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왕릉의 고고학" 신간 안내

2011-11-08 00:00:00
조회 1294
왕릉의 고고학 
 
  
“왕릉의 고고학”은 쯔데히로시(都出比呂志) 오오사카 대학 명예교수의 2000년 저작을 번역한 책입니다.
 
쯔데교수는 철기농기구에 대한 연구로 학문을 시작하여, 일본고대국가 형성성과 농업발전의 연관관계를 천착하였고, 고대국가 형성기의 주요 지표로 전방후원형 고분에 주목한 일본 고대국가 형성 관련 주제를 연구한 권위자입니다.
 
“왕릉의고고학”은 일본학자의 시각에서 일본 고대국가 형성기의 주요 유적인 “나라현 텐리시의 쿠로즈카 고분”의 발굴과 그에 대한 일본인들의 열광으로부터 이야기의 실마리를 풀어나가며, 왕릉의 이데올로기를 언급하면서 책을 맺습니다.
 
일본의 고대 국가권력 형성의 상징인 전방후원분 유적에 대한 상세한 소개와 함께, 이집트, 중국의 거대 무덤유적의 성격을 비교하고, 거대 왕릉 유적의 사례가 드문 유럽의 경우까지 함께 언급하여, 일본의 사례에 대한 해석을 세계적인 수준에서의 위치와 함께 세계사적인 맥락에서의 지위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책의 결론부에서는 이후 고대국가 형성과정과 왕릉의 관계를 규명하고, 왕릉의 이데올로기를 설명하면서 고고학과 역사학의 이론적 기반 위에서 왕릉이라는 건조물이 국가권력의 형성과 유지에 활용되는 양상을 일반적인 현상의 하나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쯔데교수는 왕릉의 정의를 꼭 “왕”이라고 하는 칭호에 구애되지 않는 어떤 사회조직에서 절대왕권에 준하는 힘을 가졌던 권력자나 영웅을 위해 조성된 기념물로 확장하고, 이러한 기준에 따라 전 세계의 거대 권력자 무덤의 사례를 검토합니다. 방대한 사례를 거론한 끝에 도달한 저자의 결론은 다섯 가지 정도로 요약되는데, 핵심 내용은 “기념물적 성격이 강한 거대왕릉은 국가형성기 초기에 왕의 신격화가 필요한 시점에 축조되며, 고대국가의 기틀이 완성되고 관료제가 확립되면 거대 왕묘의 중요성은 상실된다. ”고 정리될 수 있겠습니다.
 
일본학자에 의해 그리고 일본의 유적 성격 규명을 위해 씌여진 책이지만, 전세계의 사례를 풍부하게 다루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우리나라의 왕릉에 대한 언급이 있다는 점에서 고려할 가치가 있는 저작입니다. 또한 일반인들에게 흥미와 열광의 대상이 되고 있는 “거대고분”에 초점을 맞추어 전문적인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도 특기할 만합니다.
 
우리나라의 고분 연구에 종사하는 전문가는 물론 역사와 문화유적에 관심을 가지는 일반교양인을 위한 좋은 저작물이 될 것입니다. 

목차
제1장 전방후원분의 시대
 
 
_1. 전방후원분의 기원
왕릉으로서의 거대 전방후원분
‘전방후원’이란 이름의 유래
외국에 원류가 있는가
야요이의 무덤에서 길을 찾다
전방부의 원류
제단의 다양성
수장 일족의 무덤
원구계와 방구계의 대립
야마다이국과 쿠나국
 
_2. 왜 거대 고분을 만들었을까
하시하카고분
전방후원분의 정형화와 중국 사상
3세기 중반경의 전방후원분
히미코의 무덤은 전방후원분인가
공통 제식의 확대
히미코의 장례와 새로운 제식의 창조
 
_3. 전방후원분체제
서로 다른 분구 형식의 공존
계보와 서열로 이루어진 신분제
초기 국가의 특색
 
_4. 고분 시대의 종언
대왕이 거대 방분을 채용하다
북위 또는 고구려계의 방분인가
분구와 묘실로 대체된 신분 표시
 

제 2장 중국의 왕릉

_1. 지하궁전의 세계
왕릉과 분구의 유무
신석기 시대의 분구묘
은허의 왕묘가 탄생하기까지
무관촌대묘
순장과 희생
여성에게 둘러싸인 왕
예제와 실제 사이
혼백사상
내세 관념
_2. 시황릉의 탄생까지
하북성 중산왕릉
분구의 크기를 다투다
거대 산릉의 출현
지하 묘실
능원과 배장묘
병마용갱
축조자가 사는 능읍
_3. 수혈 원리에서 횡혈 원리로
전한의 제왕릉
중앙집권책과 능읍
전한대 제후 묘
탄력성 있는 부인의 유체
신선사상
금루옥의로 덮인 왕
내세에서 묘실의 등급
위진남북조 시대 이후
북의 방구, 남의 원구

제3장 동아시아 세계에서의 전개

_1. 한반도
외교 사절과 왕릉
종교사상의 수용은 가지각색
한반도 네 지역의 차이
고구려의 호태왕릉
벽화묘에 보이는 중국풍과 고구려풍
백제의 무령왕릉
왜와도 교류했던 가야
대가야 연합의 형성
전방후원분형의 분구묘
신라 왕족의 고분군
고도의 공예품이 전하는 중앙아시아와의 교류
통일신라의 왕릉
_2. 중국의 서쪽 지역
토번의 왕릉
요의 왕릉
서하의 왕릉
외교 활동과 왕릉의 건설
불교 사원을 동반하는 왕릉
_3. 동서 교류의 다리
스키타이의 쿠르간
노인울라의 흉노 무덤

제4장 고대이집트의 피라미드

_1. 피라미드의 성립 과정
피라미드 이전
마스터바 묘 시대
계단식 피라미드의 등장
왕의 신격화
_2. 대피라미드 시대
진정한 피라미드의 등장
피라미드 규모의 축소
태양신 라의 중시
피라미드의 권위 몰락
_3. 왜 왕의 계곡으로 변했을까
암굴묘의 군집
장제전 지구의 독립
왕권의 안정과 무덤의 고정
신왕국 시대의 강대한 왕권
신성왕권에서 관료왕제로


제5장 유럽의 왕묘를 찾아서

_1. 지중해 세계의 왕묘: 미케네에서 로마까지
왕릉이 많지 않은 유럽
미케네의 왕묘
마우솔레움
로마의 황제릉
_2. 알프스 북쪽의 유럽 세계
초기 농경민의 거석묘
50명 이상의 대량 매장
엘리트층의 성격
원분에 화장한 뼈를 묻다
_3. 개인 묘의 등장에서 왕묘의 출현으로
남녀와 직능의 구분
왕묘의 탄생
그리스에서 온 보물
왕권과 초기 국가의 형성
_4. 배를 매장하다: 바이킹의 왕묘
웁살라의 대원분
바다로 돌아가는 사자
앵글로색슨의 왕묘
_5. 그리스도교가 가져온 대변화
바이킹의 개종과 장례의 변화
왕이 묻혔지만 왕릉이 아닌 무덤


제6장 국가의 형성과 왕릉

_1. 왕릉을 비교하는 방법 찾기
유럽에서의 체험
다양한 비교
신고고학
일반법칙의 탐구
상대주의 고고학
다른 문명과의 비교
접촉을 가진 지역 사이의 교류와 영향
_2. 신성왕의 무덤: 초기 단계의 왕릉
국가 형성기의 왕묘
왕권의 신격화
히미코 무덤의 성격
순장과 희생
아메리카 왕묘의 순장
_3. 권력의 과시와 계승: 발전기의 왕릉
권력 계승과 선조 제사
지상의 거대 기념물이 필요하게 되는 단계
능읍과 피라미드 도시
왕릉의 축조를 지렛대로 지배조직을 정비하다
초기 국가에서 성숙 국가로
_4. 왕릉이 발달하기 어려운 세계
절대신의 존재
타지마할
무굴 제국의 황제릉


제7장 왕릉의 이데올로기

_1. 다시 살아나는 왕릉
기념물적 성격이 사라진 중·근세의 천황릉
도쇼구야말로 에도 시대의 왕릉
메이지 천황릉
쇼와 천황릉
계속 조영된 중국의 황제릉
왕권 계승에 불가결한 선조 제사
_2. 현대 세계와 천황릉
천황릉으로 지정된 고분
메이지 이후의 관리 강화
진무료의 탐색
진무료의 축조와 가시하라진구의 참배
닌토쿠료 찬미
능묘 지정의 실태
개조된 고분
천황릉의 발굴
능묘 조사의 공개
_3. 현대 세계의 왕릉 축조
레닌에서 호치민까지
후계자가 정치적으로 이용
단군왕릉의 조영
유럽 세계에서도
현대의 신화와 마주하다

참고문헌

후기


ISBN : 978-89-6347-074-0
판형 : 130mm * 190 mm
페이지 : 208쪽
쯔데히로시지음, 고분문화연구회 옮김
가격 : 9,000원
쇼핑몰 바로가기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2개(19/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402 익산, 마한ㆍ백제연구의 새로운 중심 서경문화사 531 2014.06.25
401 청동기시대 전기 호서지역 취락연구Ⅰ 서경문화사 541 2014.06.25
400 삼국시대 고고학개론 1 - 도성과 토목편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743 2014.06.19
399 [신간안내] 고고학탐구15 (재)삼강문화재연구원 607 2014.06.16
398 청동기시대의 고고학 - 도구론 서경문화사 763 2014.06.03
397 高句麗와 中原文化 최병식 674 2014.04.28
396 韓國 考古學 硏究 - 世界史 속에서의 韓國 최병식 634 2014.04.28
395 명화 읽어주는 박물관 서경문화사 516 2014.04.25
394 신안보물선의 마지막 대항해 최병식 496 2014.04.16
393 사국시대의 가야사 연구 서경문화사 569 2014.03.07
392 사국시대의 사국관계사 연구 서경문화사 543 2014.03.07
391 사국시대의 한일관계사 연구 서경문화사 796 2014.03.07
390 계간『한국의 고고학』25호 최병식 498 2014.03.06
389 목간과 문자연구 10호 (한국목간학회총서 ) 최병식 423 2014.03.06
388 新 한국통사 최병식 599 2014.03.06
387 마한ㆍ백제의 분묘 문화 III - 충남 I : 연기(세종)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503 2014.03.06
386 漢城時代 百濟의 古墳文化 서경문화사 568 2014.03.03
385 泗沘時代의 百濟考古學 서경문화사 515 2014.03.03
384 아차산 보루와 고구려 남진경영 서경문화사 624 2014.02.28
383 동아시아 요업기술 발전과 교류사 연구 권혁재 888 2014.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