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신간 '중국 산동성 불상' 안내

2011-01-19 00:00:00
조회 636

중국 산동성 불상 (中國 山東省 佛像)

중국 산동성 금동불상, 반가유상과 마애조상감은 우리나라 삼국시대 불상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두 지역의 금동불상은 불상 자체에 새겨진 연호를 제외한다면 구조, 제작기법, 양식면에서 아주 흡사하다.

다시 말해 산동성의 불상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나라 삼국시대 불상의 특색을 파악하는 지름길인 것이다.

[ 책머리에 ]

우리나라 삼국시대 대중 불교교섭에서 지리적으로 가장 중요한 지역이 바로 오늘날의 산동성이었다. 당시 고구려를 제외한 백제, 신라는 중국과의 대외 관계시에 해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삼국은 모두 산동성을 경유하여 북방 혹은 남방지역으로 나아갔기 때문에 중국과의 해상교통에서 산동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대하였다.

산동성에서 출토된 금동불상은 우리나라 삼국시대 금동불상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산동지역에서 동위∼북제시대 조성된 반가사유상과 수대에 집중적으로 개착된 마애조상감은 우리나라 삼국시대 반가사유상, 마애불과 흡사하여 기원처로서의 중요성이 계속해서 강조되고 있다.

대학시절 우연히 한국 삼국시대 금동불에 매료된 이후 다른 나라 불교조각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1990년대 초기 석사과정을 밟고 있던 필자는 중국 불교유적 답사에 참여하게 되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낯선 풍경이 신기하기도 하였지만 한국 불상의 교류처로서의 중국에 대해 알고 싶은 열정은 유학을 결심하게 하였다.

7년 반이라는 중국 유학시절 동안 필자가 중국 전역의 석굴과 불교조각상을 답사하고 조사하는 과정에서도 유난히 산동지역 불상에 대한 애착이 남달랐다. 산동성의 지형과 사람들의 인정이 고향 한국과 비슷하다고 느끼기도 하였고 음식들도 우리가 먹던 것과 유사한 것이 많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실제 현장 속에서의 불상 조사는 그다지 순조롭지 않았다. 우선 산동성의 석굴은 중국의 기타 다른 석굴들과 달리 대부분 산 정상부에 개착되어 있기 때문에 등산이 만만치 않았다. 또한 금동불과 석불상들은 작은 도시에서도 출토가 많이 되었기 때문에 현장으로 가는 교통사정이 원활하지 않아 애간장을 태운 적이 한두번이 아니었다.

한국 삼국시대 불교조각을 이해하고 연구하기 위해서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중국 산동성의 상황을 이해해야 한다는 작은 관심에서부터 출발한 산동성 불상 조사는 이렇게 한 권의 책으로 출판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

우선 미진한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출판을 흔쾌히 수락해 주신 주류성 출판사 최병식 사장님께 감사드린다. 또한 산동성 불상조사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신 山東大學校 劉鳳君교수님과 銘文 운독에 많은 도움을 주신 목포대학교 최연식교수님께도 지면을 빌어 감사드린다. 마지막으로 도면 작성을 깔끔하게 해 준 제자 박윤배, 문지원학생에게도 감사를 전한다. 

[ 목차 ]

머리말•8

 

Ⅰ. 산동성(山東省)의 현황과 역사•11

 

Ⅱ. 불교석굴(佛敎石窟)과 마애조상(磨崖造像)•19

1. 분포지와 내용•21

(1) 청주지역(靑州地域)•22 | 1) 타산석굴(駝山石窟)•23 / 2) 운문산석굴(雲門山石窟)•37

(2) 제남지역(濟南地域)•46 | 1) 황석애(黃石崖) 마애조상•48 / 2) 용동(龍 洞) 마애조상•57 / 3) 동불욕사(東佛峪寺) 마애조상•64 / 4) 천불산(千佛山) 마애조상•67 / 5) 옥함산(玉函山) 마애조상•72 / 6) 영암사(靈巖寺) 방산(方山) 증명감(證明龕)•78 / 7) 신통사(神通寺) 천불애(千佛崖)•80 / 8) 오봉산(五峰山) 연화동(蓮花洞)•90 / 9) 청동산(靑銅山) 대불사(大佛寺) 마애조상•92 / 10) 영취산(靈鷲山) 구탑사(九塔寺) 마애조상•93 / 11) 불혜산(佛慧山) 개원사(開元寺), 대불두(大佛頭) 마애조상•94 / 12) 천지산(天池山) 마애조상•96

(3) 동평지역(東平地域)•97 | 1) 백불산석굴(白佛山石窟)•98 / 2) 이명와(理明窩) 마애조상•105 / 3) 사리산(司里山) 마애조상•113

(4) 기타지역(其他地域)•115 | 1) 임구현(臨朐縣) 석문방(石門坊) 마애조상•115 / 2) 곡부시(曲阜市) 구룡산석굴(九龍山石窟)•119 / 3) 기원현(沂源縣) 당산(唐山) 마애조상•120 / 4) 기원현(沂源縣) 형산(荊山) 마애조상•120 / 5) 교남시(膠南市) 대주산석굴(大珠山石窟)•121 / 6) 추성시(鄒城市) 대왕와(大王窩) 마애조상•122 /

7) 신태시(新泰市) 각로정(閣老頂) 마애조상•122

2. 시기별 특징•123

(1)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125 | 1) 마애조상감 구조•125 / 2) 조각상의 배치방식•127 / 3) 조각상의 특징•128

(2) 수대(隋代)•129 | 1) 석굴 구조•129 / 2) 마애조상감 구조•132 / 3) 조각상의 배치방식•133 / 4) 조각상의 특징•135

(3) 당대(唐代)•146 | 1) 석굴 구조•146 / 2) 마애조상감 구조•148 / 3) 조각상의 배치방식•149 / 4) 조각상의 특징•150

(4) 송(宋), 원대(元代)•152

 

Ⅲ. 금동불상(金銅佛像)•155

1. 출토지와 내용•156

(1) 곡부시(曲阜市)•157

(2) 추성시(鄒城市)•160

(3) 고청현(高靑縣)•161

(4) 제성시(諸城市)•162

(5) 박흥현(博興縣)•166

(6) 태안시(泰安市)•172

(7) 청주시(靑州市)•174

(8) 내주시(萊州市)•176

(9) 산동성박물관(山東省博物館) 소장 금동불상•177

2. 시기별 특징•182

(1) 오호십육국시대(五胡十六國時代)•183

(2) 북위(北魏) 평성시대(平城時代)•183

(3) 북위(北魏) 낙양시대(洛陽時代)•185

(4) 동위대(東魏代)•186

(5) 북제대(北齊代)•187

(6) 수대(隋代)•188

 

Ⅳ. 석불상(石佛像)•189

1. 출토지와 내용•189

(1) 청주시(靑州市)•191

(2) 제성시(諸城市)•201

(3) 임구현(臨朐縣)•208

(4) 광요현(廣饒縣)•217

(5) 혜민현(惠民縣)•221

(6) 무체현(無棣縣)•225

(7) 창읍시(昌邑市)•226

(8) 고청현(高靑縣)•227

(9) 박흥현(博興縣)•229

(10) 임치구(臨淄區)•234

(11) 제남시(濟南市)•238

(12) 수광시(壽光市)•239

(13) 신태시(新泰市)•242

(14) 용구시(龍口市)•244

(15) 청도시(靑島市)•245

(16) 견성현(鄄城縣)•246

2. 시기별 특징•250

(1) 북위(北魏) 평성시대(平城時代)•252

(2) 북위(北魏) 낙양시대(洛陽時代)•252

(3) 동위대(東魏代)•254

(4) 북제대(北齊代)•255

(5) 수대(隋代)•258

(6) 당대(唐代)•259

(7) 송(宋), 원(元), 명대(明代)•261

Ⅴ. 불교신앙(佛敎信仰)과 조각사(彫刻史)•267

1. 한대(漢代)•267

2. 위(魏), 진(晉),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동진대(東晉代)•270

3.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273

4. 수대(隋代)•286

5. 당대(唐代)•292

6. 송(宋), 금(金), 원대(元代)•298

 

Ⅵ. 한국(韓國) 불교조각(佛敎彫刻)과의 관계•301

1. 마애조상(磨崖造像)•302

2. 금동불상(金銅佛像)•309

3. 지리적인 배경이 끼친 두 지역의 영향관계•317

 

참고문헌•327

 

찾아보기•345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4개(21/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364 기원과 혁명:휴머니티 형성의 고고학 - 영남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10 영남문화재연구원 767 2013.10.08
363 문화재 생물학 최병식 649 2013.09.26
362 전방후원분과 사회 권혁재 890 2013.09.17
361 신라 화백제도와 화랑도 최병식 684 2013.09.03
360 통일신라역연대자료집 권혁재 726 2013.08.28
359 천년의 왕도, 천년의 기억 권혁재 662 2013.08.26
358 신라에서 경주까지 권혁재 639 2013.08.26
357 고고학을 통해 본 아라가야와 주변제국 권혁재 645 2013.08.06
356 신봉동 고분군을 새롭게 보다 권혁재 637 2013.07.31
355 [신간] 고고학탐구 13호 (재)삼강문화재연구원 1065 2013.07.08
354 '와질토기 논쟁고' 신간안내 사진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159 2013.06.28
353 [신간]농업의 고고학-한국고고학회 학술총서5 사회평론 792 2013.06.27
352 [신간] 중국 史前城址와 문명기원 연구 (재)삼강문화재연구원 655 2013.06.20
351 계간 한국의 고고학 23호 최병식 709 2013.06.11
350 한국 청동기시대 편년 서경문화사 837 2013.05.28
349 왕인박사 연구 최병식 688 2013.05.24
348 북방고고학 논총 권혁재 726 2013.05.13
347 고구려의 고분문화 I 관리자 775 2013.05.06
346 중부지방 취락고고학 연구 서경문화사 829 2013.04.12
345 한국의 석등 권혁재 649 2013.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