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가야의 철(鐵) 생산과 유통

2021-01-04 10:08:01
조회 760


도서 개요

제목 : 가야의 철() 생산과 유통

엮은이 :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판형 및 페이지 : 155 X 225mm / 408 페이지

발행일 및 가격 : 20201221/ 가격 22,000

ISBN 978-89-6246-433-7 93910

 

 

도서 소개

 

가야 성장의 근간인 에 대한 고고학적 논의

 

지난 4반세기 동안 가야사에 대한 자부심과 애정으로 가야사국제학술회의를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있는 김해시의 노력은 남다르다. 이 학술회의를 주관하는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는 이러한 의지와 전통을 충분히 자각하여 보다 나은 학술회의의 개최와 학술회의의 결과를 적극적으로 전파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 책은 가야의 철 생산과 유통이라는 주제로 열린 제26회 기야사국제학술회의 성과를 묶은 것이다. 26년 전인 1994년에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에서는 가야 제국(諸國)의 철이라는 주제로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 가야문화연구소 창립 이후 첫 번째 학술대회로서 국내외 문헌 및 고고학 전공자들이 한데 모여 가야의 철에 대한 연구 성과를 정리하는 자리였다.

 

가야는 철의 왕국이라고 불릴 정도로 화려한 철기 문화를 꽃피웠다. 가야의 여명기에 해당하는 창원 다호리 유적이나 전성기의 김해 대성동, 양동리 유적, 부산 복천동 유적 등 가야의 주요 유적에서는 막대한 양의 철기를 무덤에 부장하는 풍습이 성행하였으며, 이는 5세기 이후 크게 성장한 대가야의 유적과 유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고학 자료와 함께 변한과 가야의 철 생산과 유통을 다룬 문헌 기록이 남아 있어 가야의 철기는 일찍부터 주목을 받아왔다. 또한 최근에는 소규모이기는 하지만 김해와 창원 지역을 중심으로 제철 유적이 발견되면서 가야의 제철문화 연구가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김해 하계리와 창원 봉림동 유적에서는 철광석에서 철을 추출하는 제련 공정도 확인되었고, 김해 여래리 유적의 단야 관련 유구와 유물을 통해 가야 철기의 생산과 유통 과정을 추정하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고고학과 역사학 연구 성과들을 종합하여 가야 철 문화를 본격적으로 다루게 될 이번 학술회의가 철을 매개로 동아시아 네트워크의 중추적인 역할을 했던 가야의 실체를 밝히는데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될 것으로 확신한다.

 

 

목차

 

주제발표

 

1. 가야의 철 문화

이남규 (한신대학교)

 

2. 가야의 철기 생산과 정치권력의 성격 변화

김재홍 (국민대학교)

 

3. 日本古代의 철기문화와 加耶

村上恭通 (日本 愛媛大學)

 

4. 낙동강하구 유역 철 문화의 전개 과정과 전기 가야의 제철

김일규 (부산대학교)

 

5. 문헌으로 본 가야의 철생산과 유통

김양훈 (대성동고분박물관)

 

6. 한국 고대 철기 생산기술의 발전과 가야

김상민 (목포대학교)

 

7. 한국 고대 제철기술 복원의 실험고고학적 접근

한지선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8. 중국 고대 철기 문화의 진보

白云翔 (中國 社会科学院)

 

종합토론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78개(1/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778 켈트, 게르만, 스카타이를 넘어서: 유럽의 철기시대 고고학과 정체성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8 2025.06.27
777 한국의 고고학 67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6 2025.06.27
776 백제 국가제사 연구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74 2025.06.11
775 대가야의 성장과 금공문화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58 2025.04.23
774 일본 고고박물관 개론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59 2025.04.23
773 무덤 고분, 영생을 꿈꾸다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50 2025.04.23
772 발굴과 사색 청동기시대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201 2025.03.20
771 한국의 고고학 66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227 2025.02.17
770 한국의 고고학 65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04 2024.11.19
769 안즈민 일기 - 1963~65년 조중고고발굴대의 고조선 연구와 역사 분쟁...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46 2024.11.19
768 우리 시대의 가야사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454 2024.10.24
767 한국의 고고학 64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54 2024.08.08
766 평양 대동강면 무덤떼의 축조 집단 연구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405 2024.07.12
765 카자흐스탄과 한국, 5천년의 파노라마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64 2024.06.28
764 쟁점, 한국 고대사 그 해답을 찾다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05 2024.05.23
763 한국의 고고학 63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625 2024.04.19
762 고고학 첫걸음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602 2024.03.08
761 자연환경 그리고 신라의 발생과 붕괴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98 2024.02.14
760 [신간] 처음 읽는 한국고고학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801 2024.02.08
759 화학고고학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516 2024.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