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한국고고학회 학술총서4]국가 형성의 고고학

2008-02-11 00:00:00
조회 1183

[한국고고학회 학술총서 4]

국가 형성의 고고학
(225page, 15,000원)

 

◆한국 고고학의 현주소를 돌아보고, 나아갈 지향점을 제시한다
_2007년도 11월에 개최된 제31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주제였던 <국가 형성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의 4개 분야 발표와 토론 내용을 보완ㆍ정리하여 엮은 책이다. 한국고고학전국대회의 주제로는 대체로 당시 학계가 거둔 새로운 유적 조사 성과나 학계의 관심이 집중된 연구 분야가 선정되어 왔다. 2007년 주제는 2006년 주제였던 <계층 사회와 지배자의 출현>과 연작으로 기획된 것인데, 지금까지의 주제 선정과는 그 취지가 사뭇 다르다. 그간 한국 고고학계가 집중해온 고대사회의 물질문화 규명에 대한 연구 성과가 어느 정도 축적된 상황에서, 이제 한국 고고학에서도 우리 자체의 고고학자료를 바탕으로 한반도 고대사회의 발전과 변동 양상에 대해 논의할 시기가 되었다는 것이다. 주로 문헌자료를 통해서, 서구의 이론을 차용해서 설명해왔던 한반도 고대사회의 발전ㆍ변동에 대해 독자적인 설명틀 개발을 탐색해보려는 학계의 첫 발걸음이다. 이와 같은 주제 설정에 학계 일각의 우려가 없던 바는 아니었지만, 과감한 시도를 통해 한국 고고학이 거둔 성과를 정리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종합적으로 성찰하고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한국 고고학의 역량이 집중되어야 할 지향점을 보다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한반도 고대국가 형성의 지표는 무엇인가
-한국 고고학에서 고대국가 형성 전후의 고고학적 지표로 논의되고 있는 사항들 가운데 4개 분야를 선정하여 발표하고 토론하였다. 정치적 중심지와 지배기구의 대두를 나타내주는 ‘성곽’, 사회 구성원들 사이의 분화 정도를 보여주는 ‘고분’, 국가 성립기에 형성되고 영역 확대에 따라 확산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특정 ‘토기 양식’, 그리고 사회 상층부의 재화 유통과 권력 행사 사이의 상관관계를 반영하는 ‘위세품’이 바로 그 지표들이다. 이 중 성곽과 토기 양식은 백제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분과 위세품은 신라의 사례를 중심으로 하였다. 이것은 국가별로 지표를 달리하여 보자는 것이 아니라, 국가별로 조사와 연구가 좀더 진전된 분야를 선정하여 그와 같은 주제들이 한국 고대국가 형성의 보편적인 고고학적 지표가 될 수 있을지 탐색해보기 위함이다.

-성곽: 성시(城市)는 흔히 국가와 문명 기원의 중요 표지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문제는 성시의 개념 및 기원에 관한 학계의 인식이 통일되지 못하는 것이다. 즉, 이 유적이 성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이 종종 국가 기원 탐색의 중요한 경로가 된다. 인류의 복잡한 집단거주형식의 하나인 성시를 판단하는 기준은 1)정착과 인구의 집중, 2)권력의 집중과 계층의 분화, 3)성벽과 궁전 건축의 등장, 4)전문 수공업과 시장의 발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책에서는 1997년 아파트 공사 도중에 발견된 서울시 송파구 풍납동에 위치한 풍납토성을 언급한 기준에 비추어 성시유적으로 볼 수 있을지, 고대국가 형성의 지표로 볼 수 있을지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고분: 신라의 국가 형성을 이해하는 데 고분이 가지는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은 무엇보다도 사회계서에 관한 가장 풍부한 증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먼저 신라 지역 특유의 고분형태인 신라고총을 정의하고, 신라고총의 성립 과정과 체계, 고총체계의 소멸과 왕묘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신라의 지역집단 통합 과정과 국가 형성의 규모 등을 탐구하고 있다. 

-토기 양식: 토기는 가장 일상적으로 사용되던 생활용기로서 어느 유적에서나 가장 풍부하게 출토되고 있기 때문에, 고고학에서는 편년을 위한 유용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즉, 토기는 1차적으로 가장 개인적인 용기로서 기능적 차원의 물건이면서, 유물복합체를 통해 과거 기능적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대상이며, 나아가 특정 문화에 대한 총체적인 정보 창구로서 역할할 수 있다. 이러한 토기와 한국에서 고대국가 성립과의 관계에 대해 학계의 기존 견해는 대략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토기문화 성립과 확산이 고대국가 성립 및 영역 확대와 일치한다, 2)고대국가 성립 및 영역 확대가 토기문화에 비해 선행한다, 3)토기 양식의 확산에는 경제적 측면이 보다 크게 작용한다가 그것이다. 이 책에서는 백제토기를 통해 토기의 고대국가 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의 역할을 다시 한 번 검토해보고 있다. 

-위세품: 사실 위세품이라는 용어는 상대적인 개념이며 대상자료 역시 시대와 사회마다 다양하므로 일원적으로 규정하기 어렵다. 대개 사회 지배층이 자신들의 특권적 지위를 드러내 보이기 위하여 독점적으로 소유하는 희귀 물품을 지칭한다. 우리 역사에서 보면 삼한사회에서는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동경(銅鏡)이, 삼국시대에는 금관(金冠)이나 이식(耳飾)처럼 귀금속으로 만든 장식품이나 외국으로부터 수입한 금속용기, 자기가 위세품적 성격을 지녔던 것으로 보인다. 위세품은 국가권력의 성장이나 지방지배의 방식을 논하는 연구에 활용되고 있는데, 백제의 경우 중국도자와 금속제 장신구가, 신라와 대가야는 금속제 장신구와 장식대도가 주 소재로 활용되었다. 이 책에서는 신라 마립간기의 지배층이 금공품을 공유하는 현상이 등장하게 된 계기를 해명함으로써 금공품이 신라의 고대국가 형성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고찰하고 있다.


◆목차

발간사

論考     
국가 형성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_박순발
都城의 출현과 百濟의 형성_신희권  
古墳資料로 본 新羅의 國家 形成_金大煥  
토기 양식으로 본 고대국가 형성_成正鏞
新羅의 古代國家 形成과 威勢品_李漢祥


討論
「都城의 출현과 百濟의 형성」을 읽고_윤용구
「古墳資料로 본 新羅의 國家 形成」에 대한 토론문_이재현
「토기 양식으로 본 고대국가 형성」에 대한 토론 요지_윤온식
「新羅의 古代國家 形成과 威勢品」을 읽고 _김길식

종합 토론문_權五榮ㆍ김승옥ㆍ李熙濬
제31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국가 형성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종합토론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2개(27/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242 백제연구 53집 발간 土田 純子(츠치다준코) 704 2011.03.08
241 세계 선사 문화의 이해: 인류 탄생에서 문명 발생까지 사회평론 820 2011.03.02
240 고고학과 박물관 그리고 나 권혁재 777 2011.02.23
239 연해주 여진의 주거 건축 권혁재 643 2011.02.19
238 되살아나는 고대문서 - 칠지문서가 전해준 고대의 세계 최병식 609 2011.02.17
237 신간안내 - 東아시아 古代 金屬製 裝身具文化 (재)삼강문화재연구원 640 2011.02.16
236 계간 한국의고고학 2010년 겨울 16호 최병식 672 2011.01.19
235 신간 '중국 산동성 불상' 안내 최병식 607 2011.01.19
234 <2009년 한국고고학저널> 발간 사회평론 736 2010.12.30
233 '가야토기' 신간 안내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043 2010.11.03
232 [신간]고고학의 주요개념 (재)삼강문화재연구원 1192 2010.10.29
231 강원지역의 구석기 고고학 서경문화사 682 2010.10.27
230 고고학을 위한 고인골조사연구법 서경문화사 741 2010.10.27
229 보수사례로 본 석조문화재 보존 권혁재 613 2010.10.21
228 송국리형주거지 집성 서경문화사 770 2010.10.19
227 한국 고고학 강의(개정신판) 사회평론 1002 2010.09.16
226 백제연구 52집 발간 土田 純子(츠치다준코) 684 2010.09.07
225 한국고대의 수전농업과 수리시설 서경문화사 1467 2010.08.19
224 동북아시아 옹관묘(전6권) 권혁재 731 2010.08.18
223 한반도 청동기의 기원과 전개 사회평론 962 2010.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