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중국 고고학 동향』발간 및 메일 서비스 이용 신청 안내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에서는 2016년부터 매월 『중국 고고학 동향』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중국 고고학 동향』 발간 사업은 中國社會科學網 등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현재 중국 전역에서 추진되고 있는 다양한 고고학 관련 사업들을 월별로 발췌, 정리하여 소개함으로써 중국 고고학계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책자는 발굴조사 소식, 주요 보고서 및 저서 발간, 학술대회 등 각종 현황을 번역하여 요약 정리하였습니다.
2016년부터 2017년까지는 내부 자료로 활용을 하였으나, 점차 증가하고 있는 중국 고고학 관련 자료에 대한 수요를 일부나마 해소하고자 이번에 메일 서비스를 하게 되었습니다.
『중국 고고학 동향』 메일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으신 분들께 매월 PDF 파일을 보내드릴 예정이니 아래의 사항을 참조하여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ㅇ담당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김혜정(042-860-9182), 김보람(042-860-9283)
ㅇ이메일 주소 : kim9338@korea.kr
ㅇ신청기한 : 2018. 3. 10.(토)
ㅇ신청방법 : 담당자 이메일로 신청자의 소속, 성명, 받아보실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신청 마감 후 2016년과 2017년 발간된 『중국 고고학 동향』 24권과 2018년 1월호, 2월호를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수 |
등록일 |
---|---|---|---|---|
606 | 울산의 고분과 고대 사회 | 서경문화사 | 385 | 2018.08.23 |
605 | 목간과 문자 연구 19 (한국목간학회 총서) | 최병식 | 347 | 2018.08.22 |
604 | 중국 출토문헌의 새로운 세계 | 최병식 | 545 | 2018.08.07 |
603 | 이슈와 쟁점으로 읽는 한국고대사 | 역사산책 | 838 | 2018.08.01 |
602 | 삼국통일 어떻게 이루어졌나 | 권혁재 | 495 | 2018.07.27 |
601 | 한국과 동아시아 동궁 연구 | 역사산책 | 477 | 2018.07.19 |
600 | 문화유산학 개론 | 사회평론 아카데미 | 507 | 2018.07.12 |
599 | 『한성백제의 성장』소개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461 | 2018.07.12 |
598 |
『북방고고학개론』소개
![]()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671 | 2018.07.04 |
597 | 건축유적의 발굴과 해석 | 서경문화사 | 598 | 2018.06.22 |
596 | 三國史記 본기의 원전과 편찬 | 최병식 | 479 | 2018.06.20 |
595 | 한국 고대사의 기본 사료 | 최병식 | 498 | 2018.06.15 |
594 | 북방 유라시아 제사 고고학의 현황과 과제 | 최병식 | 507 | 2018.06.05 |
593 | 백제 도성 연구 | 서경문화사 | 524 | 2018.05.31 |
592 | 안라(아라가야)의 위상과 국제관계 | 권혁재 | 421 | 2018.05.31 |
591 |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형성과정 연구 | 최병식 | 536 | 2018.05.08 |
590 | 무기형 석기의 비교 고고학 | 서경문화사 | 645 | 2018.05.03 |
589 | 고고 유물의 관찰과 유구 조사방법 | 사회평론 아카데미 | 1034 | 2018.04.18 |
588 | 한국고대사와 백제 고고학 | 서경문화사 | 767 | 2018.04.05 |
587 | 한국고대사의 재인식 | 서경문화사 | 556 | 2018.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