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지지와 고지도로 본 북한의 봉수

2011-03-18 00:00:00
조회 632


지지와 고지도로 본 북한의 봉수

차용걸 감수 / 김주홍 지음
ISBN : 978-89-6062-070-4  93900
판형 : 신국판
쪽수 : 464쪽
가격 : 30,000원

조선시대 군사적 목적에서 설치되어 조선왕조 500여년간 국가적으로 운영되었던 봉수제가 있었다. 봉수(烽燧)는 횃불과 연기로 변방의 위급한 상황을 본읍(本邑)본영(本營)본진(本鎭)이나 중앙(中央)에 전하기 위한 목적에서 설치되어 국가적으로 운영되었던 통신방법이었다.

현재 한반도 내에는 약 1,200기 내의 봉수가 각지에 남아 있다. 이중 한반도 북부지역인 북한에는 조선시대 발간 지지(地誌)의 기록을 통해 약 660여 기의 봉수가 소재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들 봉수는 분단된 조국의 현실에서 자유롭게 답사를 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에대한 현황은 자세하지 않다.

따라서 본 도서는 답사를 통해 현장조사가 불가능한 ‘북한의 봉수’에 대해 지지(地誌)와 고지도(古地圖)를 통해 북한의 봉수를 소개한 도서이다. 본 도서는 전체 3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부에서는 조선시대 서북지방 제3거 노선을 중심으로 한 북한의 봉수와 조선후기 지방지도의 봉수표기에 대한 필자의 소논문 두 편을 수록하였다. 제2부에서는 북한의 봉수를 조선 전 시기 발간의 지지를 참고하여 도(道)별로 현황을 소개하였다. 또한, 조선후기 지방지도에 표기된 봉수의 형태를 소개하였다. 따라서 본 도서에는 개성(開城) 5기, 황해도(黃海道) 53기, 평안도(平安道) 230기, 함경도(咸鏡道) 370기 등 총 658기 봉수의 소속과 변천 및 대응봉수에 관한 내용을 수록하였다. 제3부에서는 조선 전후기에 발간된 각종 지지에서 시간적 차이를 두고 발간된 6종의 지지를 선별하여 각 지지별 북한 전체 봉수의 관련 기록을 첨부하였다. 이를통해 본 도서가 한편으로는 자료집(資料集)으로서의 기능을 갖추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런 작은 시도를 통해 북한내 봉수의 시대적 변천에 따른 치폐와 대응봉수노선의 관계 등을 상호비교를 통해 파악하는 계기로 여긴다.

‘북한의 봉수’를 주제로 한 본 도서는 북한의 연구자들이 못한 연구를 국내 연구자에 의해 발간되었다는 데서 의의가 있으며, 자유롭게 가서 볼 수 없는 북녘의 봉수를 이해하는데 작으나마 길잡이가 될 것이다.




-----------------------------------------------------------------------



조선시대 봉수연구

김주홍 지음
ISBN : 978-89-6062-069-8  93900
판형 : 신국판
쪽수 : 340쪽
가격 : 24,000원


조선시대 군사적 목적에서 설치되어 조선왕조 500여년간 국가적으로 운영되었던 봉수제가 있었다. 봉수(烽燧)는 횃불과 연기로 변방의 위급한 상황을 본읍(本邑)본영(本營)본진(本鎭)이나 중앙(中央)에 전하기 위한 목적에서 설치되어 국가적으로 운영되었던 통신방법이었다.

현재 한반도 남부지역에는 약 500기 내외의 봉수가 각지에 남아 있다. 이들 봉수는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산정 혹은 도서해안에 위치하며 고종 20년(1894) 봉수제의 폐지 후 100년이 넘는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세인(世人)들의 관심에서 멀어져 왔다. 이에따라 멸실되거나 소재를 알 수 없게 된 경우도 더러 있다. 이러한 봉수의 제대로 된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현장조사가 필요하나 아직까지 체계적인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그동안 타 분야에 비해 연구가 부족하여 왔던 것도 사실이다.

『조선시대 봉수연구』는 저자가 근 20년 가까이 전국의 봉수를 직접 답사하여 얻은 결과로서 조선시대 봉수의 실체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본 도서는 전체 5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Ⅰ장에서는 연구목적에 접근하기 위해 연구사적 검토와 지금까지 이루어진 봉수관련 조사현황을 5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소개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시대별로 봉수제의 운영과 변천을 살펴보았는데, 특히 봉수일기(烽燧日記)는 조선후기 한반도 북부와 남부 일부 지역의 봉수 운용상황을 알 수 있는 자료로서 본 도서를 통해 처음 발표되는 것이다. 제Ⅲ장에서는 문헌에 기록된 봉수시설과 고지도의 다양하게 표현된 봉수 표기양식에 대해 소개하였다. 제Ⅳ장에서는 봉수의 다양한 구조․형태와 각종 거화․방화․생활 등의 시설에 대해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Ⅴ장에서는 앞의 분석과 정리를 다시 종합하여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조선시대 봉수’를 주제로 한 본 도서는 옛 우리 조상들의 호국군사통신수단이었던 봉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아울러 봉수제의 시원국인 중국(中國)과 이웃 일본(日本)에서도 발간된 적이 없는 봉수를 주제로 단행본으로 발간하였다는데서 큰 의미를 갖고 있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3개(22/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343 인간이 된다는 것의 의미 (내셔널 지오그래픽) 최병식 755 2013.03.11
342 백제사지 연구 서경문화사 758 2013.02.28
341 『ジオア-ケオロジ-地学にもとづく考古学』 (재)우리문화재연구원 624 2013.02.27
340 계간 한국의 고고학 22호 최병식 627 2013.02.27
339 한국 고고학의 새로운 방향 최병식 706 2013.02.27
338 중국의 동북공정과 한국고대사 최병식 625 2013.02.27
337 마한•백제의 분묘 문화 I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898 2013.02.21
336 목간과 문자 연구 8 최병식 551 2013.01.23
335 고든 차일드의 신석기혁명과 도시혁명 최병식 1702 2013.01.23
334 백제와 영산강 권혁재 607 2013.01.22
333 무덤 자료로 본 청동기시대 사회 서경문화사 651 2013.01.18
332 움직이는 세상, 움직여야 하는 고고학 서경문화사 813 2013.01.14
331 동북아시아 속의 풍납토성 권혁재 654 2013.01.09
330 과학이 깃든 고대고분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932 2012.12.20
329 신간안내 - 고고학탐구 제12호 (재)삼강문화재연구원 725 2012.12.06
328 인류학 고고학 논총 권혁재 900 2012.11.23
327 동아시아 청동기문화의 교류와 국가형성 권혁재 912 2012.11.12
326 백제와 주변세계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033 2012.10.26
325 우리 문화재 반출사 권혁재 723 2012.10.22
324 한국 신석기문화의 양상과 전개 서경문화사 780 2012.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