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동물고고학 입문(고고학 핸드북 시리즈3)

2014-09-24 00:00:00
조회 1430

서기전 6460년 늦은 가을 어느 날,
덴마크 동부에서 옛 야생소인 오록스 한 마리가 숲가를 뚫고 뛰쳐나와 작은 호수의 가장자리를 향해 힘겨운 발걸음을 옮겼다. 어깨 부위 높이가 약 1.85미터이고 무게는 거의 1톤이 나가는 이 거대한 짐승은 치명상을 입고 있었다. 소규모 사냥꾼 집단이 도망가는 이놈을 추적해 적어도 열두어 발의 화살을 맞혔던 것이다. 죽어가던 황소는 사냥꾼과 상처의 고통 둘 다에서 벗어나기 위해 비틀거리며 차가운 물속으로 들어갔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 동물의 시체는 호수 바닥으로 서서히 가라앉았고 그 자리에서 그대로 사냥꾼과 자연의 영력 둘 다를 벗어났다. 시간이 지나면서 호수의 퇴적물이 시체와 그것을 죽인 화살들을 서서히 덮었다. 이후 그 뼈와 화살촉들은 교란되지 않은 채로 8000년 넘게 잔존했다.
 1983년 덴마크의 한 농부가 자기 땅 안 습지 부분의 물을 빼기 위해 도랑을 파고 있었다. 그의 삽은 도랑 바닥에서 옛 오록스의 거대한 머리에 부딪쳤다. 오록스는 야생소로서 오늘날의 가축 소보다 훨씬 크며 덴마크에서 서기전 3000년경에 멸종했다. 이 농부는 코펜하겐 동물 박물관에 연락했고 그 발견물을 조사하기 위해 조사단이 나왔다. 더 많은 뼈가 땅속에 있음이 분명했다. 발굴이 실시되었고 이 거대한 놈의 완전한 유골이 드러났다. 발굴자들이 이 작업을 주도면밀하게 벌였고 퇴적물을 체질했기 때문에 이 동물의 등과 뒷부분 속에서 작은 플린트제 투사용 첨두기들을 여러 점 발견했다.
 이 오록스의 유골은 그 거대한 플라이스토세 절멸 소의 유체가 잘 보존된 사례이자 동물고고학의 고전적 사례이다. 그리고 거의 사라져버릴 뻔했던 과거의 특정한 순간을 우리에게 생생하게 일깨워주는 실물이다.

동물고고학이란
동물고고학은 고고학 유적에서 출토된 동물 유체, 즉 뼈, 이빨, 뿔, 상아, 가죽, 터럭, 비늘, 조가비 등에 대한 연구를 말한다. 고고학에서 동물 관련 자연 유물은 동물 유체라고도 하며, 그래서 동물고고학자는 때때로 동물상 분석가라고도 불린다. 동물고고학자는 과거 인간과 동물 사이의 관계를 관심사로 삼고, 모든 종류의 동물을 연구한다. 포유동물, 새, 물고기, 파충류, 양서류와 더불어 연체동물과 여타 무척추동물도 연구 대상이다.
 동물고고학자는 동물들이 약취되었는지, 사냥되었는지 아니면 길러졌는지, 동물이 어떻게 도살 해체되었는지, 육류가 식단에 얼마나 기여했는지, 동물이 언제 죽었는지, 동물의 순화 과정은 어떠했는지 등의 질문에 답한다. 동물고고학자는 작은 뼈 조각으로부터 동물의 속과 종을 동정해낼 뿐만 아니라 동물의 나이와 성별, 어떤 이유로 뼈가 조각났는지, 뼈 일괄이 얼마나 많은 동물 개체를 대변하는지 판정할 수 있도록 훈련받는다.
 학자들은 동물을 동정하면서 동물고고학의 동물들에 대해 일정하게 학명, 즉 라틴어 이름을 쓰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동일한 속과 종을 다루고 있음을 서로 알게 하자는 것이다. 동물상 연구는 어떤 동물을 사냥하고 먹었으며 어떤 비율로 그랬는지 보여줄 수 있다. 또 동물상 분석은 다 큰 놈과 어린 놈 사이의 비율 및 암컷과 수컷 사이의 비율에 대한 추산치를 줄 수 있다. 사슴과 같은 한 종에서 특정 나이 집단이 우세하다면 이는 특정 계절 사냥 혹은 선택적 사냥이 행해졌음을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유적에 석 달에서 여섯 달 된 사슴들이 큰 비중으로 남아 있다면 이는 그 동물들이 주로 가을에 잡혔음을 시사하는데 사슴은 봄에 새끼를 낳기 때문이다.
 동물 유골의 특정 부위가 있고 없고는 그 동물이 도살 해체된 방식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 그 동물을 인간이 사는 곳에서 해체했는지 아니면 다른 곳에서 죽인 후 스테이크와 두껍게 베어낸 고깃점을 거주지로 갖고 왔는지 보여줄 수도 있다. 긴뼈의 깨어진 정형은 골수를 꺼내 먹기 위해 의도적으로 깨뜨렸음을 드러낼 수 있다. 뼈에 남은 자른 흔적들을 분석해보면 해체 기법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모든 동물을 반드시 먹을거리로만 사냥한 것은 아니었다. 뿔, 털가죽, 뼈, 가죽 같은 먹을거리가 아닌 부위들 또한 도구와 장비를 만드는 데 이용된 중요 재료였다.

고고학 핸드북 시리즈 3 <동물고고학 입문>
이 책의 주제인 동물 뼈는 고고학 유적을 발굴할 때 거의 항상 발견되고 있다. 오늘날 고고학자들은 동물 유해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으며, 동물고고학은 고고학 유적을 연구함에 있어 빠질 수 없는 역할을 하고 있다. 유적에서 발견되는 고대동물의 유해는 우리 조상들의 식료품 찌꺼기일 뿐만 아니라, 환경과 생활양식, 특히 사람과 동물 사이의 관계가 어떤 성격인지 말해주는 흥미로운 정보를 풍부히 제공해준다.
<동물고고학 입문>이라는 이름의 이 책은 1987년 초판이 발간된 The Archaeology of Animals의 번역서이다. 이 책을 번역한 것은 동물 유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문가도 찾기 힘든 우리 사정에서, 동물고고학의 여러 면모를 소개해주고 있어 관련분야 입문서 역할을 해줄 수 있는 이 책을 통해 동물 유해 연구에 관심이 있는 고고학 전공자 및 일반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기를 희망하기 때문이다.
책의 구성은 동물고고학 성립과 관련된 학사적 배경을 서장에서 소개한 다음, 1장에서 4장에 걸친 제1부에서는 고고동물 자료의 기본적 성격, 뼈와 이빨의 발생학 및 해부학적 특징, 고환경 해석 및 유적 점유시기의 연구를 중심 주제로 삼아 주요 방법론을 소개하고 있다. 이어 제5장에서 제8장에 걸친 제2부에서는 구체적인 연구사례를 살펴보고 있으며, 각 장은 인류 진화와 동물사냥 여부의 판단, 가축의 기원, 가축화의 확산 및 영국에서의 동물고고학 연구를 큰 주제로 다루고 있다.
서장에서 저자는 서구에서 동물 유해에 대한 연구는 고고학을 비롯한 박물학(즉 자연사)과 관련된 여러 분야 학문과 동일한 배경을 갖고 성립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후 고고학의 발전과 더불어 유적에서 발견되는 동물 뼈는 고고학 자료의 편년이나 가축의 등장을 비롯한 여러 문제를 설명하는 자료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제1장은 살아 움직이던 동물이 동물고고학 연구자의 눈앞에 있는 고고동물 자료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일목요연하게 설명해준다. 저자는 유적에서 발견된 뼈가 연구 자료가 되기까지 수많은 변형과정을 겪는다는 점에 유의할 것을 강조하며, 치밀한 자료 수집의 중요성과 뼈의 동정과 관계된 여러 문제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제2장은 동물 뼈를 연구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만 하는 골격 각 부위의 해부학적 특징과 발생학적 기초지식을 설명하는 내용이다. 이는 동물의 연령 파악 및 종의 동정에 대한 출발점이 되기 때문에, 관계 내용의 숙지는 동물 뼈 연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제3장에서 저자는 고고동물 자료가 과거의 환경조건 복원에 중요한 단서가 됨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즉, 특정 종의 존부 여부, 종의 빈도, 개체의 크기와 형태 등이 기후와 식생을 비롯한 인간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자연환경에 대해 무엇을 어떻게 말해줄 수 있는지 유럽, 아프리카, 근동,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제4장은 동물 뼈에서 보이는 해부학적, 발생학적 특징으로부터 유적점유의 계절성을 어떻게 유추할 수 있는지, 또 상이한 자료가 계절성 해석에서 서로 상충되는 양상일 경우에는 모순된 결과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등의 문제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물고기와 조개껍질 분석을 통한 유적점유의 계절성 연구는 특히 패총 유적과 관계되어 우리나라에서도 앞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시도할 필요가 있는 분야라 여겨진다.
제2부를 여는 제5장에서 필자는 동물 뼈에 남겨진 인간행위의 흔적 해석과 관련된 사냥의 존부여부 문제를 설명하고 있다. 또 인류의 확산과 동물의 멸종 사이의 상관관계를 큰 비중으로 다루고 있다. 거대동물상의 멸종에 대한 설명은 인류 진화사 연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문제이다.
제6장은 문명의 발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 가축동물의 기원을 다루고 있다. 양/염소에 대한 설명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근동지역 고대문명의 기원이라는 인류문화사의 거대한 문제와 직결되는 내용이다. 또 방법론과 관련된 내용으로서 가축화가 이루어졌음을 판단할 수 있게 해주는 증거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제7장은 6장의 내용에 이어 고기가 아닌 젖과 울 및 축력 같은 동물의 이차적 이용 및 말이나 낙타, 라마 등을 비롯한 보다 늦은 시기에 가축이 된 동물의 가축화 문제를 다루었다.
책의 마지막 부분인 제8장에서는 영국의 동물고고학 연구 상황을 구석기시대부터 시작해 가까운 과거에 이르기까지 긴 시기에 걸쳐 통사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영국의 사례는 동물고고학 연구가 얼마나 다양한 문제를 접근하고 있는지, 또 문헌기록의 내용을 어떻게 보충해주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등자의 사용이나 페스트의 확산, 토끼 보급 등에 대한 설명은 동물 뼈 연구가 생활사의 복원에 기여할 수 있는 바를 말해준다.

차례

한국어판 서문 8
옮긴이 서문 9
감사의 말씀 13
독자에게 알리는 말씀 14

서장 19세기의 고물애호가와 동물 뼈 – 여명기의 사정 15
책의 목적 16
고대인과 동물 유해의 공반 16


제1부

제1장 동물고고학의 연구방법과 과제 23
동물고고 자료의 형성 24
동물고고 자료 형성 요인 25
자료변형 유발 요인 27
현장 작업: 고고학자와 자료 수습 기법 31
실험실에서: 뼈의 동정과 비교연구용 자료의 중요성 35
동정 가능성 및 개체수 계산 39
산 동물과 죽은 동물 41
계측에 대하여 42
사망 시점의 나이 44
성별 차이 50
종합 53
제2장 뼈와 이빨이란 무엇인가? 55
뼈의 전반적 구조 56
화학적 특징과 생물학적 광물생성작용 56
뼈의 발생학적 분류 57
뼈의 조직학과 골화 과정 57
막내골화 – 막 속에서 일어나는 뼈 형성과정 58
연골성 골화 – 연골 내에서의 뼈의 형성 59
포유동물의 골격 63
이빨 66
뿔과 녹용 69
물고기, 연체동물 기타 71
제3장 고환경 복원에 대하여 73
동물 종의 존부 여부 73
종의 상대 빈도 75
신체 크기 83
신체 형태 – 개고둥 87
기생충 89
제4장 유적 사용의 계절성 91
정착생활과 출생률 92
계절성의 증거 92
사우스다코타 원주민 무덤과 곤충 93
마이엔도르프 – 뼈의 성장과 녹용 및 새 93
영국 요크셔 스타카 유적 - 녹용과 이빨 94
프랑스 아브리파토 – 순록의 녹용과 태아 뼈 및 발아중인 이빨과 시멘트질 침적 띠 95
이스라엘 – 새끼 영양 유치 97
캘리포니아 - 물고기 99
오론세이 섬의 물고기 이석 100
연체동물 달력 103
생장선 분석 103
껍질의 성장 104
산소동위원소 분석 106


제2부

제5장 사냥의 역사 113
고인류: 사냥꾼인가 혹은 버려진 사체의 뒤처리자인가? 119
종별 상대빈도 122
나이와 사망률의 양상 122
식량획득 활동의 강도 124
현대인의 진화: 현대인이 환경에 미친 영향 125
신대륙으로의 이주 125
신천지 개척과 플라이스토세의 동물 멸종 126
무엇이 어디에서 사라졌나 126
멸종의 원인: 사람인가 기후인가 130
거대동물상의 멸종: 기후의 역할 131
거대동물상의 멸종: 인간의 역할 132
북아메리카의 들소 사냥집단 140
아메리카원주민과 사슴 사냥 145
동유럽과 우크라이나의 동물 뼈 유구 146
지중해의 여러 섬 – 사례 연구 149
제6장 수렵인에서 사육자로: 가축동물의 기원 159
동물은 어디에서 처음으로 가축화되었을까? 중심지에 대한 가설 161
가축화 여부 판단의 고고학적 기준 167
요약 190
도대체 왜 처음에 동물을 가축화했을까? 191
제7장 새로운 가축의 등장과 동물의 이차적 용도 195
동물의 젖 – 이점과 문제점 196
울의 생물학 197
젖과 울의 고고학적 증거 197
초기 낙농에 대한 기타 증거 202
울과 관련된 이른 시기의 기타 증거 203
축력의 이용 203
말과동물 – 말과 당나귀 206
말과동물의 영향 208
낙타 208
몇 가지 추정 211
제8장 영국의 동물고고학 연구 213
영국의 중석기시대 218
중석기시대 후기 221
최후 빙하기와 후빙기의 아일랜드 222
신석기시대 222
청동기시대 225
철기시대 227
로마시대 230
앵글로색슨시대 231
도시와 동물고고학 – 중세 및 중세 이후의 영국 234
영국에 도입된 기타 동물 242
미래의 모습 245

참고문헌 247
그림 목록 266
용어 해설 270
번역 어휘 대조 273
찾아보기 278

지은이
사이먼 J.M. 데이비스 Simon J.M. Davis
1950년 영국 런던에서 출생하여, 1971년 University College, London을 졸업(동물학 전공), 1978년 이스라엘 Hebrew University에서 이스라엘 후기 플라이스토세 대형 포유동물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환경 복원, 가축화의 기원, 가축 동물의 변화 및 뼈 계측을 통한 동 물 분류 문제를 중심으로 영국, 이스라엘, 키프로스, 이란 및 포르투갈에서 동물고고학 연구를 수행하였고, 현재 포르투갈과학원 고고학연구소 동물고고학 연구실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옮긴이
이선복
서울대학교 고고학과에서 학사학위(1979),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인류학과에서 석사(1983)와 박사학위(1986)를 받았다. 주로 구석기시대 연구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우리나라, 베트남, 몽골, 그리고 아제르바이젠에서 발굴작업을 지휘했다.
주요 저서로 『고고학개론』(1988), 『동북아시아 구석기 연구』(1989), 『벼락도끼와 돌도끼』(2004), 『이선복 교수의 고고학 이야기』(2005), 『구석기 형식분류』(번역, 2012) 등이 있으며, 『한국 고고학 강의』(2007, 2010) 초판 편찬에 편집책임자로 참가하였다. 2014년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교수로서 서울대학교 박물관장으로 재직 중이다.

『동물고고학 입문』
사이먼 J.M. 데이비스 지음
이선복 옮김
면수: 288쪽 / 값: 25,000원 / 판형: 188*257mm
출간일: 2014년 9월 19일 / 펴낸 곳: ㈜사회평론아카데미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2개(12/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542 한국 고대사의 쟁점과 과제 최병식 885 2017.04.07
541 『마한‧백제의 분묘문화 III – 충남VIII : 서천ㆍ당진ㆍ예산ㆍ홍성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807 2017.04.04
540 『마한‧백제의 분묘문화 III – 충남VII : 서산ㆍ보령 편』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837 2017.04.04
539 경북지역 청동기시대 무덤 권혁재 1204 2017.03.20
538 동북아시아 바위그림 연구 최병식 690 2017.03.16
537 계간 『한국의 고고학』 35호 최병식 891 2017.03.09
536 新羅·加羅史 硏究 서경문화사 885 2017.03.02
535 ‘대가야고고학연구’ 신간안내 관리자 1139 2017.02.28
534 우리시대의 한국고대사 1·2 최병식 1003 2017.02.21
533 목간과 문자연구 16 최병식 770 2017.02.13
532 접경의 아이덴티티 : 동해와 신석기문화 서경문화사 795 2017.02.08
531 『고구려의 고분문화 III권 -길림성 요령성 일대-』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076 2017.02.07
530 한국 신석기시대 연구 서경문화사 1346 2017.01.03
529 마한분구묘의 기원과 발전 권혁재 1051 2017.01.02
528 한국 청동기시대 공간과 경관 최병식 1057 2016.12.29
527 몽골 동부지역의 고대문화를 찾아서 최병식 1063 2016.12.20
526 우리 문화재 수난일지 권혁재 916 2016.12.08
525 ‘일본 조몬 고고학’ 신간안내 관리자 1127 2016.11.10
524 ‘고고층서학의 기본원칙’ 신간안내 관리자 1492 2016.11.10
523 『중서부지역 고고학 연구』 신간 안내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995 2016.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