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중국 고대 동경>>

2003-03-07 00:00:00
조회 2005
청동 거울로 비추어 본 중원의 문화 제가문화기의 첫 동경 동경(銅鏡)은 구리에 주석과 아연을 섞은 합금으로 만든 거울이다. 얼 굴을 비추는 쪽은 반질반질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뒤쪽은 꼭지를 달거 나 여러 무늬와 함께 좋은 조짐을 보이는 글귀 길상어(吉祥語)를 넣기 도 했다. 동경은 대개 동·서 두 대륙이 쌍갈래를 이루었다. 원판형에 꼭 지 뉴( )를 단 중국의 동경과 원판형에 손잡이를 단 그리스와 이집트 의 자루거울이 그것이다. 서쪽 대륙으로 전파되었을 가장 이른 시기의 동경은 기원전 2900~2700년 전쯤에 만든 이라크 유적 출토품으로 알려 졌다. 한반도의 고대 동경도 물론 중국에 뿌리를 두었다. 더러 시베리 아 쪽에 눈을 돌리기도 하지만, 시베리아 동경은 사뭇 다르다는 것이 다. 『中國古代銅鏡(중국고대동경)』은 동쪽 대륙을 대표하는 중국의 동 경문화를 모두 아우른 방대한 저술이다. 동경에 아로새긴 숱한 무늬의 새김글씨 명문(銘文)을 빌려 당시의 정치와 경제상황, 사상과 문화, 사 회생활과 민속 등을 들추고 있다. 옛 무덤에서 껴문거리로 두루 나오 는 동경은 시대별 특징을 너무 잘 드러내기 때문에 고대사회를 연구하 는 데 가장 큰 믿음을 안겨주는 유물로 평가했다. 동경의 역사를 우선 지금으로부터 4000여년 전인 제가문화(濟家文化)에서 찾은 이 책에서 는 1976년 청해성(淸海省) 귀남(貴南)의 제가문화기 무덤 출토품을 그 신례로 들었다. 그 출토품은 '황제(黃帝)가 동경을 만들어 사용했다'는 전설의 시대로 가까이 다가간 유물이라는 것이다. 청동기사에 빛나는 춘추전국경 거울이라는 글자 '경(鏡)'이 처음 나오는 문헌은 『묵자(墨子)』이 고, 이어 『장자(莊子)』와 『한비자(韓非子)』등에 계속 보여 동경이 전국시대에 널리 유행한 증거로 보았다. 문헌의 기록은 때로 일상생활 을 거울과 맞물려 비유하는 인생철학을 말했는 데, 대표적인 것이 『전 국책(戰國策)』에 나오는 추기(鄒忌:사람 이름)이야기라는 것이다. '거울은 얼굴만 비추는 것이 아니라, 사람 마음까지 비춘다'는 자못 교 훈적인 내용을 담았다. 어떻든 제가문화기 및 상주(商周)를 거친 중국 동경이 유행기를 맞은 것은 전국시대다. 춘추전국경(春秋戰國鏡)이라 고도 말하는 그 시대의 동경은 무늬의 내용과 표현기법이 아주 풍부했 다. 이 책에서는 무늬의 주제에 따라 소(素), 순지(純地), 화엽(花葉), 산자(山字), 능(菱), 금수(禽獸), 반리(蟠 ), 우린(羽鱗), 연호(連弧), 채회(彩繪), 투조(透雕)금은착(金銀錯), 다뉴경류(多 鏡類)등 모두 16 가지로 크게 나누었다. 춘추전국경은 자그마치 1000점 이상이 출토되어 그 이전 시대(제가문 화기~서주)30점을 크게 웃돈다는 것이다. 무늬 내용도 다채로워 기하 학, 석물, 동물, 인물무늬가 보인다. 그러나 만든 솜씨가 뛰어나 두께 가 거의 0.1~0.2cm 정도로 얇아진다는 설명과 함께 무늬를 단층으로 빼곡히 채우는 기법을 특징으로 꼽았다. 중국의 동경이 빛날 수 있었 던 기본적 특징은 바로 전국시대에 확립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전국 시대 당시 동경 주조의 중심을 초(楚)로 추정했다. 그 이유로 호남성 (湖南省) 장사지구(長沙地區)에서 초 때의 무덤 2000여기를 발굴한 결 과 470여점의 동경이 출토되었다는 사실을 상기시켰다. 화려한 종장, 수·당의 동경 동경의 유행기 전국시대가 지나고 나서 전성기를 맞는다. 한대(漢代) 였다. 철기와 농업생산을 기반으로 봉건경제가 번영을 누리는 가운데 도자공예가 머리를 들었지만, 동경도 두드러지게 발전했던 시기라고 한다. 이른바 신중국(新中國)건국 이후 한대 무덤의 고고학 조사가 3면 여기나 이루어졌고, 동경 연구도 괄목할 성과를 거두었다는 것이다. 전 국시대 동경을 빼고도 새로운 유형이 16가지나 나타났다. 성운(星雲), 다유금수(多乳禽獸), 신수(神獸), 용호(龍虎), 화상(畵像) 무늬 동경 따 위는 전시대 유물과는 아주 뚜렷이 구분된다. 이를테면 신수무늬동경 은 지난날 선묘였던 것과는 달리 릴리프형식의 부조다. 거기에는 도교 의 신선인 남극노인(南極老人)과 서왕모(西王母)등 다섯 신선이 성서 로운 동물들과 함께 표현되었다. 그렇다고 동경이 발전만 거듭한 것은 아니다. 정체기도 분명히 있었 다는 것이다. 삼국(三國)정립에서 수대(隋代)의 통일까지 격변의 시대 를 정체기로 보았다. 수가 통일을 하고 나서 당(唐)으로 이어진 시기에 바로소 제자리로 돌아왔다. 그리고 이내 동경이 질적으로 무르익는 성 숙기를 맞이한다는 것이 이 책이 바라본 중국 동경에 대한 시각이다. 그 무렵에는 사신십이생초(四神十二生肖), 서수(瑞獸), 서수포도(瑞獸 葡萄), 화조(花鳥), 서화(瑞花), 신선인물고사(神仙人物故事)무늬동경 등이 유행했다는 것이다. 신선인물고사 동경에는 계수나무 아래서 약 을 찧는 토끼와 펄쩍뛰는 두꺼비 등이 묘사되었다. 그리고 서화류 동경 에는 불교가 융성했던 시대를 반영한 보상화(寶相花)무늬의 거울이 나 오고, 만(卍)자무늬 거울도 보인다. 당대에는 양주(揚州)가 동경의 중 심을 이루었고, 그 동경은 일본 동대사(東大寺)나 고송총(高松塚)에서 보이는 것처럼 대외문화교류의 귀중한 자료가 되었다는 것이 이 책의 결론이다. 책을 지은 공상성(孔祥星·중국역사박물관 연구관원)과 유일만(劉一曼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은 북경대 역사계 고고전공을 졸업한 고고학 자들이다. 그들은 당대의 특수기술을 함축한 도주채회경(塗朱彩繪鏡), 금은착경(金銀錯鏡), 칠배가채화경(漆背加彩畵鏡), 채칠회감뉴리경(彩 漆繪嵌琉璃鏡)을 가리켜 '중국 청동공예사의 백미'란 격찬의 말도 잊 지 않았다. - 차례 - Ⅰ. 중국 동경의 조기 단계 1. 중국 동경의 기원 2. 동경 각 부위의 명칭 3. 제가문화기 동경 素鏡 七角星文鏡 4. 상주시대 동경의 분류와 특징 ⑴ 상대 동경 ⑵ 서주시대 동경 Ⅱ. 중국 동경의 발전과 유행 1. 춘추전국시대 동경의 명칭 변천 2. 춘추전국시대 동경의 분류 ⑴ 素鏡類 ⑵ 純地文鏡類 ⑶ 花葉鏡類 ⑷ 山字文鏡 ⑸ 菱文鏡類 ⑹ 禽獸文鏡類 ⑺ 蟠 文鏡類 ⑻ 羽鱗文鏡類 ⑼ 連弧文鏡類 ⑽ 彩繪鏡類 ⑾ 透雕鏡類 ⑿ 金銀錯鏡類 ⒀ 多 鏡類 3. 다양해진 공예기법과 문양 Ⅲ. 중국 동경의 번영과 전성기 1. 한대 동경의 유형 ⑴ 蟠 文鏡類 ⑵ 蟠 文鏡類 ⑶ 草葉文鏡類 ⑷ 星雲鏡類 ⑸ 連弧文銘文鏡類 ⑹ 重圈銘文鏡類 ⑺ 四乳禽獸文鏡類 ⑻ 規矩文鏡類 ⑼ 多乳禽獸文鏡類 ⑽ 連弧文鏡類 ⑾ 變形四葉文鏡類 ⑿ 神獸鏡類 ⒀  像鏡類 ⒁ 夔鳳(雙夔)文鏡類 ⒂ 龍虎文鏡類 2. 문양의 제재와 구성상의 중요한 변화 3. 동경주조 중심지의 출현과 주조기술의 진보 Ⅳ. 중국 동경의 정체기 1. 삼국위진남북조 동경의 유형 ⑴ 神獸鏡類 ⑵ 變形四葉文鏡類 ⑶ 夔鳳(雙夔)文鏡類 ⑷ 瑞獸鏡類 2. 남방과 북방 동경의 불균형한 발전 3. 일본 동경 주조에 대한 중국의 영향 Ⅴ. 중국 동경의 고도한 발전 1.수당대 동경의 유형 ⑴ 四神十二生肖鏡類 ⑵ 瑞獸鏡類 ⑶ 瑞獸葡萄鏡類 ⑷ 瑞獸鸞鳥鏡 ⑸ 花鳥鏡類 ⑹ 瑞花鏡類 ⑺ 神仙人物故事鏡類 ⑻ 盤龍鏡類 ⑼ 八卦鏡類 ⑽ 卍字鏡 ⑾ 特種工藝鏡類 2. 새로운 양식의 확립과 성숙 隋에서 唐 高宗代 高宗代에서 德宗代 德宗에서 만당·五代 수당동경의 금속성분 3. 당대의 주경 중심지 揚州 4. 대외문화 교류의 귀중한 자료 Ⅵ. 중국 동경의 쇠퇴 1. 오대·송대 동경의 유형과 특징 ⑴ 都省銅坊鏡類 ⑵ [千秋萬歲]銘鏡類 ⑶ 素鏡類 ⑷ 縷枝花草鏡類 ⑸ 花鳥鏡類 ⑹ 神仙人物古事鏡類 ⑺ 八卦文鏡類 ⑻ 紀名號銘鏡類 ⑼ 송경의 발전단계 2. 금대동경의 분류와 특징 ⑴ 雙魚鏡類 ⑵ 人物故事鏡類 ⑶ 盤龍鏡類 ⑷ 瑞獸鏡類 ⑸ 瑞花鏡類 ⑹ 금대동경의 특징 3. 원대 동경의 분류 ⑴ 縷枝牧丹文鏡 ⑵ 神仙·人物故事鏡 ⑶ 至元 四年 雙龍鏡 ⑷ [壽山福海]銘文鏡 ⑸ 素鏡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4개(34/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104 한국 청동기시대 주거지 집성(경상북도編) 전영광 1139 2005.01.07
103 한국 청동기시대 주거지 집성(경상남도 편) 전영광 1246 2004.10.26
102 한국 청동기시대 주거지 집성(서울, 경기, 강원도編) 전영광 1157 2004.10.26
101 수혈건물지(주거지) 조사방법론(품절) 전영광 1170 2004.08.11
100 고고유물의 실측 방법 전영광 2704 2004.08.11
99 한국선사고고학개론 원중호 1016 2004.07.15
98 <세계의 모든 문양>(Myth & Symbol) 완역 출간 ! 유인정 1216 2004.06.21
97 CALIB4.4판이 공개되었습니다 운영자 1210 2003.12.01
96 <<한국의 봉수>>단행본 발간 김주홍 1333 2003.11.08
95 ≪고고학자료로 본 고대 시베리아의 예술세계≫ 최병식 1287 2003.07.23
94 ≪韓國 支石墓 硏究≫ 최병식 1348 2003.07.23
93 백제사연구논저총람 한준영 1336 2003.05.15
>> <<중국 고대 동경>> 최병식 2006 2003.03.07
91 <<시베리아의 선사고고학>> 최병식 2192 2003.03.07
90 호남고고학보 16집 안승모 1414 2002.12.05
89 서울역사박물관 "풍납토성발굴유물특별전" 도록 안내 이경수 1505 2002.11.18
88 '백제의 문자'전 도록 국립부여박물관 1423 2002.10.07
87 강원고고학보 창간호 간행 강원고고학회 1440 2002.08.20
86 고대문화 54- 5,6,7,8 운영자 1117 2002.08.19
85 조선문화연구 제9호 운영자 861 2002.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