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실크로드의 고고학』신간 안내

2016-11-10 12:15:59
조회 986

『실크로드의 고고학』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으로 대변되는 유라시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류에 맞추어, 동서양 교류의 상징인 실크로드를 소개하는 개설서 『실크로드의 고고학』이 번역,출간되었습니다. 일본 와세다대학 오카우치 미츠자네 교수가 대표 집필하고 엮은 『シルクロㅡドの考古學』(2008)을 경북대학교 박천수 교수가 번역하였습니다.

『실크로드의 고고학』은 실크로드를 처음 배우는 학생과 일반 독자들을 위해 전반에 대한 내용을 읽기 쉬운 구성과 다양한 도판, 도면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가벼운 분량으로 기획된 책입니다. 역자는 번역과정에서 원래 흑백이던 도판을 컬러로 바꾸고, 역자가 확보한 도판들을 보강하여 보다 생생한 실크로드 개설서가 되도록 배려했습니다.

『실크로드의 고고학』는 실크로드학 입문, 역사, 오아시스 도시군, 실크로드 전래의 문물, 실크로드 발굴 조사 및 연구, 벽화 연구 등으로 구성된 1부 총론과 경주에서 콘스탄티노플에 이르는 실크로드와 관련된 13개 지역을 간략하게 소개한 2부 지역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부록으로는 원본 집필에 참가한 집필자의 상세한 약력과 함께 실크로드를 안내한 자료들에 대한 목록이 실려 있습니다. 방대한 내용을 120 쪽을 가벼운 분량으로 축약?정리하여 22000년 실크로드의 역사를 한 분에 개괄해서 조망할 수 있습니다.

『실크로드의 고고학』은 처음부터 실크로드 입문을 위한 개설서와 실크로드 현지에서 쓰일 수 있는 안내서로서 현장성을 강조하여 기획된 책입니다. 풍부하게 제공되는 실크로드 현장의 모습을 담은 사진과 함께 간결하게 정리된 내용들은 입문자들의 이해를 돕고, 현장 답사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들어가며 9

Ⅰ.총론 19

 

실크로드학 입문 21
실크로드의 사람과 자연 21
실크로드의 동식물 22
실크로드의 역사 26
실크로드의 여명(黎明) 26
한(漢)과 흉노(匈奴)의 항쟁 29
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의 남북교류 32
당(唐)과 페르시아의 교류 35
원(元)의 유라시아 교역 37
실크로드의 오아시스 도시군 41
타클라마칸(Taklamakan) 사막의 북과 남 41
토쿠즈 사라이(托庫孜薩來)의 유적과 유물 43
쿠차(庫車)의 유적과 불교 벽화 46
투르판(吐魯番)은 민족흥망의 땅 48
모래에 묻힌 대상(隊商)의 도시,누란(樓蘭) 51
실크로드 전래의 문물 56
실크로드의 견마교역(絹馬交易) 56
견•모직물의 제작과 교역 59
페르시아에서 건너온 유리와 금은기 61
서역의 유통화폐 63
서역전래의 음악과 무용 66
경주(慶州)와 나라(奈良)•쇼소인(正倉院)의 서역문물 68

실크로드의 발굴조사와 연구 72
와세다대학의 실크로드 합동 조사 72
교하고성(交河故城)과 야르호트(莎車)고분군 75
한대 장성(長城), 검문소(關), 봉화대(烽火臺) 78
벽화고분으로 생활을 복원한다 82
중국의 고분벽화 82
벽화를 통해 본 소그드인들의 삶 85
당나라 벽화와 키토라(キトラ)고분, 타카마츠즈카(高松塚) 87

 

Ⅱ. 지역편 93

경주(慶州) 95
북경(北京) 102
서안(西安)과 낙양(洛陽) 108
카라코룸(Karakorum) 116
돈황(敦煌) 121
우루무치(烏魯木齊) 128
카슈가르(喀什) 135
페르가나(Fergana) 142
사마르칸트(Samarkand) 147
페르세폴리스(Persepolis) 154
팔미라(Palmyra) 160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 168

 

실크로드 안내서 소개 175

ISBN : 978-89-6347-306-2  03910

 

판형 : 153mm * 225mm

 

페이지 : 210페이지

 

저자 : 오카우치 미츠자네(岡內三眞) 외
역자   : 박천수

 

가격 : 15,000 원

 

출간일 : 2016년 9월 30일

 

관련분야(조) : 역사

쇼핑몰 바로 가기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78개(7/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658 새롭게 해석한 광개토왕릉비문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005 2020.07.21
657 한국과 오키나와 - 초기 교류사 연구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2793 2020.07.21
656 한국의 고고학 48호 (2020년)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827 2020.07.20
655 한국의 고고학 47호 (2020년)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030 2020.04.27
654 [지인공간] 『유산, 문화, 그리고 세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탐방 1』...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1153 2020.04.21
653 『인천 검단의 고고학』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982 2020.04.21
652 『비화가야(非火加耶)』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880 2020.04.21
651 동북아 초기철기문화의 성립과 고조선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046 2020.03.31
650 다시 쓰는 고조선사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261 2020.03.31
649 청동기시대 석기 생산 체계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010 2020.03.05
648 (재)백두문화재연구원 **신간 안내** 『나만의 한국사』 사진 첨부파일 백두문화재연구원 935 2020.02.28
647 황룡사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867 2020.02.17
646 『실크로드의 대제국 천산 위구르 왕국의 불교회화』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1051 2020.02.04
645 백제 의자왕 평전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965 2020.01.31
644 21세기 한국 고대사 (구석기시대 ~ 남북국시대) 사진 주류성출판사 1201 2020.01.16
643 목양성(牧羊城) - 남만주 노철산록, 한 및 한 이전 유적조사 보고서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179 2019.11.26
642 이론 고고학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2209 2019.11.08
641 중국고고학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425 2019.11.08
640 가야 기마인물형 토기를 해부하다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267 2019.11.06
639 백제토기의 생산유통과 국제성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140 2019.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