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목간과 문자연구 14

2016-02-15 00:00:00
조회 878

? 책 소개

 

한국목간학회가 출간한 한국목간학회총서 14번째 책이다. 현직에서 연구를 하고 있는 연구원 및 교수들의 목간 연구 논문들이 수록되었다. 목간으로 동아시아세계의 흐름을 살펴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며 한국과 일본, 중국의 목간들에 대한 목간 연구 논문이 주를 이루고 있다.

논문 「‘?丘儉紀功碑’의 해석과 高句麗·魏 전쟁의 재구성」 이승호(동국대학교 사학과)를 시작으로 「부여 구아리 319 유적 출토 편지목간의 이해」 심상육(백제고도문화재단) · 김영문(인문학 연구서재 ??齋), 「포항 중성리신라비 판독과 인명표기」 이성호(불교문화재연구소), 「律令 제정 전후의 新羅 官等」 이용현(국립대구박물관), 「공주 舟尾寺址와 ‘阿尼’ 명문석편에 관한 고찰」 김창석(강원대학교 역사교육과), 「‘성주사 낭혜화상탑비’의 ‘得難’과 ‘五品’ 재검토」 이재환(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신라하대 寶林寺 금석문의 서체와 그 서풍」 정현숙(열화당책 박물관) 등 고대 목간을 비교 연구한 논문과 신출토 문자자료로 「2013年秦漢魏晉簡牘?究?述魯家亮(武?大學簡帛硏究中心) 등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목간연구의 현주소를 보여주고 있으며, 문자자료 다시읽기로는 「『大同類聚方』 典藥寮本과 고대 한반도 관련 처방」 박준형 · 여인석(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동은의학박물관)을 소개 하였다.

? 목차


?논문?

「?丘儉紀功碑」의 해석과 高句麗·魏 전쟁의 재구성┃이승호┃ 15

부여 구아리 319 유적 출토 편지목간의 이해┃심상육·김영문┃ 45

포항 중성리신라비 판독과 인명표기┃이성호┃ 65

律令 제정 전후의 新羅 官等┃이용현┃ 87

공주 舟尾寺址와 ‘阿尼’ 명문석편에 관한 고찰┃김창석┃ 109

「성주사 낭혜화상탑비」의 ‘得難’과 ‘五品’ 재검토┃이재환┃ 129

신라하대 寶林寺 금석문의 서체와 그 서풍┃정현숙┃ 149

 

<신출토 문자자료>

2013年秦漢魏晉簡牘?究?述┃魯家亮┃ 177

 

?문자자료 다시일기?

『大同類聚方』 典藥寮本과 고대 한반도 관련 처방┃박준형·여인석┃ 223

 

<휘보>

학회소식, 정기발표회, 신년휘호, 자료교환 ┃ 287

 

<부록>

학회 회칙, 간행예규, 연구윤리규정 ┃ 293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78개(9/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618 <박물관학의 기초-진화하는 지식 시스템> 관리자 1506 2019.01.21
617 『중국 동북지방의 고고문화』 소개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627 2019.01.15
616 『고고학적 기록 이해하기』 소개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245 2019.01.03
615 고려시대 역사서의 신이성(神異性)과 삼국유사 사진 첨부파일 역사산책 1725 2018.11.16
614 호서고고학회 『초기도시의 고고학』 도록 발간 첨부파일 관리자 1413 2018.11.08
613 『한국고고학전문용어집』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606 2018.11.07
612 한국 대중고고학 개론 사진 첨부파일 최병식 1971 2018.11.01
611 가야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사진 첨부파일 최병식 1967 2018.11.01
610 고구려 - 수 전쟁 사진 첨부파일 최병식 1074 2018.11.01
609 『마한고고학개론』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469 2018.10.31
608 신라 삼국통일 연구 권혁재 1271 2018.08.29
607 계간 한국의 고고학 40호 최병식 1103 2018.08.24
606 울산의 고분과 고대 사회 서경문화사 1029 2018.08.23
605 목간과 문자 연구 19 (한국목간학회 총서) 최병식 1068 2018.08.22
604 중국 출토문헌의 새로운 세계 최병식 1482 2018.08.07
603 이슈와 쟁점으로 읽는 한국고대사 역사산책 2390 2018.08.01
602 삼국통일 어떻게 이루어졌나 권혁재 1307 2018.07.27
601 한국과 동아시아 동궁 연구 역사산책 1022 2018.07.19
600 문화유산학 개론 사회평론 아카데미 1217 2018.07.12
599 『한성백제의 성장』소개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123 2018.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