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문자와 고대 한국 (주보돈교수 정년기념논총)

2019-10-22 11:52:34
조회 1179



책 개요

제목 : 문자와 고대 한국 1

- 기록과 지배

엮은이 : 한국목간학회

판형 및 페이지 : 150X 220mm / 640 페이지

발행일 및 가격 : 20191021/ 가격 30,000

ISBN 978-89-6246-404-7 94910

제목 : 문자와 고대 한국 2

- 교류와 생활

엮은이 : 한국목간학회

판형 및 페이지 : 150X 220mm / 604 페이지

발행일 및 가격 : 20191021/ 가격 30,000

ISBN 978-89-6246-405-4 94910

 

 

책소개


이 책은 크게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책의 서두에는 주보돈 교수가 직접 문자자료에 기초했던 당신의 학문인생을 정리하였다. 1부는 문자가 들어오다는 제하(題下)에 한자문화의 전파와 수용의 역사를 다루었다. 이두, 구결, 향찰, 국자(國字)에 이르기까지 한국 고대인들의 창의적인 문자수용과 변용의 역사를 소개하였다.

2문자로 다스리다는 문자가 갖는 정치성을 소개하였다. 기념비와 호적 그리고 시각목간(視覺木簡)에 이르기까지 문자의 원초적 속성의 하나로 기록과 지배에 주목하였다.

3문자로 주고받다는 고대사회의 교역과 외교에 관한 문서들을 비롯해 일상의 편지 등 의사전달과 소통의 매개물로 사용된 문자를 검토하였다.

4문자와 함께 살다는 고대인의 삶과 죽음이라는 일상을 문자자료로 조망 해보았다. 왕경과 왕궁의 생활, 의약, 주술에 매달렸던 생의 염원, 글자 연습과 낙서에 이르기까지 생활 전반을 관통했던 문자의 힘을 직시하였다.

각 부에는 한국 고대의 문자자료를 보다 객관적으로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고대 중국의 관련 자료들과 심화된 연구 성과들을 칼럼 형식으로 소개하여 보완 하였다. 끝으로 미래 문자연구의 발전을 기대하면서 문자를 보존하고, 문자를 보다 정확히 읽어낼 수 있는 현대과학의 방법론을 2편의 글로 정리하였다.

 

 

목차

 

간행사

 

프롤로그

나의 역사 연구와 문자 문화 / 주보돈

 

1부 문자가 들어오다

1-01. 한자문화의 전파와 수용 / 李成市

칼럼 복수의 국제질서, 그리고 조공책봉 체제 / 김병준

1-02. 낙랑군 시기 한자문화 / 김병준

1-03.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의 문자문화 / 고광의

1-04. 고대의 변격(變格) 한문 / 최연식

1-05. 이두(吏讀) / 백두현

1-06. 구결이란 무엇인가 / 김영욱

1-07 향가 해독 이야기 / 김영욱

1-08 합자(合字)와 국자(國字) / 권인한

1-09 측천문자(則天文字)의 발명과 전파 / 植田喜兵成智

1-10 한국 고대 서예의 수용과 변용 / 정현숙

칼럼 서예의 탄생 / 정현숙

 

2부 문자가 다스리다

2-01. 광개토왕비 다시 읽기 / 임기환

2-02. 무덤 속 문자에 담긴 고구려인의 정체성 / 여호규

2-03. 백제의 지방행정과 목간 / 김영심

칼럼 신라의 행정 문서 / 이재환

2-04. 백제 좌관대식기와 이식(利殖) / 정동준

2-05. 진흥왕과 순수비 / 전덕재

칼럼 진시황의 순수와 각석 / 전덕재

2-06. 6세기 신라의 법과 율령 / 김창석

2-07. 남산신성비와 역역동원체제 / 이수훈

2-08. 영천 청제비와 대구 무술오작비 / 김재홍

2-09. 신라촌락문서의 세계 / 윤선태

2-10. 문무왕의 하교(下敎)와 유조(遺詔) / 홍승우

2-11. 성덕대왕신종이 들려주는 소리 / 김수태

2-12.. ‘시각목간(視覺木簡)’의 정치성 / 橋本繁

칼럼 시각 석비’, 석비의 시각적 의미 / 김병준

 

3부 문자가 주고받다

3-01. 낙랑군과 삼한 지역의 교역 / 김병준

칼럼 고대 동아시아의 기록문화와 계수간(計數簡) / 윤재석

3-02. 고대의 대내·외 교역과 문자 / 김창석

3-03. 고구려에 온 신라 사신 / 김현숙

3-04. 백제 개로왕의 국서와 풍태후 / 서영교

칼럼 백제의 편지 / 이재환

칼럼 중국 고대의 편지 / 김병준

3-05. 신라·백제 목간과 일본 목간 / 이성시

3-06. 신라의 집사성첩과 일본 / 전덕재

3-07. 발해의 대일 외교활동과 중대성첩 / 권은주

3-08. 고대 탐라와 일본 / 小宮秀陵

3-09. 고대(古代)의 역인(譯人) / 정승혜

 

4부 문자가 함께 살다

4-01. 목간에 기록된 신라 왕경 생활 / 이용현

4-02. 신라 왕도(王都)와 문자자료 / 박성현

4-03. 한국 고대 의약 관련 출토자료 / 윤선태

칼럼 고대 중국의 의학 목간 / 김병준

4-04. 한국 고대의학과 대동유취방/ 박준형

4-05. 고대의 경계제사와 주술 / 이재환

칼럼 중국 고대의 길 제사, 조도(祖道) / 김병준

4-06. 무령왕과 왕비의 장례식 / 이재환

4-07. 당으로 이주한 백제 유민들의 묘지명 / 김영관

4-08.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유행 / 주경미

칼럼 석가탑 출토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국적과 연대 / 이재환

4-09. 신라의 석경 / 조미영

4-10. 신라 성전사원연구와 문자자료 / 이영호

4-11. 고대의 문자기와 / 이병호

4-12. 습서와 낙서, 그리고 부호 / 권인한

 

 

에필로그

5-01 문자를 보존하는 과학 / 양석진

5-02 문자연구와 현대과학 / 여인욱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78개(1/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778 켈트, 게르만, 스카타이를 넘어서: 유럽의 철기시대 고고학과 정체성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43 2025.06.27
777 한국의 고고학 67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8 2025.06.27
776 백제 국가제사 연구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69 2025.06.11
775 대가야의 성장과 금공문화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55 2025.04.23
774 일본 고고박물관 개론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56 2025.04.23
773 무덤 고분, 영생을 꿈꾸다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48 2025.04.23
772 발굴과 사색 청동기시대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94 2025.03.20
771 한국의 고고학 66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225 2025.02.17
770 한국의 고고학 65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299 2024.11.19
769 안즈민 일기 - 1963~65년 조중고고발굴대의 고조선 연구와 역사 분쟁...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43 2024.11.19
768 우리 시대의 가야사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448 2024.10.24
767 한국의 고고학 64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50 2024.08.08
766 평양 대동강면 무덤떼의 축조 집단 연구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403 2024.07.12
765 카자흐스탄과 한국, 5천년의 파노라마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55 2024.06.28
764 쟁점, 한국 고대사 그 해답을 찾다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01 2024.05.23
763 한국의 고고학 63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618 2024.04.19
762 고고학 첫걸음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600 2024.03.08
761 자연환경 그리고 신라의 발생과 붕괴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93 2024.02.14
760 [신간] 처음 읽는 한국고고학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796 2024.02.08
759 화학고고학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513 2024.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