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백제 아포칼립스 2 - 주류성 및 탄현은 어디인가?

2024-01-11 10:01:21
조회 75

도서 개요

 

 - 제목 : 백제 아포칼립스➋  - 주류성 및 탄현은 어디인가?

 - 지은이 : 서동인

 - 판형 및 페이지 : 155 X 220mm / 404 페이지

 - 발행일 및 가격 : 20231218/ 가격 25,000

 - ISBN 978-89-6246-517-4 93910

 - 주류성출판사 02-3481-1024 (대표전화) / 02-3482-0656 (FAX)

                    e-mail : juluesung@daum.net / 홈페이지 : www.juluesung.co.kr

 

도서 소개

 

백강 및 기벌포와 주류성의 위치를 찾는 일은 백제사 복원에 중요한 핵심

 

당과 신라는 부흥백제를 멸망시키기 위한 마지막 전투로서 6638월과 9월 북벌(北伐)을 감행했다. 서부 임존성과 북부 주류성을 포함한 백제의 북방 지역을 평정하기 위한 출정이었다. 백강해전은 당군이 주도하고, 신라군이 돕는 방식으로 치러졌다. 대신 주류성 전투는 신라군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네 차례의 연이은 백강해전 패전을 지켜본 주류성의 백제인들은 마침내 항복을 결정하였고, 주류성을 지키던 백제군은 대부분 포로가 되었다.

저자는 향찰과 지명, 그리고 고대 기록을 바탕으로 주류성이 지금의 충남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과 전동면에 있는 운주산성임을 상세하게 밝혔다. 충남 금산과 전북 완주군 운주면 일대의 요로(要路)인 탄현을 거쳐 백제를 침공한 신라와, 66079일 아침 일찍 부여 세도면의 금강 하류 및 78일 백강(기벌포)으로 쳐들어온 당군의 전쟁 개시 시점으로부터 3년여에 걸친 백제인들의 처절한 구국 항전 운동이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신라는 백제의 요충인 탄현(침현)과 삼로(三路)로 기습함으로써 마침내 백제 평정에 성공할 수 있었다. 저자는 여기서 백제 침략 당시, 신라 군대의 진군로인 백제 탄현(炭峴)과 침현(沈峴) 3로를 새롭게 제시하였다.

 

백제 말기의 사정을 이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여러 가지 새로운 내용들을 이 책에 제시하였다. 물론 한국 고대사에는 이 외에도 풀어야 할, 미스터리한 사건들이 많다. 나아가 한국 고대사 및 역사학 분야의 연구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획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우선 월등한 연구 인력을 양성하는 데 국가적 지원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우리의 삶과 거리가 먼 과거의 일이라 하여 고대사를 가벼이 보아서는 안 된다. 그것은 현재의 우리와 아주 가까이 그리고 깊이 연결되어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출판사 서평

 

한국 고대사의 비밀‘ 1360년 만에 풀었다!

 

백강 및 주류성이 어디인가 하는 문제를 연구하면서 저자가 중점을 두었던 몇 가지 사항들을 정리하여 제시해 둔다.

 

백제사에서 왜 백강(기벌포주류성이 그토록 중요한 문제인가?

백제가 당과 신라를 상대로 한 마지막 구국전쟁을 주류성과 임존성에서 시작했고, 백강(기벌포)해전에서의 패전으로 백제인들의 구국운동(부흥 운동)은 실패로 끝났다. 그러므로 부흥 운동의 중심지였던 기벌포(백강) 및 주류성의 위치와 그곳에서의 당시 상황을 정확히 알아야 부활을 꿈꾼 백제인들의 항전 활동과 구국운동이 패망에 이른 과정을 선명하게 복원할 수 있다.

 

왜 일본인들은 백강(기벌포주류성을 전북 지역에서 찾으려 했는가?

일본인들은 중국과 한국의 관련 기록을 제대로 들여다보지 않은 채, 막연한 추측에서 이 문제에 접근하였다. 정확한 자료와 증거를 제쳐두고 단순한 상상만으로 전북 지역에서 백강·주류성을 찾으려 했던 것이다. 그런데도 어찌 된 일인지 우리의 연구자들은 일본인들의 역사 인식을 추종하여 스스로 발목에 족쇄를 채우고 말았다. 1백여 년 전 일본인들이 세운 가설을 그대로 이어가려 애쓰는 이들이 지금도 있다. 무엇보다도 한··일 삼국의 관련 자료를 제대로 들여다보지 않은 것이 큰 문제였다. 백강을 지금의 금강하구로부터 전북 서부권(김제·부안)의 만경강이나 동진강으로, 주류성은 부안~정읍 등의 전북 지역에 있을 것이라는 일본인들의 주장은 근거가 없는 허구다. 연구자로서 기본 자질이 부족한 자들이 남의 나라에 들어와 온통 혼란을 불렀다. 그럼에도 그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조차 제기하지 않고 맹목적으로 그들의 견해를 추종한 국내 연구자들이 있었다.

 

당군과 신라군은 어디로 먼저 들어왔는가?

중국 기록에 당군은 덕물도(덕적도)로 들어온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소야도가 당군의 첫 주둔지였다. 거기서 당군은 어디를 최초의 공략지점으로 삼았는가 하는 점이 중요하다. 간단히 정리하면 당군은 소야도에서 좌군과 우군 두 진영으로 나누어 좌군은 당진으로, 우군은 웅진강(금강) 하구의 부여로 들어갔다. 따라서 당군과 신라군의 침입 초기 전장은 당진 백강 웅진강 하구 황산벌 세 군데에 형성되었다. 웅진강으로 들어간 우군은 세도면 반조원리에 상륙했다가 그 맞은편으로 옮겨가서 석성면 봉정리 일대를 주둔지로 삼았다. 같은 날 비슷한 시각에 황산벌로 들어간 김유신의 신라군은 계백 군대와 싸우느라 10일까지 황산벌에 묶여 있어야 했다. 신라 및 당 연합군은 712일에야 가까운 부여 석성면 지역에서 사비도성을 향해 진군하였다.

 

당군의 웅진강 상륙 시간은 언제일까?

소정방과 그가 거느린 우군은 66079(음력) 아침 조금의 오름 물때(들물)에 맞춰 금강(웅진강)으로 거슬러 올라왔다. 그날 아침 바닷물이 불어나는 이른 시간에 반조원리 및 고다진으로 상륙하였다. 그러므로 군산항 조석표를 기준으로 바다 물때를 계산하면 당군이 상륙한 시간을 정확히 계산해낼 수 있다. 그에 따르면 소정방의 상륙 시간은 79일 오전 9~10시 전후였다. 그리고 그날 저녁(오후 6~7시 이후) 무렵, 두 번째 오름물때에 맞춰 건너편 석성면 봉정리 일대로 상륙을 재개하였다. 이렇게 해서 소정방과 당군은 신라군과의 약속대로 79~10(무쉬 물때) 사비성 남쪽 20리 지점으로부터 30리 사이의 10리 범위에 집결하였다.

 

기벌포(백강)를 추적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열쇠는 향찰과 고대어였다.

향찰 및 지명과 한국 고대어(백제어)로써 기벌포(백강)의 위치를 분석해냈다. 한국 고대어가 한자 지명으로 바뀌어가는 과정에 주목하여 기벌포는 현재의 삽교호 내 수면인 당진시 우강면 부장리 남원포임을 밝혔다. 남원포 옆 강문리가 옛 백강구(白江口)였고, 거기서 상류로 합덕읍 구만리 일대까지가 기벌포 및 백강의 범위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백강은 지금의 삽교천이었다. 이런 것들을 해독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열쇠는 한국 고대어와 향찰이었다.

 

주류성(周留城)은 전성(全城), ‘백제인이 두루 머무는 성을 의미

주류성(周留城)을 향찰로 풀면 전성(全城), 전기(全歧) 그리고 한자 본래의 뜻으로는 백제인이 두루 머무는 성이다. 주류성이 바로 부흥 백제의 수도에 있던 성이었다. 예산 임존성과 마찬가지로 주류성(운주산성)은 최후의 항전 성으로 그곳엔 부흥백제국의 왕 부여풍의 군 지휘부가 상주하였을 것이다. 그간에는 향찰 연구가 부족했으므로 지명에 얽혀 있는 암호를 해독하지 못하였다. 저자는 현재의 운주산성(충남 세종시 전동면)을 주류성으로 확정하였다. 다만 부여풍과 부흥 운동 지도자들은 운주산성 입구의 미곡리 일대나 지금의 전의읍 읍성을 포함한 평지 어딘가에 거주하였을 것이다.

 

·중의 일차 사료를 주의 깊게 보지 않은 게 문제였다.

당시 임존성은 서부의 중심이었고, 주류성은 북부에 있는 부흥백제의 왕성이었다. 해당 지역들을 서부와 북부로 설명한 한·중의 기록을 잘 살펴보았더라면 전북 지방에서 백강과 주류성을 찾는 무지한 일은 없었을 것이다. 물론 백제 부흥을 위한 구국운동을 벌이기 전에는 북부의 중심은 오히려 목천이나 지금의 청주지방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당시의 조건에서 부흥 운동에 가장 적합한 요충이 주류성이었으므로 목천과 주류성을 최후의 저지선으로 택했을 것이다. 나아가 삼국사기문무왕 답설인귀서의 남방이 평정되고 나니 군대를 돌려 북쪽을 쳤다”(南方已定 回軍北伐)는 내용과 북부 주류성이란 기록을 정확히 이해했더라면 최소한 사비 시대 백제 북방 지역으로서 웅진방령(=북방성 방령)의 관할지인 북부에서 주류성을 찾는 시도는 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아무도 그것을 파악하지 못했고 그런 시도 자체가 없었다. 그것이 바로 아무도 관련 기사를 제대로 읽지도 않았고 주목하지도 않았다는 증거다.

 

 

목차

 

, 주류성은 어디인가?

1. 충남 지방 백제 지명(地名)에 숨겨진 비밀 코드

 - 당군의 첫 도착지 소정방섬소야도(蘇爺島)

 - 나당군이 712일 중에 격파한 부여 파진산의 백제 수비군

 - ‘승적(勝敵)’이란 지명에 스며 있는 백제인들의 항전 흔적들

 - 당군의 첫 백제 상륙지, 당진 자래현(子來縣)

 

2. 탄현은 어디인가?

 - 탄현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들

 - 침현과 탄현 같은 지명인가, 다른 이름인가?

 - 고려사·삼국유사가 전하는 탄현과 탄령

 - 조선의 지리서들이 기록한 탄현은 실체가 없다!

 - 조선의 기록대로면 진안 주천면 싸리재가 탄현일 수 있어

 - 금산 남이면의 백령치는 탄현일 수 없어

 - 운주 쑥고개 탄현 설의 또 다른 문제점들

 - 쑥고개의 한자명은 애현(艾峴), 숯고개는 탄현

 - 탄현은 진산 교촌리 숯고개, 침현은 진산 막현리 고개


3. 주류성의 실체와 의미 그리고 그 위치에 대하여

 - ‘周留城의 백제 향찰 및 한자 의미 서로 달라

 - 周留城은 백제 향찰 두루기’, 豆率城은 신라 향찰 두루성(두루기)

 

4. 전씨아미타불비상과 삼존천불비상

 - 주류성의 백제 유민들 불상을 봉헌하다

  1)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

  2) 계유명삼존천불비상(癸酉銘三尊千佛碑像)

 

5. 구마노리성과 여자진(余自進)의 부흥 운동

 - 익산 금마면 동고도리의 성이 구마노리성일 것

 - 대관사 괴변 기사는 김춘추의 죽음과 관련 있어

 

6. 두량윤성(豆良尹城)은 어디인가?

 - 두량윤성에 대한 몇몇 연구자들의 견해

 - 두량윤성은 어디에 있었나?

 - 고사비성 및 두량윤성 전투에서 백제군의 승리

 - 두릉이성의 두릉이는 백제어 두렝이의 향찰표기

 - 두릉윤성과 두량윤성의 윤성(尹城)은 무엇인가?


7. 고사비성은 어디인가?

 - 고사비성은 백제 소비포현의 현성(縣城)이었을 것

 - 좌평 정무(正武)의 부흥 운동과 두시원악

 

8. 전의 주류성은 부흥 백제의 왕성, 북부의 중심은 목천

 - 주류성에 대한 여러 기록

 - 서부 임존성과 북부 주류성은 북방성 관할 지역

 - 백제 온조왕의 십신과 천안 전 씨 설화

 - 백제 멸망 후 천안 전 씨들 함경도 단천으로 사민된 듯

 

9. 주류성은 어디인가?

- 주류성에 관한 제설(諸說)의 문제점들

- 그렇다면 주류성은 어디인가?

 

10. 피성(避城)은 어디인가?

 

. 백제 멸망기 인물 열전

 1. 사비도성 함락과 함께 일어선 부흥 운동 지도자들

  1) 부여풍(扶餘豊)

  2) 부여용(扶餘勇)

  3) 흑치상지(黑齒常之)

  4) 사타상여(沙吒相如)

  5) 복신(福信)

  6) 도침(道琛)

  7) 여자진(餘自進)

  8) 규해(糺解)

  9) 정무(正武)


2. 부여풍은 언제 부흥 백제국의 왕이 되었나?

 - 소정방의 철군 직후~1차 사비성 공격 이전에 왕에 추대돼

 - 백제 부흥군, 6637월에도 사비성 공격한 듯

 - 백제 부흥군, 1차 사비성 공격 때 두 차례나 공성전 벌여

 - 부여풍 국왕 추대 관련 일본서기기록 믿을 수 없어

 

3. 천안 병천 전투에서 전사한 신라 화랑 기파랑(耆婆郞)과 은석사 설화


4. 웅진방령 예 씨 일가의 배신과 의자왕의 항복

 - 웅진방령 예군, 웅진성 대장(방좌) 예식진의 배신

 - 예군·예식진-예소사-예인수 묘지명 내용 대략 같아

 - 수 왕조 말에 예군·예식진의 아비 예선이 백제로 망명

 - 백제 멸망 후 예군은 웅진도독부사마’, 예식진은 동명주자사 지내

 

5. 묘지명으로 보는 부여륭(扶餘隆)의 생애

 

6. 여러 기록으로 보는 흑치상지의 생애

 

7. 진법자 묘지명으로 본 백제의 관직

 

참고문헌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4개(1/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764 좋은 박물관 위험한 박물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6 2024.04.25
763 한국의 고고학 63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27 2024.04.19
762 고고학 첫걸음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06 2024.03.08
761 자연환경 그리고 신라의 발생과 붕괴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21 2024.02.14
760 [신간] 처음 읽는 한국고고학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178 2024.02.08
759 화학고고학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77 2024.02.08
758 대중고고학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83 2024.02.08
757 생물고고학: 인간유해 연구에 대한 통합적 접근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83 2024.02.07
756 신라토기연구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104 2024.02.07
755 Archaeology of Korea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76 2024.02.07
754 선사시대 인류의 문화와 문명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77 2024.02.07
753 신라 6부의 고분 연구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68 2024.02.07
752 한 권으로 읽는 박물관학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71 2024.02.07
751 2019년 가야학술제전 학술총서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63 2024.02.07
750 전쟁 고고학: 선사시대 폭력의 민낯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62 2024.02.07
749 목간으로 백제를 읽다: 나뭇조각에 담겨 있는 백제인의 생활상 사진 사회평론 아카데미 72 2024.02.07
748 청동기와 중국 고대사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54 2024.02.07
747 지질고고학 입문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61 2024.02.07
746 무료 배포 신간- 『임진-한탄강 유역 구석기 연구의 성과와 전망』(202... 유용욱 91 2024.01.15
>> 백제 아포칼립스 2 - 주류성 및 탄현은 어디인가?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76 2024.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