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 고구려 성 연구』 신간 안내

2016-06-21 00:00:00
조회 954

『 고구려 성 연구』


고구려 성 전반에 대한 고고학적 실체를 소개한 『고구려 성 연구』가 발간되었습니다. 저자인 양시은 충북대 교수는 1998년 아차산성 4보루 발굴조사에 참여한 이래 2013년 박사학위 취득을 거쳐 오늘에 이르기 까지 고구려 성 연구에 매진해 온 신진 고고학자입니다. 고구려에 대한 고고학 연구에 있어서 고분과 성은 고구려의 특성을 밝혀주는 주요 대상이라 하겠습니다. 진인진에서는 지난 2015년 강현숙 동국대 교수의 『고구려 고분 연구』에 이어 이번에 『고구려 성 연구』를 발간함으로서 고구려 관련 연구 자료 집성에 대한 본격적인 영역을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고구려 성 연구』는 저자의 박사학위 논문을 다듬은 저작으로서, 현재까지 발굴조사된 유적을 중심으로 고구려 성의 기원, 유형과 구조 그리고 분포상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방어체계와 변천양상을 파악함으로써 고구려 성 전반에 대한 고고학적 실체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고구려 성 연구』는 모두 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장에서는 서론으로서 고구려 성 연구의 현황과 과제를 다루었고, 2장~5장에서는 고구려성의 분포 양상, 고구려 성의 기원, 고구려 성의 구조적 특징, 고구려 성의 방어체계를 각각 다루었습니다. 6장은 전체 내용을 요약한 마무리입니다.

고구려 성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개별 유적에 대한 검토나 답사 수준의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했던 초보적인 단계에서 벗어나, 발굴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분석하는 보다 본격적인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고구려 성 연구』는 시기적으로 일제 시대 이래의 조사기록과 더불어 2000년 대 이후 본격적으로 진행된 고구려 성 발굴조사 및 연구 성과를 면밀하게 분석하였고, 지역적으로는 중국, 북한, 남한의 유적 대부분을 포괄하여 본격적인 고구려 성 연구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습니다. 고구려 성의 고유성을 확보하기 위해 후기 성곽과 중복되는 성의 경우 고구려 유물이 출토된 곳만을 대상으로 삼았으며, 저자가 직접 조사하거나 답사했던 비교적 소규모로 남아있는 남한 소재 유적들을 편년의 기준으로 삼은 것은 이 저작이 가지는 고유한 성격이라고 하겠습니다.

『고구려 성 연구』는 고구려 성의 고고학적 실체를 규명하기 위한 작업으로서의 성과이면서, 현재까지의 작업이 가지는 한계를 분명히 하여 향후 연구 과제의 성격을 분명히 하는 의의를 가지기도 합니다.

고구려를 연구하는 고고학, 역사학 전공자들과 일반 교양 시민의 관심을 요청드립니다.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서문 3

■ 제Ⅰ장 머리말 8

- 1. 고구려 성 연구의 현황과 문제 8

- 2. 연구의 대상과 구성 17

■ 제Ⅱ장 고구려 성의 분포와 현황 19

- 1. 중국 동북 지역 21

- 2. 북한 지역 63

- 3. 남한 지역 84

■ 제Ⅲ장 고구려 성의 기원과 분류 106

- 1. 고구려 성의 기원 106

- 2. 고구려 성의 분류 120

■ 제Ⅳ장 고구려 성의 구조적 특징 133

- 1. 성문 133

- 2. 성벽 147

- 3. 부속시설 162

■ 제Ⅴ장 고구려 성과 방어체계 177

- 1. 졸본 도읍기의 방어체계 178

- 2. 국내 도읍기의 방어체계 183

- 3. 평양 도읍기의 방어체계 197

- 4. 성과 방어체계의 변천 양상 213

■제Ⅵ장 맺음말 226

■ 【부록】 고구려 성 일람표 252


ISBN : 978-89-6347-285-0 93900

판형 : 187 * 250mm

페이지 : 280페이지

저자 : 양시은

가격 : 25,000 원

출간일 : 2016년 6월 21일

쇼핑몰로 바로 이동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78개(8/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638 문헌과 고고자료로 본 가야사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126 2019.10.22
637 문자와 고대 한국 (주보돈교수 정년기념논총)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181 2019.10.22
636 고고학사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1727 2019.09.23
635 중국 동북지구 석붕 연구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1209 2019.09.02
634 『한반도에서 바라본 고대일본』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1098 2019.08.26
633 (재)백두문화재연구원 **신간 안내** 『수혈주거지 조사방법』 사진 첨부파일 백두문화재연구원 1037 2019.08.26
632 삼국유사(三國遺事) 깊이 읽기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076 2019.07.24
631 러시아 연해주의 성(城) 유적과 고대 교통로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389 2019.07.17
630 백제 건축, 치석과 결구를 보다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584 2019.07.17
629 『유라시아의 십이지 문화』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1356 2019.07.01
628 한중관계사상의 교역과 교통로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1222 2019.06.27
627 통구(通溝) - 집안 고구려 유적의 1945년 이전 조사 보고서 사진 첨부파일 최병식 1844 2019.05.02
626 신라의 영역지배 편성과정과 외위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569 2019.04.11
625 빙하 이후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1875 2019.04.05
624 『고고학을 위한 통계학』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2435 2019.03.29
623 고구려 중․후기 지배체제 연구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881 2019.03.20
622 고고학과 인류학을 통해 본 ‘사람다움’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274 2019.03.20
621 『통일신라고고학개론』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1715 2019.03.12
620 『흉노고고학 개론』 소개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290 2019.02.18
619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세트)> 관리자 1409 2019.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