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三國史記 본기의 원전과 편찬

2018-06-20 11:12:23
조회 897

■ 도서 개요
    ▪ 제목 : 三國史記 본기의 원전과 편찬
    ▪ 지은이 : 전덕재
    ▪ 판형 및 페이지 : 150 X 220mm / 564 페이지
    ▪ 발행일 및 가격 : 2018년 6월 28일 / 가격 30,000원
    ▪ ISBN 978-89-6246-352-1 93910
    
■ 책 소개

한국고대사 연구의 핵심 사료
현재 전하는 우리나라 최고의 사서는 『삼국사기』이다. 이것은 삼국과 통일신라 역사 연구의 기본 사료로서 가치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그 후에 편찬된 사서들의 전범(典範)이 되었다는 측면에서 사학사적으로 의의가 결코 작지 않다.
그런데 『삼국사기』에 대한 평가는 그리 호의적인 편이 아니었다. 조선시대 사대부들은 『삼국사기』를 성리학적인 대의명분론에서 일탈한 사서로 폄하 하거나 사대성이란 측면에서 엄격성이 결여된 사서라고 비난하였다. 근대 일본인 학자들은 『일본서기(日本書紀)』에 언급된 왜의 한반도 지배를 명확하게 밝히지 않은 『삼국사기』 기록의 사실성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공격하였고, 민족주의 사학자들은 사대주의적인 사서로서 그 가치를 극도로 폄하 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실성에 대해서도 강력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해방 후 남북한의 사학자들은 『삼국사기』에 대한 민족주의 사학자들의 비판적 인식을 대체로 계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선시대 이래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삼국사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삼국사기』 기사를 치밀하게 분석하여 사실성 여부를 검증하고, 그 전거 자료에 대해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저자는 본서에서 이와 같은 연구방법론에 기초하여 『삼국사기』 본기의 원전과 그것의 개찬과정을 명확하게 해명함으로써 『삼국사기』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를 제고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목차 

서론
1. 『삼국사기』 본기의 원전을 둘러싼 연구동향
2. 본서의 연구방법론
3. 본서의 내용과 구성

제1부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원전(原典)과 편찬(編纂)
제1장 상고기(上古期) 기록의 원전과 개찬(改撰)
1. 신라본기의 기본원전과 『국사(國史)』
2. 중대 『국사』의 개수(改修)
3. 『구삼국사(舊三國史)』의 내용과 상고기 기록의 완성
제2장 중고기(中古期) 기록의 원전과 완성
1. 중고기 기록의 개수(改修)와 『구삼국사』
2. 중고기 기록의 원전과 그 성격
3. 중고기 기록의 완성
제3장 중·하대(中·下代) 기록의 원전과 완성
1. 중국 사서의 인용과 그 추이
2. 국내 자료의 인용과 중 ·하대 기록의 완성
고구려본기의 원전과 편찬

제2부
고구려본기의 원전과 편찬
제1장 광개토왕대 이전 기록의 원전과 완성
1. 중국 사서와 국내 자료의 인용 및 그 성격
2. 광개토왕대 이전 기록의 기본원전과 완성
제2장 장수왕대 이후 기록의 원전과 찬술
1. 중국 사서의 인용과 그 특징
2. 국내 자료의 인용과 장수왕대 이후 기록의 완성

제3부
백제본기의 원전과 편찬
제1장 중국 사서와 국내 자료의 인용
1. 중국 사서의 인용과 그 성격
2. 신라·고구려 교섭 기록의 성격과 인용 추이
제2장 백제본기 기록의 기본원전과 개찬(改撰)
1. 『서기(書記)』의 내용과 개수(改修)
2. 『구삼국사』의 저본자료와 백제본기의 완성

결론
보론 1. 조선시대 유학자와 민족주의 사학자의 『삼국사기』 인식
보론 2. 『삼국사기』 신라본기 초기 기록의 사료비판과 활용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4개(9/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604 중국 출토문헌의 새로운 세계 최병식 1163 2018.08.07
603 이슈와 쟁점으로 읽는 한국고대사 역사산책 1922 2018.08.01
602 삼국통일 어떻게 이루어졌나 권혁재 1013 2018.07.27
601 한국과 동아시아 동궁 연구 역사산책 830 2018.07.19
600 문화유산학 개론 사회평론 아카데미 1000 2018.07.12
599 『한성백제의 성장』소개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889 2018.07.12
598 『북방고고학개론』소개 사진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166 2018.07.04
597 건축유적의 발굴과 해석 서경문화사 1057 2018.06.22
>> 三國史記 본기의 원전과 편찬 최병식 898 2018.06.20
595 한국 고대사의 기본 사료 최병식 875 2018.06.15
594 북방 유라시아 제사 고고학의 현황과 과제 최병식 886 2018.06.05
593 백제 도성 연구 서경문화사 892 2018.05.31
592 안라(아라가야)의 위상과 국제관계 권혁재 741 2018.05.31
591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형성과정 연구 최병식 893 2018.05.08
590 무기형 석기의 비교 고고학 서경문화사 1108 2018.05.03
589 고고 유물의 관찰과 유구 조사방법 사회평론 아카데미 1672 2018.04.18
588 한국고대사와 백제 고고학 서경문화사 1256 2018.04.05
587 한국고대사의 재인식 서경문화사 888 2018.04.05
586 인류의 기원과 진화 (제2판) 사회평론 아카데미 1299 2018.03.29
585 『전남지역 고대문화의 양상과 교류』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773 2018.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