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동아시아 마제석기론
동아시아 마제석기론
(한국고고환경연구소 학술총서 10)
시모죠 노부유키 지음 / 석기연구회 옮김
ISBN : 978-89-6062-075-9 94900
판형 : 4X6배판
쪽수 : 398쪽
가격 : 32,000원
이 책은 일본에서 출간된 『대륙계마제석기론』의 Ⅰ장과 Ⅱ장을 번역한 것이다. 대륙계마제석기란 일본열도에서 출토된 한반도 계통의 마제석기로, 중국이나 한반도 등 동아시아 대륙에서 출현하여 논농사와 함께 야요이시대에 일본열도로 전파된 새로운 석기를 뜻한다. 따라서 대륙계마제석기의 계보와 전개 양상을 밝히기 위해서는 반드시 한반도와 중국 동북지역 자료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내용이 Ⅰ장과 Ⅱ장에 주로 담겨있기 때문에 해당 부분만을 번역하여 그 제목을 『동아시아 마제석기론』으로 변경하였다. Ⅱ장에서는 대륙계마제석기 연구의 광범위한 전개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 일본열도에서 출토된 개별 대륙계마제석기를 형식학적으로 분석하였으며, Ⅰ장에서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일본열도와 중국, 한반도 석기 문화의 연속과 비연속을 비교함으로써 그 계보 관계를 살펴보았다. Ⅰ부 : 마제석기의 계보
석기는 기본적으로 토기나 금속기와 같은 고고 자료에 비해 기능적 측면이 강하여, 상대적으로 급변하는 문화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세부적인 편년 연구나 지역상을 설명하기에 좋은 대상이라 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보조 자료로서 활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민감한 변화상이 관찰되지 않는 점은 오히려 커다란 변화의 획기를 상정하거나 혹은 보다 광범위한지역의 문화상을 비교할 때에는 유효한 장점으로 작용된다. 즉, 동아시아와 같이 비교적 넓은 지역의 문화를 상호 비교하는 경우, 토기나 금속기의 연구에 앞서 석기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거나 최소한 동시에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한반도라는 지역적 한계를 벗어나 동아시아의 통합 고고학을 지향하는 최근의 연구 경향에서 이 책의 역할이 작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
1. 규슈에서 대륙계마제석기의 생성과 전개
2. 일본 반월형석도의 원류
3. 동아시아의 찰절기법에 대하여
4. 遼東形 벌채석부의 전개
5. 편인석부의 형식관계를 통해 본 초기 벼농사 단계 한일관계의 전개
6. 북동아시아 벌채석부의 전개
Ⅱ부 : 마제석기의 전개
1. 일본 벼농사 수용 시기 대륙계마제석기의 전개
2. 벌채석부(대형 합인석부)
3. 편평편인석부에 대하여
4. 주상편인석부에 대하여
5. 대형 반월형석도에 대하여
6. 서일본 제Ⅰ기의 석검과 석촉
7. 석과론
8. 무기형 석제품의 성격
9. 石矛의 제창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수 |
등록일 |
---|---|---|---|---|
398 | 청동기시대의 고고학 - 도구론 | 서경문화사 | 937 | 2014.06.03 |
397 | 高句麗와 中原文化 | 최병식 | 850 | 2014.04.28 |
396 | 韓國 考古學 硏究 - 世界史 속에서의 韓國 | 최병식 | 799 | 2014.04.28 |
395 | 명화 읽어주는 박물관 | 서경문화사 | 672 | 2014.04.25 |
394 | 신안보물선의 마지막 대항해 | 최병식 | 652 | 2014.04.16 |
393 | 사국시대의 가야사 연구 | 서경문화사 | 733 | 2014.03.07 |
392 | 사국시대의 사국관계사 연구 | 서경문화사 | 709 | 2014.03.07 |
391 | 사국시대의 한일관계사 연구 | 서경문화사 | 957 | 2014.03.07 |
390 | 계간『한국의 고고학』25호 | 최병식 | 665 | 2014.03.06 |
389 | 목간과 문자연구 10호 (한국목간학회총서 ) | 최병식 | 580 | 2014.03.06 |
388 | 新 한국통사 | 최병식 | 770 | 2014.03.06 |
387 | 마한ㆍ백제의 분묘 문화 III - 충남 I : 연기(세종)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685 | 2014.03.06 |
386 | 漢城時代 百濟의 古墳文化 | 서경문화사 | 725 | 2014.03.03 |
385 | 泗沘時代의 百濟考古學 | 서경문화사 | 681 | 2014.03.03 |
384 | 아차산 보루와 고구려 남진경영 | 서경문화사 | 824 | 2014.02.28 |
383 | 동아시아 요업기술 발전과 교류사 연구 | 권혁재 | 1133 | 2014.02.17 |
382 | '성곽 조사방법론' 발간 안내 | (사)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 755 | 2014.02.03 |
381 | 일제강점기 영남지역에서의 고적조사 | 권혁재 | 983 | 2014.01.23 |
380 | 봉황동유적 | 최병식 | 817 | 2014.01.21 |
379 | 삼국시대 불상의 미의식 연구 | 권혁재 | 706 | 2014.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