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목간과 문자연구 17

2017-08-14 13:32:21
조회 835

책 소개

한국목간학회가 출간한 한국목간학회총서 17번째 책이다. 현직에서 연구를 하고 있는 연구원 및 교수들의 목간 연구 논문들이 수록되었다. 목간으로 동아시아세계의 흐름을 살펴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며 한국과 일본, 중국의 목간들에 대한 목간 연구 논문이 주를 이루고 있다.

논문 고구려 에 대한 고찰고광의(동북아역사재단)시작으로 新羅 5~6世紀 石碑의 전개와 특징엄기표(단국대학교), 新羅村落文書 書體윤선태(동국대학교), 華嚴石經>의 조성시기 新考察조미영(원광대학교 서예문화연구소), 시각 문서에서 시각 석비김병준(서울대학교), 日本 初期 石碑의 형태에 대한 검토前澤和之, 베트남의 10세기 이전 石碑에 대하여Phạm Lê Huy(베트남 국가대학) 등 고대 목간을 비교 연구한 논문과 신출토 문자자료로 함안 성산산성 제17차 발굴조사 출토 목간 자료 검토최장미(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삼척 흥전리사지 출토 고승비편 소개박찬문(불교문화재연구소), 일본 출토 고대 목간三上喜孝(일본 국립역사민속박물관) 등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목간연구의 현주소를 보여주고 있다.

 

목차 

 

논문

고구려 에 대한 고찰고광의15

新羅 5~6世紀 石碑의 전개와 특징엄기표37

新羅村落文書書體윤선태67

<華嚴石經>의 조성시기 新考察조미영83

시각 문서에서 시각 석비김병준105

日本 初期 石碑의 형태에 대한 검토前澤和之137

베트남의 10세기 이전 石碑에 대하여Phạm Lê Huy161

 

<신출토 문자자료>

함안 성산산성 제17차 발굴조사 출토 목간 자료 검토최장미191

삼척 흥전리사지 출토 고승비편 소개박찬문219

일본 출토 고대 목간三上喜孝253

 

 

<휘보>

학회소식, 정기발표회, 신년휘호, 자료교환269

 

<부록>

학회 회칙, 간행예규, 연구윤리규정 275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78개(5/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698 야외 고고학 입문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016 2021.12.02
697 고구려 국가제사 연구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582 2021.11.17
696 성왕, 공주에 대통사를 세우다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511 2021.11.17
695 가야사의 인식변화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61 2021.11.15
694 한국 고대의 시선과 시각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43 2021.11.09
693 『실크로드 문명교류사 서설』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773 2021.11.09
692 『2020년 가야학술제전 학술총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634 2021.10.22
691 『발해고고학』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586 2021.10.18
690 『고고학으로 백제문화 이해하기』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649 2021.10.18
689 『고고학자가 얘기하는 우리의 선사시대』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674 2021.10.18
688 『일본문화의 기원 송국리 문화』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978 2021.10.18
687 한국의 고고학 53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473 2021.10.15
686 중앙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46 『발해 고고학』 발간 사진 (재)중앙문화재연구원 465 2021.10.14
685 일본 고대 목간론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425 2021.10.08
684 중국고고학, 위대한 문명의 현장 사진 첨부파일 박종서 914 2021.09.17
683 기전지역의 청동기시대 무덤 연구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55 2021.09.15
682 고대 한류 열풍의 중심지 아스카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61 2021.09.09
681 신라 한주지방의 고분과 사회구조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704 2021.07.29
680 한국고대사 최대 쟁점 백제 요서경략遼西經略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518 2021.07.29
679 한국의 고고학 52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09 2021.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