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현장소식

나주 금성관 동.서익헌지 복원 발굴조사

2003-03-24 13:54:00
조회 2111
나주 금성관 동,서익헌 복원을 위한 발굴조사 Ⅰ. 유 적 명 : 나주 금성관 동,서익헌 복원을 위한 발굴조사 Ⅱ. 조사지역 : 전라남도 나주시 과원동 109-5번지 일대 Ⅲ. 조사기관 : 동신대학교박물관 Ⅳ. 조사기간 : 2002년 12월 16일 ~ 2003년 3월 15일 Ⅴ. 조사목적 금성관 동,서익헌의 정확한 위치 및 규모를 파악하여 정비 복원을 위 한 기초자료를 획득하는 한편 역사적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Ⅵ. 조사경과 나주시에서는 나주읍성의 주요 관아건물을 정비복원하여 테마형의 역사공간으로 활용할 목적으로 연차적으로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오고 있다. 이번 객사의 정청에 해당하는 금성관의 양쪽에 위치하는 동익헌 (벽오헌)과 서익헌의 발굴조사 또한 그러한 계획 가운데 하나로 추진되 었다. 오늘날 남아있는 관아건물로는 내아와 아문인 정수루, 객사인 금 성관이 있는데 이밖에도 나주읍성의 남문(남고문)과 동문(동점문), 객 사의 외삼문(망화루)이 이미 발굴조사되거나 조사 후 정비복원되어 있 다. 나주 객사는 정청에 해당하는 금성관과 동․서익헌, 내․외삼문(망화 루, 2002년 복원)로 구성되어 있는데 남문과 북문을 잇는 남북축선상 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가운데 이번 조사는 동익헌(벽오헌)과 서익헌 건물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 곳은 훼철 후 일제시대 건립 된 건물이 1970년대 중반까지 존속하다가 금성관 복원공사에 즈음하 여 철거되거나 화재로 소실된 후 공터로 남아 있었다. 이에 동익헌 구 역은 22×22m 규모의 트렌치를 설정하여 전면제토하여 유구를 노출하 였다. 또 금성관 건물지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남쪽 기단석에서 서쪽의 금성관쪽으로 1.5×1m의 피트 1개를 설정하여 조사하였다. 서 익헌 구역은 35×15m로 규모의 트렌치를 설정하여 전면제토하여 유구 를 노출하였다. 그리고 금성관 건물지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동 쪽의 금성관쪽으로 2.5m×2.2m 규모의 피트 2개를 설정하여 조사하였 다. Ⅶ. 관련 기록의 검토 여기에서는 이번에 조사한 건물지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나주목 및 나주읍성과 금성관 및 동,서익헌에 대한 연혁을 연대순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고려시대 1) 983년(성종 2) 12목 가운데 나주목 설치됨 2) 1011년(현종 2) 1월 거란의 2차 침입시 현종 나주 몽진(10일간) 3) 1018년(현종 9) 8목 가운데 나주목으로 정비됨 4) 나주읍성 고려시대에 초축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음 문헌에는 1237년(고종 24)에 처음 등장함(『고려사』 권103, 열전 16, 金慶孫條) 5) 전라도관찰사 李行(1342~1432) 동익헌을 碧梧軒으로 명명(『동국 여지승람』 나주목 궁실조) 초축은 乾元重寶(996년, 성종 15~1009년, 목종 12)로 미루어 10세 기 후반~11세기 초로 추정됨 2. 조선시대 1) 1404년(태종 4) 10월 1일 나주읍성 축조됨(『태종실록』 권8, 4년 10월 기사조) 2) 1451년(문종 1) 8월 21일 나주읍성 개축(『문종실록』 권2 원년 8 월 병술조) 3) 1457년(세조 3) 1월 16일 흉년으로 중단(『세조실록』 권6, 3년 정 월 신사조) 3) 1457년(세조 3)~1459년(세조 5) 목사 金係熙 나주읍성 넓혀 쌓음 (『동국여지승람』 나주목 누정조) 4) 1480년(성종 10) 8월~수개월 나주목사 金春卿, 통판 吳漢 동익헌 (벽오헌) 중수(『동국 여지승람』 나주목 궁실조) 5) 1487(성종 17)~1489년(성종 19) 목사 李有仁 錦城館 및 望華樓(외 삼문) 건립(『신증동국여지승람』 나주목 궁실조 및 누정조) 6) 1617년(광해군 9) 4월 21일 금성관 중수(금성관 상량문) 7) 1742년(영조 18) 목사 尹歆 망화루(외삼문) 중건 8) 1775년(영조 51) 8월 30일 금성관 개수(금성관 상량문) 9) 1872년(고종 9) 금성관(3칸 팔작지붕), 동익헌(3칸 맛배지붕), 서 익헌(3칸 맛배지붕) 규모로 표기됨(『나주지도』 규장각 10483) 10) 1884(고종 22)~1886년(고종 24) 목사 朴奎東 금성관 중수(『금성 읍지』) 11) 1920년 망화루 훼철 12) 1963년 9월 18일 금성관 부분 보수 13) 1976년 9월 10일~1977년 6월 30일 금성관 완전해체 보수- 정면 5 칸, 측면 4칸 Ⅷ. 조사내용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객사의 정청인 금성관과 동,서익헌 건물지, 보 도시설을 확인하였다. 이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동익헌지 조사전 동익헌터는 일제시대 건립된 목조건물(13.2×8m)이 1970년대 후반까지 존속하다가 화재로 인해 소실된 후 간이주차장 등으로 이용 되고 있었다. 이로 인해 전체 건물지 가운데 서쪽편의 2/3 정도는 파괴 된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기단석과 주초석을 놓기 위한 적심시설은 비 교적 원형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대략적인 건물의 규모는 파악이 가능하였다. 한편 1872년 제작된 『나주지도』에 의하면 금성관 기단 열과 일치하는 정면 3칸의 맛배지붕의 기와건물로 금성관 보다는 약간 낮게 위치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조사구역 내에서 확인된 건물지 의 규모는 정면 4칸, 측면 3칸 규모로 확인되었으나 이번 조사에서 확 인하지 못한 동쪽부분이 둔덕을 이루고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정면 칸 수는 5칸으로 추정된다. 건물지 내부는 약 15Cm 가량 불다짐 한 후 그 위에 건물을 배치하였 다. 남쪽의 기단석은 2열이 확인되는데 100×28×35Cm 가량의 다듬은 장대석을 사용한 기단은 전체길이 13.2m 가운데 중앙부의 7m 가량은 훼손되었다. 기단석은 1단만 배치하였다. 이 기단석에서 57Cm 안쪽으 로는 길이 3m 가량의 할석재로 된 또 다른 기단열이 확인되었는데 역 시 1단만 배치하였다. 북쪽의 기단석은 금성관쪽의 일부만 남아 있었 다. 100×80×50Cm 가량의 대형 할석재를 기단석으로 사용하였는데 서 익헌에서 확인된 북쪽 기단과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남아있는 상 태로 보아 적심은 대략 100×180Cm 규모로 할석재를 이용하여 원형으 로 배치한 후 그 위에는 135×54×98Cm 정도의 대형 막돌 주초석을 놓 았다. 정면의 주칸거리는 동에서 서쪽으로 각각 460-450-440-360Cm 간격을 보이며, 측면은 300-800-220Cm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 까지 노출된 건물지의 바닥면에서는 전면에 걸쳐 목탄과 함께 소토층 이 깔려있는 것으로 보아 화재로 인해 폐기된 후 최종 건물이 조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북쪽 기단열 밖으로도 주초석이 일부 확인되고 있는데 후대에 건물의 규모가 축소되었는지 아니면 또 다른 건물인지 의 여부는 이번 조사에서 확인할 수 없었다. 이 건물지에서는 고려 말기의 「正洨」명, 「十」명 청자를 비롯한 각종 청자편, 조선 초기의 「內贍」명 분청자를 비롯한 각종 분청자, 「×」명 백자를 비롯한 각종 백자편 등 자기류와 전돌, 일휘문(귀목 문) 암․수막새, 어골문과 복합문 등 기와류, 철제 못 등이 출토되었 다. 따라서 이들 출토유물과 문헌기록를 종합해보면 동익헌은 여러 차 례의 증․개축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 므로 정확한 규모는 후에 밝혀질 것으로 본다. 2. 서익헌지 조사전 서익헌터는 나주군수 관사로 이용된 건물지 2동이 1970년대까 지 존속하다가 철거한 후 공터로 남아 있었다. 이 후에도 수도관과 시 멘트 구조물이 지표하 1~1.5m 깊이까지 매설된 관계로 전면에 걸쳐 유구의 훼손이 심각한 상태였다. 따라서 정확한 규모는 확인할 수 없었 는데 1872년 제작된 『나주지도』에 의하면 정면 3칸의 맛배지붕의 기 와건물로 금성관 기단에서 약간 앞쪽(남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정청 인 금성관이나 동익헌 건물과 비교하여 매우 낮은 위치에 있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현재까지의 조사결과 건물지는 3동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먼 저 서익헌은 주 건물은 유구의 훼손정도가 심하여 정확한 주칸거리는 파악되지 않는데 남아있는 규모로 보아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추정 된다. 그러나 주칸거리는 동익헌에 비해 약간 좁았을 것으로 추정된 다. 건물지 내부는 약 15Cm 가량 불다짐 한 후 그 위에 건물을 배치하 였다. 기단석은 북서쪽 모서리 부분 즉, 서쪽과 북쪽의 일부에만 남아 있는데 대체로 100×80×50Cm 가량의 대형 할석재를 기단석으로 사용 하고 있고, 일부는 사찰 건물의 주초석으로 사용되었던 원형의 고멕이 가 달린 주초석을 기단석으로 이용하고 있다. 건물지의 바닥면에서는 중앙에서 약간 서쪽으로 치우쳐 길이 5.5m, 너비 150Cm 규모의 보도시 설이 확인되는데 소형 할석재를 깔은 양상이 건물지 동편에서 확인된 보도시설과 동일하다. 또한 소토층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동익헌 역 시 화재로 인해 폐기된 후 최종 건물이 조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제 2 건물지는 주 건물지 바로 남쪽에 위치하는데 정면 2칸, 측면 1칸 규모이다. 정면의 주칸거리는 동에서 서쪽으로 각각 240-250Cm 간격 을 보이며, 측면은 300Cm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제 3 건물지는 제 2 건물지 바로 남쪽에 위치하며 정․측면 각 1칸 규 모로 정면의 주칸거리는 420Cm, 측면은 310Cm의 간격을 보이고 있다. 이 건물지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화폐로서 996년(성종 15)에 주 조되어 1009년(목종 12)까지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건원중보」와 고 려 말기의 완형 화문청자접시를 비롯한 청자편, 조선 초기의 분청자, 백자편 등 자기류, 전돌, 일휘문(귀목문) 암,수막새, 어골문과 복합문 등 기와류가 소량 출토되었다. 따라서 이들 출토유물과 문헌기록를 종 합해보면 동익헌 역시 여러 차례의 증,개축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판단 되지만 현재 조사가 진행 중에 있으므로 정확한 규모는 후에 밝혀질 것 으로 본다. 3. 보도시설 서익헌의 제 2건물지와 제 3 건물지에서 동쪽에서 확인되었다. 현재 노출된 규모는 남북 길이 11m, 너비 110Cm 이며, 이 보도시설은 동쪽 으로 꺾여 정청인 금성관쪽으로 계속 연장되고 있고, 남쪽으로도 계속 연장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보도의 경계면에 장방형의 소형 할석재 로 경계석을 세우고 그 안쪽으로는 납작한 할석재를 깔았는데 서익헌 중앙부에서 확인된 보도시설과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 Ⅸ. 조사성과 이번 발굴조사의 성과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번 조사를 통해 동,서익헌에 대한 복원자료를 확보할 수 있 었다. 따라서 이미 복원되어 있는 정청인 금성관, 외삼문인 망화루와 함께 앞으로 진행될 나주 객사의 전체적인 복원사업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화폐인「건원중보」는 996년(성종 15)에 주조되어 1009년(목종 12)까지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를 통 해 나주 객사의 창건연대가 11세기 초까지 소급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 시하였다는 점이다. 『고려사』에 의하면 객사는 1279년(충렬왕 5) 8월 에 처음 건립되는 것으로 기록하고 있으나 사신이 묵은 것은 고려 초부 터라 한다. 따라서 이번에 출토된 「건원중보」는 비록 제토과정에서 불안정한 층위에서 출토된 것이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유구가 심하 게 훼손된 점을 감안하면 객사 또는 사신의 숙소가 고려 전기까지 소급 될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는 크다고 여겨진다. 셋째, 읍성의 핵심 건물이자 중심적인 관아 건물 가운데 하나인 객사 가운데 현존하는 객사건물로는 경주와 홍성, 무장읍성 객사 등이 알려 져 있으나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현재까지 정식 학술조사를 통해 밝혀진 객사는 고창읍성의 객사가 유일한데 이번 나 주 객사가 추가됨으로서 이 방면의 연구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건축 사 연구에도 일조하리라 판단된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617개(16/31페이지)
 
현장소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317 [알립니다] 인천 삼목도유적 현장설명회 우천으로 인해 취소 임상택 873 2003.05.29
316 밀양 - 상동간 신안유적 발굴조사 운영자 2625 2003.05.26
315 마산시 진동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내 시굴조사 운영자 1764 2003.05.26
314 인천 삼목도유적 현장설명회(05.30) 개최 안내 양시은 1080 2003.05.25
313 나주호 관광지 조성부지내 발굴조사 운영자 1842 2003.05.21
312 담양 성산리 유적 운영자 1916 2003.05.16
311 익산 왕궁리 와요지 운영자 2228 2003.05.16
310 경남대학교 박물관 밀양금천리유적 현장설명회 개최 안내 경남대학교박물관 1107 2003.05.15
309 화성 발안리 유적 운영자 1983 2003.05.09
308 화성 기안리 유적 운영자 2016 2003.05.09
307 연천 은대리성 지표 및 발굴조사 운영자 1961 2003.05.09
306 포항 호동 쓰레기매립장 건설부지내 유적 운영자 2377 2003.05.09
305 울산옥동유적 지도위원회 개최 안내 울산문화재연구원 1494 2003.05.01
304 경주 봉길리유적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영남문화재연구원 2047 2003.04.23
303 여주 중암리 고려백자요지 2차 발굴조사 한준영 1603 2003.04.15
302 경의선 연결도로 비무장지대구간 시굴조사 한준영 1546 2003.04.15
301 (재)울산문화재연구원 신축부지 발굴조사 운영자 1837 2003.04.14
300 경주 봉길리 신월성 원전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개최 이주림 1079 2003.04.10
299 울주 반구대 암각화 진입도로 부지 내 유적 시, 발굴조사 운영자 2087 2003.04.01
298 울주 반구대 암각화 진입도로 부지 내 유적 현장설명회(4/2) 운영자 946 2003.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