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고고학과 문헌으로 본 춘천문화의 정체성』
『고고학과 문헌으로 본 춘천문화의 정체성』
– 한림고고학연구소
연구 총서 003 –
북한강문화권과 강원영서문화권의 중심지인 춘천지역의 선사와 고대의 역사와 문화를 고고학과
고대사의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고찰한 연구서 『고고학과 문헌으로 본 춘천문화의 정체성』이 한림고고학연구소 연구 총서 3권으로
발간되었습니다.
『고고학과 문헌으로 본 춘천문화의 정체성』은 춘천지역을 고대사와 고고학 두 영역을 하나의 차원으로 결합하여
접근하였고, 춘천중도유적을 비롯한 최근 발굴 조사된 유적들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집니다. 『고고학과 문헌으로 본 춘천문화의 정체성』은
북한강문화권에서 발굴된 신석기 시대에서 철기시대에 이르는 발굴조사를 총정리하였는데, 일제 강점기에 시작된 고고학적 조사에서 최근의 조사 성과까지
모두 망라한 학사적 의의를 가지기도 합니다.
『고고학과 문헌으로 본 춘천문화의 정체성』는 동일한 주제로 2015년 10월 30일
개최된 학술 심포지엄의 발표내용과 토론 내용을 정리하여 간행되었습니다. 본 심포지엄은 2014년에서 2015년까지 진행된 ‘춘천시험린 조성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를 계기로 한 것이었습니다. 해당 발굴조사는 춘천 고대사회의 중심터전으로 알려져 있는 ‘맥국성터’의 실상을 밝히는 목적이
있었는데, 이 조사를 바탕으로 맥국을 중심으로 하는 춘천의 선사와 고대 전체를 재조명하는 심포지엄이 개최된 것입니다.
『고고학과 문헌으로 본 춘천문화의 정체성』은 춘천지역의 선사문화 전반을 소개하는 「춘천의 선사문화」(노혁진), 취락 구조를 고찰한 「춘천의 청동기시대취락」(이형원), 「춘천의 철기~삼국시대 취락」(심재연), 「3세기 이전 춘천 지역 취락과 정치체의 형성 과정」(김창석) 및 춘천지역을 영서예(嶺西濊)로 이해하는데 고려할 점을 제시한 「이른바 ’嶺西濊’ 이해의 몇가지 문제」 등 5편의 논고와 심포지엄 종합토론 녹취록 및 부록으로 “춘천 맥국설” 관련 논문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 중부지역의 주요 거점인 춘천의 선사시대, 고대사적 의의를 전래의 ‘맥국’을 중심으로 재조명한 『고고학과 문헌으로 본 춘천문화의 정체성』은 해당 지역 뿐 아니라 한반도 중부지역의 선사 고대문화에 대한 지표가 될 것입니다.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발간사 노혁진 3
춘천의 선사문화 노혁진 6
춘천의 청동기시대 취락 이형원
38
춘천의 철기~삼국시대 취락 심재연 70
3세기 이전 춘천 지역 취락과 정치체의 형성 과정 김창석 94
이른바 ‘嶺西濊’
이해의 몇 가지 문제 윤용구 132
녹취록(종합토론) 145
부록 “춘천 맥국설” 관련 논문 목록
163
ISBN :
978-89-6347-309-3 93900
판형 : 153mm * 225mm
페이지 : 172페이지
엮은 이 : 한림고고학연구소
가격 : 12,000 원
출간일 : 2016년 10월 30일
관련분야(조) : 역사
쇼핑몰
바로 가기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수 |
등록일 |
---|---|---|---|---|
658 |
새롭게 해석한 광개토왕릉비문
![]() ![]() |
서경문화사 | 1018 | 2020.07.21 |
657 |
한국과 오키나와 - 초기 교류사 연구
![]() ![]() |
서경문화사 | 2826 | 2020.07.21 |
656 |
한국의 고고학 48호 (2020년)
![]() ![]() |
주류성출판사 | 835 | 2020.07.20 |
655 |
한국의 고고학 47호 (2020년)
![]() ![]() |
주류성출판사 | 1033 | 2020.04.27 |
654 |
[지인공간] 『유산, 문화, 그리고 세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탐방 1』...
![]() ![]() |
진인진 | 1161 | 2020.04.21 |
653 |
『인천 검단의 고고학』 소개
![]() ![]() |
진인진 | 988 | 2020.04.21 |
652 |
『비화가야(非火加耶)』 소개
![]() ![]() |
진인진 | 888 | 2020.04.21 |
651 |
동북아 초기철기문화의 성립과 고조선
![]() ![]() |
서경문화사 | 1051 | 2020.03.31 |
650 |
다시 쓰는 고조선사
![]() ![]() |
서경문화사 | 1271 | 2020.03.31 |
649 |
청동기시대 석기 생산 체계
![]() ![]() |
서경문화사 | 1014 | 2020.03.05 |
648 |
(재)백두문화재연구원 **신간 안내** 『나만의 한국사』
![]() ![]() |
백두문화재연구원 | 939 | 2020.02.28 |
647 |
황룡사
![]() ![]() |
서경문화사 | 871 | 2020.02.17 |
646 |
『실크로드의 대제국 천산 위구르 왕국의 불교회화』 소개
![]() ![]() |
진인진 | 1057 | 2020.02.04 |
645 |
백제 의자왕 평전
![]() ![]() |
서경문화사 | 971 | 2020.01.31 |
644 |
21세기 한국 고대사 (구석기시대 ~ 남북국시대)
![]() |
주류성출판사 | 1207 | 2020.01.16 |
643 |
목양성(牧羊城) - 남만주 노철산록, 한 및 한 이전 유적조사 보고서
![]() ![]() |
주류성출판사 | 1184 | 2019.11.26 |
642 |
이론 고고학
![]() ![]() |
관리자 | 2218 | 2019.11.08 |
641 |
중국고고학
![]() ![]() |
관리자 | 1429 | 2019.11.08 |
640 |
가야 기마인물형 토기를 해부하다
![]() ![]() |
주류성출판사 | 1270 | 2019.11.06 |
639 |
백제토기의 생산유통과 국제성
![]() ![]() |
서경문화사 | 1148 | 2019.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