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태봉과 고려 석조미술로 보는 역사
ISBN : 978-89-5508-330-9 93910
분량 : 400쪽
가격 : 28,000원
구입문의 : 02-2026-0541
차 례
Ⅰ. 석조미술로 보는 태봉의 역사 13
제1장 태봉 석조미술의 꽃 : 풍천원 석등 15
태봉국도성의 건립과정과 풍천원 석등의 조성시기 16
풍천원 석등의 양식과 형식 22
풍천원 석등 조성 장인 27
석등 건립 위치와 조성 책임자 38
제2장 구전되는 역사 : ‘궁예미륵’ 구비전승 47
궁예관련 구비전승 선행연구 49
‘궁예미륵’ 석불에 관한 구비전승의 분포와 특징 53
‘궁예미륵’으로 전칭되는 석불의 특징 59
‘궁예미륵’ 석불에 관한 구비전승 발생배경 61
제3장 ‘궁예미륵’ :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 68
현상과 양식적 특성 71
조성시기와 존명 76
제4장 ‘궁예미륵’ 조성배경 : 궁예와 양길의 전쟁, 비뇌성 전투 99
궁예세력의 형성 과정과 비뇌성의 위치 100
비뇌성 전투와 전장 102
토착 세력의 동향 107
제5장 후삼국 통일의 염원 :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 114
현상과 양식적 특징 115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과의 비교 117
조성시기와 조성배경 129
Ⅱ. 석조미술로 보는 고려의 역사 145
제6장 경기도내의 통일신라 석불 : 죽산리 석불입상 147
죽주의 역사와 안성 봉업사지 일대의 석조미술 149
죽산리 석불입상의 조성시기 152
제7장 태조 왕건의 봉업사 중창과 능달 : 봉업사지 석불입상 174
봉업사의 중창과정과 배경 175
봉업사지 석불입상을 통해 본 봉업사 중창의 인력수급 182
제8장 새로운 통일왕조의 출현 :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 195
개태사 연구사 검토 및 석조삼존불입상 조성에 대한 제 의견 197
馬城에 대한 제 의견 206
마성의 위치와 석조삼존불입상의 조성배경 211
제9장 왕즉불 사상의 구현 : 개태사 석조공양상 222
석조공양상의 현상과 조성시기 223
석조공양상의 조성배경 233
제10장 고려 광종을 보는 또 다른 시각 : 미술사와 고고학을 통하여 242
집권초기 - 『정관정요』를 읽는 군주 243
집권중기 - 황제 체제의 선포 254
집권후기 - 왕즉불 사상의 추구 263
제11장 신양식의 출현과 확산 : 보개 착용 석조불상 272
보개착용 석불의 지역별·시대별 분포 273
형태별 분포 274
보개의 변천 281
면류관형 보개 착용 석불의 모방과 전파 294
제12장 고려 석조미술의 보고 : 충주 미륵대원지 299
발굴 유물을 통한 시기추정 301
석조미술을 통한 시기추정 311
조성시기와 배경 322
제13장 전통의 단절과 계승 : 봉녕사 석조삼존불상 330
봉녕사 석조삼존불상의 현상 332
봉녕사 석조삼존불상의 조성시기 337
봉녕사 석조삼존불상의 미술사적 의의 353
참고문헌 358
도판목록 379
수록논문 출처 390
찾아보기 391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수 |
등록일 |
---|---|---|---|---|
618 | <박물관학의 기초-진화하는 지식 시스템> | 관리자 | 1509 | 2019.01.21 |
617 |
『중국 동북지방의 고고문화』 소개
![]() ![]() |
관리자 | 1631 | 2019.01.15 |
616 |
『고고학적 기록 이해하기』 소개
![]() ![]() |
관리자 | 1248 | 2019.01.03 |
615 |
고려시대 역사서의 신이성(神異性)과 삼국유사
![]() ![]() |
역사산책 | 1728 | 2018.11.16 |
614 |
호서고고학회 『초기도시의 고고학』 도록 발간
![]() |
관리자 | 1415 | 2018.11.08 |
613 |
『한국고고학전문용어집』 소개
![]() ![]()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608 | 2018.11.07 |
612 |
한국 대중고고학 개론
![]() ![]() |
최병식 | 1973 | 2018.11.01 |
611 |
가야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 ![]() |
최병식 | 1969 | 2018.11.01 |
610 |
고구려 - 수 전쟁
![]() ![]() |
최병식 | 1075 | 2018.11.01 |
609 |
『마한고고학개론』 소개
![]() ![]()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470 | 2018.10.31 |
608 | 신라 삼국통일 연구 | 권혁재 | 1274 | 2018.08.29 |
607 | 계간 한국의 고고학 40호 | 최병식 | 1106 | 2018.08.24 |
606 | 울산의 고분과 고대 사회 | 서경문화사 | 1030 | 2018.08.23 |
605 | 목간과 문자 연구 19 (한국목간학회 총서) | 최병식 | 1070 | 2018.08.22 |
604 | 중국 출토문헌의 새로운 세계 | 최병식 | 1485 | 2018.08.07 |
603 | 이슈와 쟁점으로 읽는 한국고대사 | 역사산책 | 2392 | 2018.08.01 |
602 | 삼국통일 어떻게 이루어졌나 | 권혁재 | 1311 | 2018.07.27 |
601 | 한국과 동아시아 동궁 연구 | 역사산책 | 1023 | 2018.07.19 |
600 | 문화유산학 개론 | 사회평론 아카데미 | 1218 | 2018.07.12 |
599 | 『한성백제의 성장』소개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124 | 2018.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