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ジオア-ケオロジ-地学にもとづく考古学』
이 책은 북미대륙의 제4기 후기플라이스토세 후반~홀로세에 형성된 유적․유적군․지역을 대상으로 야외조사에 있어서 퇴적학․토양학․층서학․지형학․지질편년학 등 지구과학의 원리와 방법을 구사해, 특히 유적형성과정, 개별유적․지역 차원 경관의 공시적․통시적 복원에 초점을 맞추어 저술된 Geoarchaeology의 입문서․개설서이다.
이 책은 고고학자를 대상으로 저술한 것으로 고고학자에게는 그리 익숙치 않은, Geoarchaeology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지, 무엇을 어떻게 조사․연구해야 하는지,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인지를 밝히고 있다.
한편 본문 제3장~제6장에서는 우리나라에도 원칙적으로 적용 가능한, 流水․바람․중력․파도 등에 의해 형성되는 제 환경과 주요 지형, 미지형을 거의 망라하고 있고, 그 각각의 개념, 기본 특성, 관련 퇴적물․토양․층서, 작용영력과 형성과정으로서의 침식․운반․퇴적작용, 그리고 고고자료(유적군․유적․유구․유물)과의 관계를 모식도․실천적인 연구사례와 관련 도면․표․사진(본문 총 8장에 설명 모식도․연구관련 도면․사진 139매, 표 7매)을 제시하면서 알기 쉽고, 간결하게, 그러면서도 심도있는 해설을 하고 있어 고고학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또 제7장에서는 유적 매몰 이후의 자연적 교란현상도 해설해 최종적으로는 유적․유적군․주변 일대 지역의 유적 점거직전, 점거시, 점거 이후~매몰 직전, 매몰중, 매몰후의 제 자연조건과 그 변화에 기초해 유적의 성립, 존속 유지, 폐기라는 Life Cycle적 제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매몰 이후에도 고고자료와 그 맥락․systemic context가 어떻게 보존되는지, 또는 그 전부 내지는 일부가 파괴․변형, 재운반, 재퇴적되는 유적형성의 자연과정을 설명함으로서 고고학자가 유적의 조사 현장에서 마주치는 최종 잔존상태로서의 고고자료와 그 맥락․systemic context를 어떻게 파악해야 하며, 무엇을 주의해야 하는지를 알려주고 있다.
또 유적․유적군․주변 일대 지역을 대상으로 동시기의 자연조건의 제 양상(주로 지형요소와 동식물자원의 생물적요소)과 과거 인간 행동을 반영하는 고고자료와 그 맥락․systemic context를 재구성하고(공시적 경관복원),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것이 어떠한 양상으로 변화하는지를 재구성(통시적 경관복원)하는 항목을 반드시 설정하고 실천적인 연구사례로서 설명함으로서 이 책이 저자의 의도처럼 고고학자를 고려한, 대상으로 하는 것임을 납득케한다.
본문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嶺南考古學』63의 신간 소개 참조. (우리문화재연구원 곽종철) 총 8장 298쪽 (원저 320쪽), 역자 후기, 색인. 정가:본체 ¥6400+稅.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수 |
등록일 |
---|---|---|---|---|
478 | 금호강유역 초기사회의 형성 | 권혁재 | 901 | 2016.01.28 |
477 | 마한분구묘 비교 검토 | 권혁재 | 1054 | 2016.01.28 |
476 | 아무도 말하지 않은 ‘백제 그리고 음악’ | 최병식 | 1208 | 2016.01.19 |
475 | 『 충남 V : 부여2 』 신간 안내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088 | 2016.01.15 |
474 | 『 충남 VI : 금산,논산,대전,청양』 신간 안내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025 | 2016.01.15 |
473 | <영남의 고고학> 신간안내 | 사회평론 아카데미 | 1060 | 2016.01.07 |
472 | 구야국과 고대 동아시아 | 최병식 | 849 | 2015.12.30 |
471 | 동해안지역 청동기시대 취락과 사회 | 서경문화사 | 971 | 2015.12.08 |
470 | 고려시대 역연대 자료집 | 권혁재 | 1257 | 2015.11.10 |
469 | 태봉과 고려 석조미술로 보는 역사 | 권혁재 | 1164 | 2015.11.10 |
468 | 고구려 고분벽화 유라시아 문화를 품다 | 권혁재 | 1046 | 2015.11.10 |
467 | 구석기시대의 석기 생산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819 | 2015.11.05 |
466 | 『마한,백제의 분묘 문화 III : 충남 v - 부여1 』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855 | 2015.11.05 |
465 | 계간 한국의 고고학 30호 | 최병식 | 1061 | 2015.11.02 |
464 | 한국 해양사 연구 | 최병식 | 1023 | 2015.10.07 |
463 | 신라 하대 정치와 사회 연구 | 권혁재 | 1110 | 2015.09.23 |
462 | 우정의 고고학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228 | 2015.09.03 |
461 | 낙랑고고학개론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380 | 2015.09.02 |
460 | 목간과 문자연구 13 | 최병식 | 793 | 2015.08.26 |
459 | 일본 신석기시대 생업과 주거-한강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2 | 사회평론 아카데미 | 1136 | 2015.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