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고구려의 고분문화 I
2013-05-06 00:00:00
조회 955
고구려의 고분문화 I
남한과 북한지역 중요 분묘 유적 정보를 총 망라하여 집성한 자료집인 “고구려의 고분문화 I권”이 출간되었습니다. 중앙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9권으로 출간된 본 자료집은 2000년 창립된 이래 문화재의 보호ㆍ관리ㆍ조사ㆍ발굴 및 그 활용과 민족 문화의 보존ㆍ보급ㆍ선양ㆍ전승에 기여해 온 중앙문화재연구원의 학술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노력의 산물입니다. 본 저작의 정리 작업에는 중앙문화재연구원과 학술ㆍ연구 협약 관계에 있는 한신대학교와 충북대학교의 연구자들이 참여하였으며, 5년간의 계획하에 착수된 첫 결과물입니다.
2차년도에는 중국에서 발견된 발해고분, 3차년도에는 중국 지안시 관내의 고구려고분, 4차년도에는 지안 이외의 지역에 분포하는 고구려 고분, 마지막 5차년도에는 한반도와 러시아 연해주 일대의 발해고분을 정리하게 될 것 입니다.
본 저작은 남한과 북한지역에 분포하는 130여개 분묘유적과 수백여 개 유구 자료들을 일목요연하게 표로 정리하고 유적과 유물에 대한 도면을 수록함으로서 고구려시대 연구자들의 이해와 연구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되었습니다.
본 저작이 고구려 연구자들의 학술연구작업에 있어서 기본 참조 자료로서 공헌하기를 기대하면서, 향후 발간될 한반도 외 지역의 고구려 고분, 발해 고분 대상 작업에 대한 기대와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책을 펴내며
고구려의 고분 문화를 내면서
일러두기
■평양시
낙랑구역
대성구역
력포구역
룡성구역
삼석구역
서성구역
중구역
강동군
■남포시
강서구역
대안구역
룡강군
와우도구역
천리마구역
항구구역
■평안남도
강서군
개천시
대동군
덕천시
숙천군
순천시
온천군
은산군
증산군
평성시
평원군
■평안북도
대관군
벽동군
■황해남도
안악군
■황해북도
상원군
서흥군
수안군
승호구역
신계군
연산군
연탄군
은파군
황주군
■자강도
만포시
시중군
자성군
초산군
■경기도
연천군
■강원도
춘천시
홍천군
■충청북도
충주시
ISBN : 978-89-6347-085-6 94900 본 저작이 고구려 연구자들의 학술연구작업에 있어서 기본 참조 자료로서 공헌하기를 기대하면서, 향후 발간될 한반도 외 지역의 고구려 고분, 발해 고분 대상 작업에 대한 기대와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책을 펴내며
고구려의 고분 문화를 내면서
일러두기
■평양시
낙랑구역
대성구역
력포구역
룡성구역
삼석구역
서성구역
중구역
강동군
■남포시
강서구역
대안구역
룡강군
와우도구역
천리마구역
항구구역
■평안남도
강서군
개천시
대동군
덕천시
숙천군
순천시
온천군
은산군
증산군
평성시
평원군
■평안북도
대관군
벽동군
■황해남도
안악군
■황해북도
상원군
서흥군
수안군
승호구역
신계군
연산군
연탄군
은파군
황주군
■자강도
만포시
시중군
자성군
초산군
■경기도
연천군
■강원도
춘천시
홍천군
■충청북도
충주시
판형 : 210mm * 297 mm
페이지 : 710쪽 (4도)
저자 : 중앙문화재연구원
가격 : 80,000 원
쇼핑몰 바로가기




778개(16/39페이지)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수 |
등록일 |
---|---|---|---|---|
478 | 금호강유역 초기사회의 형성 | 권혁재 | 899 | 2016.01.28 |
477 | 마한분구묘 비교 검토 | 권혁재 | 1052 | 2016.01.28 |
476 | 아무도 말하지 않은 ‘백제 그리고 음악’ | 최병식 | 1206 | 2016.01.19 |
475 | 『 충남 V : 부여2 』 신간 안내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088 | 2016.01.15 |
474 | 『 충남 VI : 금산,논산,대전,청양』 신간 안내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022 | 2016.01.15 |
473 | <영남의 고고학> 신간안내 | 사회평론 아카데미 | 1057 | 2016.01.07 |
472 | 구야국과 고대 동아시아 | 최병식 | 846 | 2015.12.30 |
471 | 동해안지역 청동기시대 취락과 사회 | 서경문화사 | 969 | 2015.12.08 |
470 | 고려시대 역연대 자료집 | 권혁재 | 1256 | 2015.11.10 |
469 | 태봉과 고려 석조미술로 보는 역사 | 권혁재 | 1163 | 2015.11.10 |
468 | 고구려 고분벽화 유라시아 문화를 품다 | 권혁재 | 1041 | 2015.11.10 |
467 | 구석기시대의 석기 생산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817 | 2015.11.05 |
466 | 『마한,백제의 분묘 문화 III : 충남 v - 부여1 』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852 | 2015.11.05 |
465 | 계간 한국의 고고학 30호 | 최병식 | 1060 | 2015.11.02 |
464 | 한국 해양사 연구 | 최병식 | 1022 | 2015.10.07 |
463 | 신라 하대 정치와 사회 연구 | 권혁재 | 1106 | 2015.09.23 |
462 | 우정의 고고학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226 | 2015.09.03 |
461 | 낙랑고고학개론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376 | 2015.09.02 |
460 | 목간과 문자연구 13 | 최병식 | 793 | 2015.08.26 |
459 | 일본 신석기시대 생업과 주거-한강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2 | 사회평론 아카데미 | 1134 | 2015.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