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신라왕도의 고총과 그 주변

2009-03-13 00:00:00
조회 810

ISBN : 978-89-5508-182-4
판형 : 46배판
분량 : 400쪽
가격 : 35,000원

금관이 대표하는 황금문화로 표현되고 있는 신라의 고분, 특히 적석봉토분 속에서 과연 무엇을 찾아낼 수 있을까가 신라고분을 연구하는 우리에게 부여된 임무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신라의 고분은 지금도 발굴되고 있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발굴되어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낼 것이다. 이 많은 자료를 어떻게 처리하고 해석할 것인가에 대해 우리 학계는 하루빨리 방안을 마련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그리고 발굴 기술과 학문적인 수준이 날로 발전함에 따라 과거의 해석은 새로운 검토를 통해 고치고, 새로운 가설과 검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 책은 후자의 관점에서 작성되었다.
지금까지 피상적으로 적석목곽분이라 불렀던 신라의 수도에 주로 축조된 묘제는 이 책에서 논한 바와 같이 다양한 요소가 내재되어 있다. 그 실체는 필자가 지속적으로 주장하다시피 묘와 분을 구분하여 살펴볼 때 우리에게 다른 모습으로 다가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적석목곽분이라고 부르면 단순하게 묘제를 인식시키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그 속에 내재된 발전상, 각 구성요소의 해석문제 등에 대해서는 무시할 수 있는 여지가 있게 된다. 대단히 많은 자료가 축적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라고분에 대한 학술회의를 하려 하면 발표자를 구하기 힘들 정도로 그 연구가 일부 학자에게 편중되고 있으며, 새로운 관점의 연구가 부족한 것이 작금의 현실이라고 할 때, 어떤 돌파구가 마련되어야 하지 않을까 한다. 이 책이 이런 방향에 기여해주었으면 한다.

이 책은 필자가 박사논문을 쓴 후 관심을 가졌던 경주지역, 즉 신라 수도지역 고총에 관해 필자가 발표했던 논문을 모아 현재의 관점에서 다시 수정하면서 정리하여 펴낸 것이다. 책은 본문인 아홉 개의 장과 두 편의 부록 논문으로 구성되었다. 본문인 아홉 개의 장은 크게 여섯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제1장은 신라 수도의 전형적인 묘제인 적석목곽묘와 적석봉토분에 대한 개념적 설명과 함께 신라의 수도인 경주지역 고분의 전체적인 흐름을 정리한 것이다. 
제2장과 제3장은 신라고분의 연대와 왕궁 고분군의 공간적 분포에 중점을 둔 것이다. 
제4장과 제5장은 신라의 최고위계와 그 다음 위계쯤으로 판단되는 고분의 구조를 중점적으로 살핀 것이다. 
제6장은 신라권 전체의 고분양상을 고총체계와 관련시켜 설명한 부분이고, 제7장과 제8장은 신라의 장법과 장제와 관련된 것이다. 
그리고 제9장은 이 책 제목에 나와 있는 왕도가 무엇인가를 필자 나름대로 정리한 것이다. 

개념적 도구인 제1장을 제외하고 각 장에 논의된 내용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2장은 신라고분의 편년에 있어서 중요한 자리를 점하고 있는 황남대총 남분이 왕릉임을 밝히고, 거기에서 출토된 토기를 분석하여, 이 토기가 경주지역의 신라토기 변천과정상 어떤 편년적 위치를 점하고 있는가를 따지고, 그 실연대로 황남대총 남분의 주인공은 5세기 후반전엽의 눌지마립간으로 볼 수 있다는 필자의 견해를 재정리하고 보강한 것이다.
제3장은 신라 마립간기의 중심고분군이라 할 수 있는 신라왕궁 고분군의 형성과 확대과정을 조묘구역의 변천과정을 통하여 논한 것이다. 이곳에서 발굴된 고총 축조 이전의 자료와 고총단계의 자료를 종합하여 무덤군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제4장은 경주의 특수한 묘제로 나타나고 있는 매장주체시설을 지표상에 두고, 적석하고 봉토를 쌓은 지상적석식의 적석봉토분에 대해 논한 것이다.
제5장은 우리에 의한 신라고고학, 아니 한국고고학의 시발점이라 할 수 있고, 고구려 광개토왕과 관련된 청동호우가 발견되어 주목을 끈 호우총, 그리고 함께 조사된 은령총에 대한 구조와 피장자에 접근한 것이다.
제6장은 신라 고총의 발생과 확산과정에 대해 논한 것이다. 이는 신라의 국가형성과 발전을 고고학적인 자료, 특히 고분자료를 통해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를 찾아보려 한 것이다.
제7장은 신라의 고총에 있어서 하나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순장에 대해 논한 것으로 지금까지 밝혀진 순장고총과 발굴된 고분자료 중에서 적극적인 해석을 통해 순장이 시행된 것을 찾아 그 실상에 대해 알아본 것이다.
제8장은 경산 임당고총에 나타나는 제의 흔적과 부장품의 배치 양상을 통하여 장례과정을 유추해보고, 특히 유물의 배치 공간에 따른 유물조합을 분석하여 각 유물군의 의미를 부여하면서 신라 고총 축조인들의 사후관에 대해 알아본 것이다.
제9장에서는 지형, 문헌, 고고학 자료를 총괄하여 신라 수도의 범위를 규정하였다.
부록 두 편의 글은 이러한 신라 고총의 해석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되는 고구려 적석총의 묘제, 중국 한대의 세계관에 대하여 논한 것이다.


차례 

제1장 | 적석목곽묘와 적석봉토분의 이해
1. 신라 고총의 개념과 발생전야
2. 적석목곽묘와 적석봉토분의 개념
3. 적석목곽묘의 분포와 발굴사
4. 적석목곽묘의 발생과 변천쪾

제2장 | 신라 고총의 연대론 - 황남대총 남분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신라고분 편년의 논의
3. 황남대총 남분 피장자 연구의 검토
4. 황남대총 남분 출토 토기와 편년적 위치
5. 황남대총 남분의 연대와 피장자
6. 맺음말

제3장 | 신라왕궁 고분군의 조영과정
1. 머리말
2. 분포와 발굴조사 고분
3. 고분의 편년
4. 조묘구역의 변천
5. 맺음말

제4장 | 신라 적석봉토분의 지상식 매장주체시설 검토
1. 머리말
2. 지상식 매장주체시설 적석봉토분의 구조
3. 지상식 매장주체시설의 특성과 변천
4. 신라 적석봉토분 지상식 매장주체시설의 의의
5. 맺음말

제5장 | 호우총과 은령총의 구조와 피장자
1. 머리말
2. 신라왕궁 고분군과 호우총·은령총
3. 고분의 구조 검토
4. 연대와 피장자 검토
5. 맺음말

제6장 | 신라의 고총체계
1. 머리말
2. 신라 고총
3. 고총의 확산과 고총체계
4. 맺음말

제7장 | 신라 고총의 순장
1. 머리말
2. 신라의 순장고총
3. 순장자의 배치형태
4. 순장묘주와 순장자의 신분
5. 맺음말

제8장 | 신라 고총의 장제 - 경산 임당고총의 예
1. 머리말
2. 임당 고총의 축조과정
3. 고총 축조과정의 제의
4. 부장유물의 의미와 사후관
5. 맺음말

제9장 | 신라왕도의 범위에 대하여
1 머리말
2. 개념의 설정 및 연구사
3. 지형으로 본 왕도
4. 문헌으로 본 왕도
5. 고고자료로 본 왕도
6. 맺음말 - 왕도의 범위

- 부 록 -

제1장 | 고구려 적석총의 분제와 묘제에 대한 새로운 인식
1. 머리말
2. 분류 현황과 문제
3. 분제(墳制)
4. 묘제(墓制)
5. 적석총의 변천과정
6. 맺음말

제2장 | 한대 무씨사 화상석의 우주관 소개
1. 머리말
2. 무씨사와 그 화상의 내용
3. 화상의 배치방법
4. 맺음말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4개(30/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184 삼국시대 금석문 연구 서경문화사 625 2009.04.10
183 한국 고대 정전의 계보와 도성제 서경문화사 637 2009.03.27
>> 신라왕도의 고총과 그 주변 권혁재 811 2009.03.13
181 백제연구 49집 발간 최경환 640 2009.03.12
180 조선고고학전서 61권 발간 진인진 811 2009.03.04
179 청동기시대 취락구조와 사회조직 서경문화사 905 2009.03.02
178 족장사회의 정치권력-선사시대의 정치경제학- 경남고고학연구소 666 2009.02.21
177 갑골의 세계-상대(商代) 중국의 시간, 공간, 공동체 권혁재 557 2009.02.06
176 백제목간 권혁재 590 2009.01.16
175 下條信行(시모조노부유키)선생님 退任記念獻呈論文集 · 著作集 류지환 625 2009.01.14
174 현대 고고학 강의 사회평론 1036 2009.01.06
173 민족주의와 고고학 사회평론 682 2009.01.06
172 청동기시대 주거지집성 Ⅰ,Ⅱ 서경문화사 685 2009.01.06
171 백제와 섬진강 서경문화사 669 2009.01.06
170 백제 생산기술의 발달과 유통체계 확대의 정치사회적 함의 권혁재 770 2008.12.03
169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751 2008.11.24
168 한반도 중서부지역의 지형환경 분석 서경문화사 726 2008.11.24
167 일곱 원로에게 듣는 한국고고학 60년 사회평론 908 2008.10.23
166 고고학탐구 4호가 출판되었습니다. 경남고고학연구소 994 2008.10.22
165 Discovery!(디스커버리!) 사회평론 867 2008.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