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영남의 고고학> 신간안내

2016-01-07 00:00:00
조회 875
‘영남의 고고학’ 신간안내 제 목 : 영남의 고고학(영남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13) 저 자 : 영남고고학회 발행기관 : 사회평론아카데미 발행연도 : 2015. 11. 30 ISBN : 979-11-85617-60-2 93900 분 량 : 753쪽 판 형 : 185*230mm 가 격 : 40,000원 구입문의 : 02-2191-1132 책 소개 최초의 지역고고학 개설서 이 책은 영남지역의 고고학 개설서이다. 구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전 시기를 망라한 최 초의 지역고고학 개설서로 우리나라의 지역고고학 연구에 한 획을 긋는 성과이며, 최근의 개설서 중 최신 발굴자료나 연구성과가 가장 잘 반영된 책이기도 하다. 집필은 대학과 박물 관, 연구소, 발굴현장 등에서 활동하는 영남지역 연구자 60명의 공동 작업으로 이루어졌다. 10년 전인 2006년부터 간행되기 시작한 ‘영남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열세 번째 권으로, 열 두 권의 번역서에 이은 최초의 국내 연구자 집필서이다. 영남지역의 고고학 연구는 비단 영남지역뿐만 아니라 한반도와 동아시아 영역 연구에 서 더 없이 중요하다. 한반도의 신석기시대 시기구분의 기초적인 작업이 이 지역에서 이루 어졌을 뿐만 아니라, 국가 이전 단계에서 초기국가를 거쳐 신라와 가야라는 고대국가에 이 르는 과정을 단절 없이 설명할 수 있는 많은 고고학적 성과가 축적된 곳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이 같은 성과와 함께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연구성과까지 반영하여 고 고학 연구의 시간적인 폭을 근세까지 넓히고 있다. 시기별로 7개의 장으로 구성 이 책은 시기별로 크게 7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계에서 논란이 많은 신석기시대 이 후부터 삼국시대가 시작되기 전까지의 단계는 초기철기?원삼국시대라고 명명하였다. 고려? 조선시대는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장의 내용에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각 시기별로 의미 있는 주거와 무덤, 생업, 도구 등을 중점적으로 서술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구석기시대는 영남지역 유적의 현황과 특징, 자연환경과 입지, 석기의 종류와 제작방 법, 영남지역 석기군의 특징과 변천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신석기시대는 자연환경과 동식 물상, 토기, 생업과 도구, 의례와 장신구, 대외교류 활동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청동기시대 는 토기, 도구와 생업, 주거와 취락, 무덤, 암각화 및 의례, 다른 지역과의 관계에 대해 다루 고 있다 초기철기 원삼국시대는 . ? 주거와 취락, 무덤, 생산과 의례, 토기, 청동기, 철기, 옥 및 장신구, 외래계 유물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삼국시대는 신라와 가야의 묘제, 신라와 가야의 토기, 장신구, 마구, 의기, 농공구, 갑 주, 무기, 생산유적, 금속용기, 성곽, 외래유물, 주거와 취락, 의례와 신앙에 대해 깊이 있게 기술하며, 통일신라시대는 묘제, 왕경과 지방도시, 토기, 기와, 왕릉, 사찰, 대외교류와 외래 계 유물, 금동불과 소조불, 금속공예, 제사와 의례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고려?조선시대는 묘제, 관아, 성곽, 도자기, 기와, 금속유물, 무기, 제사유적 등을 중적적으로 다루고 있다. 실 로 구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모든 분야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폭넓게 설명하고 있다. 연구자의 개인 견해 적극 반영 영남문화재연구원은 “애초 책의 제목을 ‘영남고고학 개설’로 설정하고 작업을 진행했지만 연구자들의 개인 견해를 가능한 한 적극적으로 반영하면서 ‘개설’이라는 단어를 뺐으나, 개 설서라는 원래의 목적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다”고 설명한다. 오히려 개인별 견해를 적 극적으로 반영한 결과 현재 학계의 첨예한 논쟁점이 책에 더 잘 반영되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반구대 암각화의 연대문제이다. 반구대 암각화는 이 책에서 신석기시 대와 청동기시대 양쪽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독자가 혼란을 느낄 수도 있지만, 이것이 오히 려 학계의 분위기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을 정독한다면 반구대 암각화의 연대문제 뿐만 아니라 삼국시대의 편년문제 등 다양한 학계의 이견을 접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지역적인 경계는 영남지역으로 한정되어 있지만 전국의 고고학ㆍ역사학 관련 학과 학부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집필되었다. 나아가 기성 연구자들에게도 훌륭한 개설 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남지역뿐만 아니라 한국의 고고학 연구자들이 이 책을 적극 활 용한다면, 영남지역은 물론 한국고고학 연구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 다. <끝> 저자 소개 편집위원장 이청규(영남대학교), 안재호(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준비위원 김세기(대구한의대학교), 김용성(한빛문화재연구원), 안재호, 이동주(동아대학교), 이재현(신라문화유산연구원), 이희준(경북대학교) 집필자 선정위원 김권구(계명대학교), 김두철(부산대학교), 박승규(영남문화재연구원), 박천수(경북대학교), 이상길(전 경남대학교), 이희준, 임상택(부산대학교), 정의도(한국문물연구원), 정인성(영남대학교), 하인수(부산근대역사관), 홍보식(복천박물관) 감수위원 강현숙(동국대학교), 류창환(극동문화재연구원), 박광열(성림문화재연구원), 신종환(대가야박물관), 이성주(경북대학교), 이수홍(울산문화재연구원), 이재현 신라문화유산연구원 ( ), 하인수, 하진호(영남문화재연구원), 홍보식 운영위원 강현숙, 박광열, 박승규, 이수홍, 이재현 간사 강태석(동국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양아림(영남대학교박물관), 이혜정(동국대학교박물관) 집필자 구석기시대 장용준(국립대구박물관) 신석기시대 신종환(대가야박물관), 이동주(동아대학교), 임상택(부산대학교), 최종혁(부경문물연구원), 하인수(부산근대역사관) 청동기시대 강인욱(경희대학교), 고민정(경남발전연구원), 김광명(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김권구(계명대학교), 김병섭(극동문화재연구원), 배덕환(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배진성(부산대학교), 안재호(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유병록(우리문화재연구원), 이수홍(울산문화재연구원), 천선행(전북대학교박물관), 하진호(영남문화재연구원) 초기철기·원삼국시대 김권일(신라문화유산연구원), 김나영(울산대학교박물관), 김도헌(동양대학교), 박진일(국립중앙박물관), 우병철(영남문화재연구원), 윤호필(중부고고학연구소), 이성주(경북대학교), 이양수(국립김해박물관), 이재현(신라문화유산연구원), 정인성(영남대학교), 홍보식(복천박물관) 삼국시대 김도헌, 김동숙(성림문화재연구원), 김두철(부산대학교), 김세기(대구한의대학교), 김영민(울산대학교박물관), 김옥순(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김용성(한빛문화재연구원), 김창억(세종문화재연구원), 류창환(극동문화재연구원), 박광열(성림문화재연구원), 박승규(영남문화재연구원), 박천수(경북대학교), 이상율(부경대학교박물관), 이상준(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이한상(대전대학교), 이희준(경북대학교), 조영제(경상대학교), 조영현(대동문화재연구원), 조효식(국립중앙박물관), 홍보식 통일신라시대 김유식(국립경주박물관), 박광열, 양은경(부산대학교), 이동헌(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박물관), 이은석(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주경미(부산외국어대학교), 최태선(중앙승가대학교), 홍보식 고려·조선시대 구자경(전 한국문물연구원), 김윤희(한국문물연구원), 이일갑(국보학술문화연구원), 이정옥(경상대학교), 정의도(한국문물연구원), 주영민(일제강제동원역사기념관), 최정혜(부산박물관) 차례 발간사 5 일러두기 15 구석기시대 I 영남지역 구석기유적의 현황과 특징 19 II 영남지역의 자연환경과 유적 입지 27 III 영남지역의 구석기 31 신석기시대 I 총설 45 II 자연환경과 동식물상 52 III 생활시설 57 IV 토기 69 V 생업과 도구 83 VI 의례와 장신구 94 VII 교류활동 100 청동기시대 I 총설 121 II 토기 126 III 도구와 생업 142 IV 주거와 취락 161 V 무덤 177 VI 청동기시대 암각화 및 의례 190 VII 다른 지역과의 관계 197 초기철기·원삼국시대 I 총설 221 II 취락과 주거지 228 III 무덤 238 IV 생산과 의례 253 V 토기 265 VI 청동기 282 VII 철기 289 VIII 유리, 옥, 기타 장신구 304 IX 외래계 유물 314 삼국시대 I 총설 331 II 신라의 묘제 336 III 가야의 묘제 354 IV 신라토기 376 V 가야토기 394 VI 장신구 415 VII 마구 430 VIII 의기 442 IX 농공구 447 X 갑주 461 XI 무기 476 XII 생산유적 483 XIII 금속용기 494 XIV 성곽 502 XV 외래유물 512 XVI 주거와 취락 524 XVII 의례와 신앙 532 통일신라시대 I 총설 551 II 묘제 558 III 왕경과 지방도시 569 IV 토기 588 V 기와와 생산 601 VI 왕릉 608 VII 사찰유적 616 VIII 대외교류와 외래계 유물 622 IX 금동불과 소조불 630 X 금속공예 638 XI 제사와 의례 648 고려·조선시대 I 총설 665 II 묘제 671 III 조선시대 관아 677 IV 성곽 683 V 도자 695 VI 기와 705 VII 금속유물 717 VIII 무기 727 IX 제사유적 732 찾아보기 744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2개(9/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602 삼국통일 어떻게 이루어졌나 권혁재 997 2018.07.27
601 한국과 동아시아 동궁 연구 역사산책 813 2018.07.19
600 문화유산학 개론 사회평론 아카데미 985 2018.07.12
599 『한성백제의 성장』소개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867 2018.07.12
598 『북방고고학개론』소개 사진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150 2018.07.04
597 건축유적의 발굴과 해석 서경문화사 1034 2018.06.22
596 三國史記 본기의 원전과 편찬 최병식 882 2018.06.20
595 한국 고대사의 기본 사료 최병식 859 2018.06.15
594 북방 유라시아 제사 고고학의 현황과 과제 최병식 871 2018.06.05
593 백제 도성 연구 서경문화사 878 2018.05.31
592 안라(아라가야)의 위상과 국제관계 권혁재 724 2018.05.31
591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형성과정 연구 최병식 876 2018.05.08
590 무기형 석기의 비교 고고학 서경문화사 1076 2018.05.03
589 고고 유물의 관찰과 유구 조사방법 사회평론 아카데미 1626 2018.04.18
588 한국고대사와 백제 고고학 서경문화사 1235 2018.04.05
587 한국고대사의 재인식 서경문화사 870 2018.04.05
586 인류의 기원과 진화 (제2판) 사회평론 아카데미 1264 2018.03.29
585 『전남지역 고대문화의 양상과 교류』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756 2018.03.27
584 『영산강유역 마한제국과 낙랑•대방•왜』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874 2018.03.27
583 고구려 복식 문양의 도안 연구 권혁재 923 2018.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