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고학보
- 제 56집 2005.8 보기
- 제 55집 2005.4 보기
- 제 54집 2004.12 보기
- 제 53집 2004. 08 보기
- 제 52집 2004.04 보기
- 제 51집 2003.12 보기
- 韓國考古學報 第50輯 2003. 8 보기
- 韓國考古學報 第49輯 2003. 4 보기
- 韓國考古學報 第48輯 2002. 12 보기
- 韓國考古學報 第47輯 2002. 8 보기
제 56집 2005.8 | |
---|---|
<論文> | |
區系類型論과 중국 동북지방의 고고학 -중국 동북지방 고고학에 대한 이론적 접근- | 姜仁旭 |
밀양 금천리의 홀로세 후기 환경변화와 농경활동 | 윤순옥·김혜령·황상일·최정민 |
無文土器時代의 취락 구성 -中西部地域의 驛三洞 類型- | 宮里 修 |
웅기 송평동 출토 貝殼 및 貝殼形 玉 검토 -한반도 동북지역의 화폐사용과 관련하여- | 박선미 |
제 55집 2005.4 | |
---|---|
<論文> | |
韓國考古學 編年硏九를 위한 考古地磁氣學의 基本原理 및 適用 | 성형미 |
栽培麥類의 基源과 傳播 -近東에서 中國까지- | 安承模 |
GIS를 이용한 新羅古墳群 空間組織의 分析 | 李盛周·孫 徹 |
백제 사비기 목제유물의 도구흔적 분석 | 한상효·박원규 |
제 54집 2004.12 | |
---|---|
<논문> | |
남한내륙 중기신석기시대 토기문양의 공간적 분포양상 | 金壯錫 |
중부 지역 역삼동 유형과 송국리 유형의 관계에 대한 일고찰 -역삼동 유형의 하한에 주목하여- |
李眞旼 |
통일신라~조선전기 평기와 제작기법의 변천 | 이인숙 |
<說林> | |
"초철기시대 ·원삼국시대 재론"에 대한 반론 | 최성락 |
제 53집 2004. 08 | |
---|---|
<논문> | |
유적의 형성과 후퇴적과정에 대한 기초적 연구 - 역사시대 유적의 층위와 층서관계 해석에 대한 방법론을 중심으로 - |
이성준 |
영남지역 출토 삼한시기 倣製鏡의 文樣과 의미 | 李在賢 |
고대의 판상철부에 대한 검토 - 영남지역 분묘 출토품을 중심으로 - |
金度憲 |
삼국시대 용문양의 수용과 발전 | 장용준 |
제 52집 2004.04 | |
---|---|
<논문> | |
고고학의 철학적토대 | 김종일 |
울산 대곡리 반구대 선사유적의 동물그림 - 생태적 특성과 계절성을 중심으로 - |
이상목 |
초기철기시대 · 원삼국시대再論 | 李熙濬 |
技術,理葬儀禮, 그리고 土器樣式 - 尙州地域 洛東江以東 土器儀式의 成立에 대한 解釋 - |
李盛周 |
百濟 有蓋三足器의 編年 硏究 | 土田純子 |
제 51집 2003.12 | |
---|---|
<논문> | |
磨製石器 分析을 통한 寬倉里遺蹟 B區城의 性格檢討 | 孫晙鎬 |
충청지역 송국리유형 형성과정 | 金壯錫 |
백제 수형식 석곽묘의 형식학적 연구 | 이성준 |
김해 및 부산지역古墳 출토 倭系遺物에 대하여 | 井上主稅 |
韓國考古學報 第50輯 2003. 8 | |
---|---|
<論 文> | |
동물 자료를 통한 유적 성격의 연구 -동삼동 패총의 예- | 李後貞 |
支石基 上石運搬에 대한 試論 | 李宗哲 |
三國時代 아궁이틀에 대한 考察 | 徐賢珠 |
5. 6세기 洛東江以東地域과 日本列島의 交涉에 관한 察 | 高田實太 |
百濟火葬에 대한 考察 | 山本孝文 |
韓國考古學報 第49輯 2003. 4 | |
---|---|
<論 文> | |
금강 상류 무문토기시대 무덤의 형식과 변천 | 金承玉 |
한강유역출토 고구려토기의 제작기법 검토 | 梁時恩 |
大加耶土器의 擴散과 관계망 | 朴升圭 |
韓國考古學報 第48輯 2002. 12 | |
---|---|
<論 文> | |
韓半島 細石核의 編年 | 장용준 |
울산시 황성동 세죽 해안의 Holocene 중기 환경변화와 인간생활 | 황상일 · 윤순옥 |
남해안 신석기 시대 생계 전략의 변화 양상 -패총 출토 동물 자료의 새로운 해석- | 李俊貞 |
남한지역 후기신석기-전기청동기 전환: 자료의 재검토를 통한 가설의 제시 | 金壯錫 |
咸安 城山山城 出土 木簡의 性格 檢討 | 朴鍾益 |
韓國考古學報 第47輯 2002. 8 | |
---|---|
<論 文> | |
구석기 유물의 탈색화 과정에 대한 고찰 | 이형우 |
중서부지역 송국리복합체 연구 -주거지를 중심으로- | 禹姃延 |
4 ~ 5세기 신라 고분 피장자의 服飾品 着裝 定型 | 李熙濬 |
百濟 사비期 石室墳의 階層性과 政治制度 | 山本孝文 |
古代의 氷庫와 喪葬禮 | 金吉植 |
34134)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99 충남대학교 박물관 회의실 內 한국고고학회 TEL 042)605-3798 FAX 042)605-3799 E-MAIL kras28@daum.net
ⓒ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