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 충남 VI : 금산,논산,대전,청양』 신간 안내
마한,백제의 분묘 문화 III
- 충남 VI : 금산ㆍ논산ㆍ대전ㆍ청양 편 -
『마한,백제의 분묘문화 III – 충남V : 부여2편』과 함께 『마한,백제의 분묘문화 III – 충남VI : 금산ㆍ논산ㆍ대전ㆍ청양 편』이 새롭게 출간되었습니다.
『마한ㆍ백제의 분묘문화』 시리즈는 중앙문화재연구원이 주도하고 충북대학교와 한신대학교의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2011년부터 5개년 계획으로 진행하고 있는 작업입니다. I권에서는 서울ㆍ경기ㆍ인천ㆍ강원 지역의 분묘 유적들이, II권에서는 충북지역의 유적들이 소개되었고, III권은 충남 지역의 유적을 소개하도록 기획되었습니다. 충남의 경우 넓은 지역이기도 하고, 마한 백제 유적의 분포가 밀집된 곳인 까닭에 여러 책으로 나뉘어 소개하도록 기획되었는데, 작년까지는 충남 동북부 지역인 천안ㆍ아산ㆍ연기ㆍ공주 지역에 대한 발간이 완료되었고, 올 해에는 충남 부여를 대상으로 하는 충남V책과 함께 충남 금산ㆍ논산ㆍ대전ㆍ청양 지역의 유적들을 대상으로 하는 V-6권이 동시에 출간 된 것입니다.
충남 VI권 금산ㆍ논산ㆍ대전ㆍ청양 편에는 금산 지역 3 곳, 논산 지역 16 곳, 대전 지역 19 곳 , 장양 지역 2 곳 등 총 40 곳의 유적 자료를 총 640쪽의 분량과 1매의 유적 분포도로 정리했습니다. 전체적으로 대전과 논산의 유적 수가 많으나, 금산, 청양의 경우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유적이 조사된 특징이 있습니다. 유구 집적도와 수량의 축면에서는 논산의 동산리, 모촌리 및 대전의 궁동, 상대동, 창양 장승리 유적들이 비중 있는 유적들이라고 할 수 있으나 소규모 유적들도 다수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빠진 나머지 충남ㆍ전북ㆍ전남 지역의 자료와 함께 완성될 『마한ㆍ백제의 분묘문화』 시리즈가 마한ㆍ백제사 연구작업에 기여하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금산 마전리유적
■ 금산 수당리유적(1999)
■ 금산 수당리유적(2005)
■ 논산 노티리유적
■ 논산 동산리 담배산유적
■ 논산 두월리유적
■ 논산 모촌리 고분군
■ 논산 산노리유적
■ 논산 신흥리 고분군
■ 논산 원남리·정지리유적
■ 논산 원북리유적
■ 논산 육곡리 고분군
■ 논산 육곡리 여술 고분
■ 논산 정지리유적
■ 논산 표정리 고분군
■ 논산 표정리 당골고분군
■ 논산 표정리 도구머리 고분군
■ 논산 표정리 하표정 고분군
■ 논산 호암리 절골유적
■ 대전 가수원동유적
■ 대전 괴정동유적
■ 대전 구성동유적
■ 대전 궁동유적
■ 대전 노은동유적
■ 대전 대정동유적
■ 대전 대화동유적
■ 대전 미호동유적
■ 대전 복룡동유적
■ 대전 상대동유적
■ 대전 송촌동유적
■ 대전 신대동유적
■ 대전 오정동유적
■ 대전 용계동유적
■ 대전 용산동유적(1997)
■ 대전 용산동유적(2005)
■ 대전 원신흥동 덜레기유적
■ 대전 월평동 25-60번지 유적
■ 대전 지족동 가마골유적
■ 청양 분향리유적
■ 청양 장승리 고분군
■ 마한·백제의 분묘 유적 분포도(금산·논산·대전·청양)
■ 금산지역 유적 위치도
■ 논산지역 유적 위치도
■ 대전지역 유적 위치도
■ 청양지역 유적 위치도
ISBN : 978-89-6347-240-9 94900
판형 : 210mm * 297mm
페이지 : 640페이지
저자 : 중앙문화재연구원
가격 : 63,000 원
쇼핑몰로 바로 가기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수 |
등록일 |
---|---|---|---|---|
618 | <박물관학의 기초-진화하는 지식 시스템> | 관리자 | 1512 | 2019.01.21 |
617 |
『중국 동북지방의 고고문화』 소개
![]() ![]() |
관리자 | 1632 | 2019.01.15 |
616 |
『고고학적 기록 이해하기』 소개
![]() ![]() |
관리자 | 1250 | 2019.01.03 |
615 |
고려시대 역사서의 신이성(神異性)과 삼국유사
![]() ![]() |
역사산책 | 1729 | 2018.11.16 |
614 |
호서고고학회 『초기도시의 고고학』 도록 발간
![]() |
관리자 | 1416 | 2018.11.08 |
613 |
『한국고고학전문용어집』 소개
![]() ![]()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609 | 2018.11.07 |
612 |
한국 대중고고학 개론
![]() ![]() |
최병식 | 1974 | 2018.11.01 |
611 |
가야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 ![]() |
최병식 | 1970 | 2018.11.01 |
610 |
고구려 - 수 전쟁
![]() ![]() |
최병식 | 1076 | 2018.11.01 |
609 |
『마한고고학개론』 소개
![]() ![]()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471 | 2018.10.31 |
608 | 신라 삼국통일 연구 | 권혁재 | 1274 | 2018.08.29 |
607 | 계간 한국의 고고학 40호 | 최병식 | 1107 | 2018.08.24 |
606 | 울산의 고분과 고대 사회 | 서경문화사 | 1032 | 2018.08.23 |
605 | 목간과 문자 연구 19 (한국목간학회 총서) | 최병식 | 1071 | 2018.08.22 |
604 | 중국 출토문헌의 새로운 세계 | 최병식 | 1489 | 2018.08.07 |
603 | 이슈와 쟁점으로 읽는 한국고대사 | 역사산책 | 2394 | 2018.08.01 |
602 | 삼국통일 어떻게 이루어졌나 | 권혁재 | 1311 | 2018.07.27 |
601 | 한국과 동아시아 동궁 연구 | 역사산책 | 1023 | 2018.07.19 |
600 | 문화유산학 개론 | 사회평론 아카데미 | 1220 | 2018.07.12 |
599 | 『한성백제의 성장』소개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 1126 | 2018.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