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한국고대의 수전농업과 수리시설

2010-08-19 00:00:00
조회 1485



한국고대의 수전농업과 수리시설
(한국고고환경연구소 학술총서 8)

한국고고환경연구소 편

ISBN : 978-89-6062-055-1   94900
판형 : 4X6배판
쪽수 : 544쪽
가격 : 42,000원


-개요-

한국고대사회에서 경제의 바탕은 논농사와 밭농사였다. 그 중에서 논농사는 제때에 물을 공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와 같은 기후환경에서는 6~7월 한 달 사이에 집중적으로 비가 내리기 때문에 오랜 기간 물을 필요로 하는 논농사에는 그다지 좋은 기후환경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동기시대부터 본격적으로 논농사가 시작되었고 지금까지도 쌀을 주식으로 삼고 있는 이유는 곡저부가 발달한 우리나라 지형환경에서는 그나마 논농사가 안정적인 생활을 제공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논농사는 개전단계부터 수리시설, 평탄화 작업, 고저차에 의한 논둑의 설치 등 집약적인 노동력과 기술력을 필요로 한다. 이 중에서도 수리시설은 벼농사에 필요한 물의 저장과 공급만이 아니라 홍수로부터 논을 보호해야 하기 때문에 논농사의 성패를 좌우한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정치가가 치수를 가장 중요한 이념으로 삼은 이유도 바로 논농사가 백성의 삶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수리시설은 논농사의 규모와 연관된다. 작은 곡저부나 구릉 하단부를 개전지로 활용했던 논농사 초기단계에는 곡부의 물을 가두는 작은 보시설이 전부였지만, 정치체가 완비된 삼국시대에 접어들면서 대규모의 저수지가 축조되기 시작한다. 고대수리시설의 축조방법으로 敷樹工法이 확인되었다. 이 부수공법은 1959년 漢나라 때 축조된 安豊塘 저수지유적에서 확인되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김제벽골제, 사비나성, 함안 성산산성, 일본의 경우 九州의 大宰府 水城과 大阪市 狹山池가 이러한 공법에 의해 축조되었음이 밝혀졌다.

 고대사회에 있어 수리시설의 축조는 농업생산력의 증대라는 경제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정치적 사회적으로 미치는 효과가 큰 일종의 국책 사업이었다. 따라서 축조 기술뿐만 아니라 수리 시설을 만들게 된 배경과 운영 주체, 몽리의 효과, 파손된 저수지의 보수 등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더불어 중국과 일본에서 수리시설을 만든 과정과 우리의 경우와 비교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서문에서>



- 목차 -

 

도론

 1. 한국고대의 수리시설과 농경에 대한 몇 가지 검토-노중국

         1. 수리시설·저수지 자료 
         2. 금석문·목간에 보이는 水利시설·稻作 관련 용어 검토 
         3. 저수지 축조와 노동력 동원 
         4. 농경의례와 祭儀 神體

        
1장 - 자연환경과 농경
 
 1. 한반도 지형의 발달사적 특성과 전통수리시설의 입지-박수진 
         1. 한반도의 지형발달 과정 
         2. 한반도의 지형체계 
         3. 수리시설의 입지와 지형과의 관계
 2. 고대의 기후와 생태-공우석 
         1. 기후와 기후 변화

         2. 과거 식생 
         3. 고기후 

        
2장 - 마을의 형성과 수전농경
 1. 掘立柱建物이 있는 청동기시대 聚落相-안재호
         1. 한반도 水田農耕 開始期의 社會相 
         2. 掘立柱建物址를 가진 취락 
         3. 高床建物의 사회성
 2. 한반도 농경의 시작과 도작의 수용-조현종
         1. 한반도의 初期農耕
         2. 도작의 기원과 수용
         3. 要約
 3. 도작문화의 정착과 확산-이홍종
          1. 도작농경과 환경
          2. 도작농경의 정착과 확산
          3. 일본으로의 진출과정

         3장 - 수리시설과 수리기술의 발달
 1. 청동기시대~초기철기시대의 수리시-곽종철
         1. 用水源
         2. 集水시설
         3. 水路
         4. 저수지(제방)
         5. 하천제방
         6. 防潮堤
         7. 토성(나성)의 體城
 2. 삼국 및 통일신라의 수리시설-전덕재
          1. 삼국초기의 수리시설과 수전경영
          2. 삼국 중·후반기 堤堰의 축조와 수전의 확대
          3. 통일신라 수리관개기술과 수전농업의 발달
  3. 동아시아 고대 수리토목기술의 발달과 확산-성정용
          1. 한국 수리 토목기술의 양상
          2. 中國과 日本의 고대 수리토목시설
          3. 고대 수리토목기술의 확산과정과 그 의의

        
4장 - 농업기술의 발전과 농경의례
 1. 토지활용방식을 통해 본 한국고대 농업기술의 발전과정-이현혜
         1. 농업기술의 발달과 토지활용방식의 변화
         2. 신석기시대의 토지활용방식
         3. 청동기시대의 토지활용방식
         4. 삼국시대 휴한농업의 확립
         5. 통일신라시대의 토지활용방식
 2. 철제 농기구의 발전과 지역성-김재홍
         1. 농기구의 종류와 기능
         2. 철제 농기구의 발전과정
         3. 철제 농기구의 지역성
         4. 철제 농기구와 수리시설의 발전
 3. 한국고대의 농경의례와 그 변화-주보돈
         1. 농경의례의 의미
         2. 國家形成期의 농경의례
         3. 初期國家의 成立과 농경의례
         4. 貴族國家의 祭祀와 농경의례

        
부록
  1. 각 지역의 경작 유-안재호
  2. 시대별·지역별 각종 수리시설-곽종철

* 한국고대사의 창을 통해 민족문화 보기
   김두진 지음 | 454쪽 | 값 27,000원 | ISBN : 978-89-6062-053-7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4개(27/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244 경남의 가야고분과 동아시아 권혁재 727 2011.03.17
243 한병삼 선생 회고록 '허공에 띄운 편지' 류정한 636 2011.03.15
242 백제연구 53집 발간 土田 純子(츠치다준코) 716 2011.03.08
241 세계 선사 문화의 이해: 인류 탄생에서 문명 발생까지 사회평론 836 2011.03.02
240 고고학과 박물관 그리고 나 권혁재 786 2011.02.23
239 연해주 여진의 주거 건축 권혁재 650 2011.02.19
238 되살아나는 고대문서 - 칠지문서가 전해준 고대의 세계 최병식 618 2011.02.17
237 신간안내 - 東아시아 古代 金屬製 裝身具文化 (재)삼강문화재연구원 649 2011.02.16
236 계간 한국의고고학 2010년 겨울 16호 최병식 680 2011.01.19
235 신간 '중국 산동성 불상' 안내 최병식 638 2011.01.19
234 <2009년 한국고고학저널> 발간 사회평론 744 2010.12.30
233 '가야토기' 신간 안내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050 2010.11.03
232 [신간]고고학의 주요개념 (재)삼강문화재연구원 1200 2010.10.29
231 강원지역의 구석기 고고학 서경문화사 689 2010.10.27
230 고고학을 위한 고인골조사연구법 서경문화사 749 2010.10.27
229 보수사례로 본 석조문화재 보존 권혁재 619 2010.10.21
228 송국리형주거지 집성 서경문화사 779 2010.10.19
227 한국 고고학 강의(개정신판) 사회평론 1009 2010.09.16
226 백제연구 52집 발간 土田 純子(츠치다준코) 691 2010.09.07
>> 한국고대의 수전농업과 수리시설 서경문화사 1486 2010.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