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고구려 고분벽화 유라시아 문화를 품다
ISBN : 978-89-5508-331-6 93910
분량 : 640쪽
가격 : 55,000원
구입문의 : 02-2026-0541
목차
서론 | 고구려와 유라시아문화 7
1장 | 고구려 고분벽화의 유라시아적 문화요소의 연원 31
1절 | 고구려와 중국 한위진 벽화고분의 발달과 연원 33
2절 | 중국 고분회화의 연원: 중국 춘추전국~한대 초문화 95
3절 | 스키타이와 흉노의 미술로 본 북방문화권대의 형성과 특징
- 고구려 벽화에 보이는 북방기류의 형성 135
2장 | 고구려 고분벽화의 유라시아적 문화요소의 형성과 발전 213
1절 | 고구려 벽화의 장식 문양과 금장錦帳의 표현과 기능 215
2절 | 고구려 집안지역 고분벽화에 보이는 유라시아적 문화요소
- 각저총과 무용총의 벽화 구성과 주제를 중심으로 253
3장 | 중국 북조-수당 고분의 유라시아적 문화요소의 전개 319
1절 | 중국 북조의 벽화묘에 보이는 유라시아계 문화요소와 그 연원 321
2절 | 중국의 북조 시대 고분 출토품에 보이는 유라시아계 금은기물의 전래
- 고구려 벽화고분에 보이는 유라시아계 문화의 유입 경로
이해를 위하여 385
3절 | 중국의 수당대 북방기류의 확장
- 몽골의 볼간 아이막 바양노르 솜 올란 헤렘 벽화고분 463
4절 | 중국 출토 소그드계 미술에 보이는 그레코-이란 양식의 연원 511
부록 | 영문초록 619
참고문헌 629
색인 634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수 |
등록일 |
---|---|---|---|---|
598 |
『북방고고학개론』소개
![]()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425 | 2018.07.04 |
597 | 건축유적의 발굴과 해석 | 서경문화사 | 1328 | 2018.06.22 |
596 | 三國史記 본기의 원전과 편찬 | 최병식 | 1121 | 2018.06.20 |
595 | 한국 고대사의 기본 사료 | 최병식 | 1090 | 2018.06.15 |
594 | 북방 유라시아 제사 고고학의 현황과 과제 | 최병식 | 1134 | 2018.06.05 |
593 | 백제 도성 연구 | 서경문화사 | 1097 | 2018.05.31 |
592 | 안라(아라가야)의 위상과 국제관계 | 권혁재 | 976 | 2018.05.31 |
591 |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형성과정 연구 | 최병식 | 1131 | 2018.05.08 |
590 | 무기형 석기의 비교 고고학 | 서경문화사 | 1376 | 2018.05.03 |
589 | 고고 유물의 관찰과 유구 조사방법 | 사회평론 아카데미 | 2119 | 2018.04.18 |
588 | 한국고대사와 백제 고고학 | 서경문화사 | 1522 | 2018.04.05 |
587 | 한국고대사의 재인식 | 서경문화사 | 1144 | 2018.04.05 |
586 | 인류의 기원과 진화 (제2판) | 사회평론 아카데미 | 1736 | 2018.03.29 |
585 | 『전남지역 고대문화의 양상과 교류』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006 | 2018.03.27 |
584 | 『영산강유역 마한제국과 낙랑•대방•왜』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239 | 2018.03.27 |
583 | 고구려 복식 문양의 도안 연구 | 권혁재 | 1202 | 2018.03.08 |
582 | 『타제석기의 제작과 이해』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492 | 2018.03.06 |
581 | 『고대 한반도 중부지역의 제철기술 연구』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314 | 2018.03.06 |
580 | 『러시아 극동지역의 역사』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900 | 2018.03.06 |
579 | 목간과 문자 연구 18 | 최병식 | 905 | 2018.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