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고구려 고분벽화 유라시아 문화를 품다
ISBN : 978-89-5508-331-6 93910
분량 : 640쪽
가격 : 55,000원
구입문의 : 02-2026-0541
목차
서론 | 고구려와 유라시아문화 7
1장 | 고구려 고분벽화의 유라시아적 문화요소의 연원 31
1절 | 고구려와 중국 한위진 벽화고분의 발달과 연원 33
2절 | 중국 고분회화의 연원: 중국 춘추전국~한대 초문화 95
3절 | 스키타이와 흉노의 미술로 본 북방문화권대의 형성과 특징
- 고구려 벽화에 보이는 북방기류의 형성 135
2장 | 고구려 고분벽화의 유라시아적 문화요소의 형성과 발전 213
1절 | 고구려 벽화의 장식 문양과 금장錦帳의 표현과 기능 215
2절 | 고구려 집안지역 고분벽화에 보이는 유라시아적 문화요소
- 각저총과 무용총의 벽화 구성과 주제를 중심으로 253
3장 | 중국 북조-수당 고분의 유라시아적 문화요소의 전개 319
1절 | 중국 북조의 벽화묘에 보이는 유라시아계 문화요소와 그 연원 321
2절 | 중국의 북조 시대 고분 출토품에 보이는 유라시아계 금은기물의 전래
- 고구려 벽화고분에 보이는 유라시아계 문화의 유입 경로
이해를 위하여 385
3절 | 중국의 수당대 북방기류의 확장
- 몽골의 볼간 아이막 바양노르 솜 올란 헤렘 벽화고분 463
4절 | 중국 출토 소그드계 미술에 보이는 그레코-이란 양식의 연원 511
부록 | 영문초록 619
참고문헌 629
색인 634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수 |
등록일 |
---|---|---|---|---|
618 | <박물관학의 기초-진화하는 지식 시스템> | 관리자 | 1512 | 2019.01.21 |
617 |
『중국 동북지방의 고고문화』 소개
![]() ![]() |
관리자 | 1633 | 2019.01.15 |
616 |
『고고학적 기록 이해하기』 소개
![]() ![]() |
관리자 | 1250 | 2019.01.03 |
615 |
고려시대 역사서의 신이성(神異性)과 삼국유사
![]() ![]() |
역사산책 | 1731 | 2018.11.16 |
614 |
호서고고학회 『초기도시의 고고학』 도록 발간
![]() |
관리자 | 1417 | 2018.11.08 |
613 |
『한국고고학전문용어집』 소개
![]() ![]()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609 | 2018.11.07 |
612 |
한국 대중고고학 개론
![]() ![]() |
최병식 | 1975 | 2018.11.01 |
611 |
가야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 ![]() |
최병식 | 1970 | 2018.11.01 |
610 |
고구려 - 수 전쟁
![]() ![]() |
최병식 | 1076 | 2018.11.01 |
609 |
『마한고고학개론』 소개
![]() ![]()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472 | 2018.10.31 |
608 | 신라 삼국통일 연구 | 권혁재 | 1275 | 2018.08.29 |
607 | 계간 한국의 고고학 40호 | 최병식 | 1108 | 2018.08.24 |
606 | 울산의 고분과 고대 사회 | 서경문화사 | 1033 | 2018.08.23 |
605 | 목간과 문자 연구 19 (한국목간학회 총서) | 최병식 | 1071 | 2018.08.22 |
604 | 중국 출토문헌의 새로운 세계 | 최병식 | 1489 | 2018.08.07 |
603 | 이슈와 쟁점으로 읽는 한국고대사 | 역사산책 | 2398 | 2018.08.01 |
602 | 삼국통일 어떻게 이루어졌나 | 권혁재 | 1312 | 2018.07.27 |
601 | 한국과 동아시아 동궁 연구 | 역사산책 | 1023 | 2018.07.19 |
600 | 문화유산학 개론 | 사회평론 아카데미 | 1220 | 2018.07.12 |
599 | 『한성백제의 성장』소개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126 | 2018.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