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高句麗와 中原文化
■ 책 개요
▪제목 : 高句麗와 中原文化
▪지은이 : 최몽룡, 백종오 편저
▪형태 : 판형A5 / 분량 647페이지
▪출간일 및 가격 : 2014년 4월 28일 / 가격 30,000원
▪ ISBN 978-89-6246-215-9 93910 中原文化란 충청북도 忠州시를 중심으로 百濟13대 近肖古王(서기 346년-서기 375년), 高句麗20대 長壽王(서기 413년-서기 491년)과 新羅24대 眞興王(서기 540년-서기 576년) 12년(서기 551년) 사이 즉 서기 371년에서 551년 사이에 삼국의 각축이 일어난 역사적으로 주목받은 시기의 문화를 말한다. 그 문화중심지의 忠州시는 칠금동 탄금대 백제토성 내 백제 덩이쇠의 확인(철 생산유적), 충주 가금면 창동 쇠꼬지마을, 충주시 周德邑의 철광산, 충주시 木伐洞滑石(talc) 광산을 중심으로 하는 백제 ・ 고구려 ・ 신라의 각축장이었으며, 여기에 백제, 고구려, 신라의 삼국문화가 중첩 ・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도 이러한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가 된다. 이 점이 ‘남한강의 중원문화’가 지니는 역사적 의미가 되며, 그 역사적 중요성은 서기 371년에서 서기 551년의 180년간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중원문화 이전의 선사시대나 이후의 역사시대는 중원문화와 아무런 관련이 없기보다는 중원문화의 형성과 계승 쪽에 脈絡을 이어가는 생각이 수월하겠다. 그 범위는 충주시를 중심으로 하는 범 남한강유역이 될 것이다. (권두논문) 中原文化와 鐵 - 최몽룡 / 9 高句麗積石塚과 百濟의 國家形成 - 최몽룡 ・ 백종오 / 39 中原先史遺蹟의 회고와 전망 - 하문식 / 85 中原城郭遺蹟의 회고와 전망 - 백종오 / 147 남한강 중상류와 금강유역의 고구려 유적 ・ 유물 - 김병희 / 217 중원지역 불교고고학의 현황 - 김인한 / 297 中原古墳遺蹟의 검토 - 박중균 / 367 충주 달천유역의 고구려계 고분에 대하여 - 김정인 / 427 삼국의 충주지역 진출과 지배 - 강진주 / 465 충주 제철유적의 조사현황과 성격 - 어창선 / 523 남한 고구려 성의 구조와 성격 - 양시은 / 563 중국 내 고구려 산성의 성문에 대한 연구 - 정원철 / 605
■ 책 소개
■ 목차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수 |
등록일 |
---|---|---|---|---|
538 | 동북아시아 바위그림 연구 | 최병식 | 900 | 2017.03.16 |
537 | 계간 『한국의 고고학』 35호 | 최병식 | 1094 | 2017.03.09 |
536 | 新羅·加羅史 硏究 | 서경문화사 | 1148 | 2017.03.02 |
535 | ‘대가야고고학연구’ 신간안내 | 관리자 | 1421 | 2017.02.28 |
534 | 우리시대의 한국고대사 1·2 | 최병식 | 1211 | 2017.02.21 |
533 | 목간과 문자연구 16 | 최병식 | 947 | 2017.02.13 |
532 | 접경의 아이덴티티 : 동해와 신석기문화 | 서경문화사 | 971 | 2017.02.08 |
531 | 『고구려의 고분문화 III권 -길림성 요령성 일대-』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365 | 2017.02.07 |
530 | 한국 신석기시대 연구 | 서경문화사 | 1568 | 2017.01.03 |
529 | 마한분구묘의 기원과 발전 | 권혁재 | 1292 | 2017.01.02 |
528 | 한국 청동기시대 공간과 경관 | 최병식 | 1290 | 2016.12.29 |
527 | 몽골 동부지역의 고대문화를 찾아서 | 최병식 | 1327 | 2016.12.20 |
526 | 우리 문화재 수난일지 | 권혁재 | 1163 | 2016.12.08 |
525 | ‘일본 조몬 고고학’ 신간안내 | 관리자 | 1324 | 2016.11.10 |
524 | ‘고고층서학의 기본원칙’ 신간안내 | 관리자 | 2082 | 2016.11.10 |
523 | 『중서부지역 고고학 연구』 신간 안내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221 | 2016.11.10 |
522 | 『가야고고학개론 』신간 안내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041 | 2016.11.10 |
521 | 『일본 코훈시대 연구의 현상과 과제』 下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938 | 2016.11.10 |
520 | 『일본 코훈시대 연구의 현상과 과제』 上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862 | 2016.11.10 |
519 | 『신라와 일본』 신간 안내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939 | 2016.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