(1/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778 켈트, 게르만, 스카타이를 넘어서: 유럽의 철기시대 고고학과 정체성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7 2025.06.27
777 한국의 고고학 67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0 2025.06.27
776 백제 국가제사 연구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64 2025.06.11
775 대가야의 성장과 금공문화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50 2025.04.23
774 일본 고고박물관 개론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53 2025.04.23
773 무덤 고분, 영생을 꿈꾸다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44 2025.04.23
772 발굴과 사색 청동기시대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93 2025.03.20
771 한국의 고고학 66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222 2025.02.17
770 한국의 고고학 65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298 2024.11.19
769 안즈민 일기 - 1963~65년 조중고고발굴대의 고조선 연구와 역사 분쟁...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40 2024.11.19
768 우리 시대의 가야사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440 2024.10.24
767 한국의 고고학 64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48 2024.08.08
766 평양 대동강면 무덤떼의 축조 집단 연구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99 2024.07.12
765 카자흐스탄과 한국, 5천년의 파노라마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53 2024.06.28
764 쟁점, 한국 고대사 그 해답을 찾다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496 2024.05.23
763 한국의 고고학 63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615 2024.04.19
762 고고학 첫걸음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97 2024.03.08
761 자연환경 그리고 신라의 발생과 붕괴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88 2024.02.14
760 [신간] 처음 읽는 한국고고학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792 2024.02.08
759 화학고고학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508 2024.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