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고구려 고분의 조영과 제의

2011-07-15 00:00:00
조회 804


고구려 고분의 조영과 제의

정호섭 지음
ISBN : 978-89-6062-076-6   93900
판형 : 신국판
쪽수 : 350쪽
가격 : 25,000원



무덤은 죽은 자의 사체가 매장된 곳이면서 동시에 그 사회가 죽음을 표현한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정치·사회적 권력이나 계급 관계가 분명한 시대에서의 무덤은 피장자(被葬者)의 정치적·사회적 위치를 나타내며, 당시의 매장 관념과 함께 피장자가 속해 있었던 사회나 집단의 종교와 신앙 뿐만 아니라 아울러 피장자가 살았던 시대상도 반영한다. 특히 왕릉이나 귀족 무덤과 같은 최상위 혹은 지배층의 무덤은 당시 사회의 모습을 함축적으로 담고 있어서 무덤에 관한 연구를 통해 당시의 많은 정보들을 추출해 낸다면, 문헌기록에 설명되어 있지 않는 고대 사회의 모습을 생생하게 복원할 수 있다. 그러나, 그동안 고구려 왕릉급 혹은 최상위 지배층의 고분에 대한 관심은 있었지만, 이에 집중적으로 천착한 연구 성과는 많지 않다. 근래 고구려 벽화고분들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고, 이에 함께 중국에서 동북공정이 진행되면서 더욱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은 증대되고 있다. 최근 중국측에 의해 많은 발굴조사가 진행되고 고분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 성과들이 계속 발표되면서 고구려 고분 연구에 있어 새로운 전환기를 열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고구려 지배층의 무덤과 제의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고구려 고분 가운데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왕릉급 혹은 최상위 지배층의 무덤인 대형 적석총과 벽화고분이다. 집안 일대에만 1만 2천여기의 고분이 존재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평양일대에도 수많은 고분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들 고분 가운데 왕릉급 혹은 최상위 지배층의 무덤으로 여겨지는 30미터 이상의 대형 적석총과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될 만큼 그 가치가 인정되고 있는 벽화들은 고구려 문화의 보편성과 독자성, 개별성과 국제성을 동시에 보여주는 상징적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의 연구사를 종합적으로 정리한 바탕위에서 왕릉급 대형 적석총의 분포, 형식과 편년, 피장자 문제를 문헌자료와 고고학적 자료를 결합하여 살펴보았다. 역사지리적 해석, 문헌사적 이해, 고고학 자료의 활용이라는 보다 폭넓은 관점에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여 국내 도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삼국사기에 나타나는 국내성의 하천 문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통해 왕릉 비정에 있어서 합리적인 해석을 시도하였다. 아울러 그동안 미술사적 측면에서 주로 연구되어온 벽화고분에 대해 조사 및 분포현황, 형식, 편년, 피장자 문제를 재검토하였다. 현실적으로 자료확보가 미진한 상황에서 수많은 자료들을 하나하나 검토하여 가장 기초적인 자료의 확보와 분석으로 향후 연구자들에게 이 분야 연구에 있어서의 토대를 제공한 측면이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고구려 대형 적석총 단계와 벽화고분 단계에서 나타나는 고분의 내·외부에서 보이는 시설이나 구조 분석을 통해 고구려인들의 상장의례와 관련된 신앙과 제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구려 고분의 묘상건축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함께 고구려의 상장의례와 관련해서는 거의 본격적인 연구가 없었던 상황에서 최근 발굴조사 성과를 면밀하게 분석하고 문헌기록을 최대한 활용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해석해내고 있다는 점에서 많은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그동안 역사학, 고고학, 미술사라는 세 영역에서 개별적으로 연구되었던 고구려의 지배층의 고분문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였다고 할 것이다. 고분이나 벽화 연구가 단순히 고고학이나 미술사적인 영역만이 아니라 역사학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임과 동시에 고고학이나 미술사적인 방법론을 종합화하여 좀 더 다각적이고 입체적인 측면에서 고분문화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2개(20/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382 '성곽 조사방법론' 발간 안내 (사)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608 2014.02.03
381 일제강점기 영남지역에서의 고적조사 권혁재 798 2014.01.23
380 봉황동유적 최병식 666 2014.01.21
379 삼국시대 불상의 미의식 연구 권혁재 565 2014.01.07
378 신라도성 권혁재 612 2014.01.07
377 전남지역 마한 소국과 백제 권혁재 738 2013.12.05
376 인류문명발달사 - 고고학으로 본 세계 문화사 - (개정5판) 최병식 731 2013.11.19
375 동아시아의 철기문화와 고조선 권혁재 754 2013.11.14
374 한국역사고고학연구 권혁재 754 2013.11.14
373 한국상고사문화기원연구 권혁재 641 2013.11.14
372 계간 한국의 고고학 24호 최병식 455 2013.11.14
371 백제의 국제관계 서경문화사 570 2013.11.12
370 백제 정치사의 전개과정 서경문화사 512 2013.11.12
369 [신간안내] 고고학탐구14 (재)삼강문화재연구원 579 2013.11.07
368 "삼국시대 고총고분 축조 기술" 신간 안내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669 2013.10.31
367 '마한•백제의 분묘 문화 II' 신간 안내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737 2013.10.31
366 고고학의 방법과 실제 사회평론 868 2013.10.30
365 우리나라와 인도네시아의 고인돌연구 권혁재 566 2013.10.24
364 기원과 혁명:휴머니티 형성의 고고학 - 영남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10 영남문화재연구원 764 2013.10.08
363 문화재 생물학 최병식 645 2013.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