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현장소식

하남 이성산성 발굴조사

2002-12-30 13:44:00
조회 2469
하남 이성산성 발굴조사(10차) 현장설명회의 자료 I. 조사개요 1. 조사목적 이성산성은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에 위치한 석축산성으로 성벽의 총 길이는 1,665.33m, 면적은 128,890.55㎡ 이다. 북쪽의 산정상부를 둘러 싸고 남쪽으로 계곡을 포함하고 있는 포곡식 산성으로 한강의 남쪽 유 역에 위치하면서 주변의 삼국시대 성곽 및 주변의 지형을 잘 조망할 수 있는 지역에 축조되어 군사적,행정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 는 산성이다. 산성의 규모와 성격의 확인을 위해 한양대학교 박물관 은 그 동안 9차에 걸쳐 발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성벽, 문지, 건물지, 저수지 등 많은 유구를 확인하였다. 금번 제10차 발굴조사는 다음과 같 은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실시 중이다. 1) 성벽조사는 9차 조사시 노출된 동문지의 미확인 구조를 파악하고, 북쪽으로 46m를 확장, 조사하여 성벽과 북쪽 회절부에 대한 구조를 확 인한다. 이를 토대로 기조사된 남벽 의 조사결과와 비교,검토함으로써 이성산성 성벽의 구조, 형태 및 축성법과 사용연대를 파악한다. 2) H지구에서 I지구에 걸친 평탄면에 대한 시굴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건물지의 존재유무 를 확인한다. 2. 조사기간 : 2002년 10월 16일 ~ 2002년 12월 28일 현재 II. 조사경과 1. 조사방식 금번 10차 조사는 9차 조사시 노출된 동문지의 북쪽으로 연장 조사를 실시하여 성벽의 구조, 축성방법 및 북쪽 회절부의 시설유무를 확인하 고 I지구 평탄면의 건물지 존재여부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인 조사방식 은 다음과 같다 1) 성벽 조사구간은 I지구 동문지 북쪽 약 46m에 달하는 구간으로 편의 상 I-1구간으로 명명하였다. 조사방법은 9차조사시 노출된 성벽을 따 라 북쪽으로 그리드를 구획하고 성벽을 전면 노출시키는 방법을 채택 하였다. 동문지에서 북쪽으로 32m 떨어진 지점에 2m의 탐색 트렌치를 넣어(TR-A) 치나 곡성 등의 시설여부와 경사면의 층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치나 곡성 등의 존재여부에 따라 트렌치를 확장하는 방법 을 채택하였다. 발굴이 진행됨에 따라 노출된 2차 성벽 치에서 남으로 3.6m 지점에 TR-B를 설치하여 암반층까지 노출시키면서 층위를 확인하였다. 또한 동문지에서 북으로 10m 지점에 TR-C를 구획하여 1차 성벽과 2차 성벽 의 사이의 기단부 조성방법을 확인하였고, 석렬유구 1의 전면에 TR-D 를 구획하여 등성시설까지의 층위를 확인하였다. 2) I지구 평탄지는 건물지의 존재유무를 확인하고 성벽의 내벽 축조방 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H지구의 장방형 건물지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장방형 건물지로부터 성벽구간까지 88×2m에 걸친 시 굴트렌치를 구획하였고(TR-E) 장방형 건물지로부터 72.5m 지점에 남 으로 확장트렌치를 다시 구획하였다. 또한 시굴트렌치와 성벽이 만나는 지점에서 성벽의 안쪽으로 2m를 다시 연장하여 성벽의 내벽 축조방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III. 조사내용 1. 성벽 관련 유구 1) 동문지 관련시설 ① 등성시설 등성시설은 9차 조사시에 처음으로 노출되었다. 1차 성벽에서 6m 떨 어진 전면에 위치하며 성벽과 직삼각형 형태로 맞닿아 있어서 이번 조 사에서 상부의 흙을 제거하고 정확한 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등성시설의 하단부는 원래 장방형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았으 나 북쪽으로 연결된 구간은 1, 2단만 잔존하여 끝선이 명확하지 않아 현 상태는 ‘ㄴ’자형으로 볼 수 있다. 총 길이는 10.1m이고, 다짐층에 기 단부 없이 전면만 일부 치석한 석재를 이용하여 높이 6단, 120cm까지 쌓았다. 석재는 장방형 형태의 돌을 이용하고 중간에 잔돌을 끼워놓았 다. 등성시설의 내부는 폭 230cm의 범위까지 할석으로 속채움을 하고, 그 뒷부분부터 문지 아래 성벽까지 암반 위를 다짐하였다. 성벽까지 계 단식으로 축조했던 것으로 보이나 현재는 상부에서 아래로 일부가 무 너져 버린 상태여서 정확한 형태를 알기 어렵다. ② 석렬유구 1 9차 조사시 문지 아래 성벽에 연결되어 호형으로 돌아가고 있어, 호 형 구조물이라 칭했던 유구이다. 현재 동문지 아래 1차 성벽에서 북쪽 으로 면석이 7.2m까지 노출되어 있고 뒤채움돌만 남아있는 석렬이 9.2m까지 노출된다. 이 유구와 2차 성벽 기단석 사이 약 4mrk 유실되 어 있는데 원래의 연결선은 2차 성벽과 일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보인 다. 따라서 이 구조물은 성문이나 성벽을 보호하기 위하여 성문 좌우 로 돌출시켜 쌓은 일종의 적대 역할을 했거나 원래 2차 성벽이 있던 구 간이 후대에 무너져 이를 보강하기 위해 새로 쌓은 것으로 생각된다. 등성시설의 면석보다는 조금더 다듬어진 면석을 기단부 위에 최고 6 단, 1.2m 높이로 쌓았다. 내부는 뒤채움을 하고, 그 위로 바닥을 깔아 서 정리하였다. 2) 성벽조사 구간 (I-1 구간) ① 1차 성벽 대부분이 부식토와 무너져 내린 할석으로 덮여있던 성벽은 조사결과 수직벽과 연결된 구간과 치 사이로 기단석이 노출되었다. 동문지에서 치 연접부까지의 거리는 39m, 성벽의 폭은 약 8m, 잔존높이는 약 6m이 다. 기단석은 암반을 정지하여 시설하였고 가장 큰 기단석의 크기는 110×60cm이다. 동문지 아래 성벽의 경우 면석이 최고 17단까지 남아 있고, 성벽구간은 부분적으로 2단까지 남아있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은 유실되었다. 기단석 뒤로 채워진 뒤채움돌은 약 6m 높이로 남아있 다. 기단석 8~30cm 앞에는 주공 9개가 노출되었다(사진 7). 주공간의 간 격은 약 2m이고 주공의 지름은 평균 67cm이다. 암반을 굴토하여, 내부 에 나무기둥를 세운 후 암반부스러기로 다졌던 것으로 보인다. 조사결 과 노출된 기둥의 평균지름은 30cm로 판단되며, 바닥시설은 판판한 돌 을 깐 것과 암반을 그대로 이용한 것이 있다. 주공 내부에서는 기형을 확인할 수 없는 경질토기 동체부편과 선조문의 두꺼운 경질기와편 등 3 점이 출토되었다. ② 2차 성벽 2차 성벽은 1차 성벽 앞의 무너진 할석들을 정리하는 중 노출되었다. 2 차 성벽은 뒤를 길게 다듬고 면석 앞부분이 둥글게 배가 나오게 다듬 은 소위 ‘옥수수알 성돌’로 쌓았다. 2차 성벽은 1차 성벽에서 약 4.3m정 도 떨어져 암반을 굴토하여 기단석을 놓고 채움돌로 1차 성벽과 2차 성 벽의 사이를 채웠다. 기단석의 평균크기는 71×52×27cm이다. ③ 석렬유구 2 2차 성벽의 다짐층 바로 아래 부분에 축조된 구조이다. 규모는 약 2.3 ×8.4m의 크기로 중간에 배수시설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잔존높 이는 1.16m이다. 석렬유구의 북쪽으로 2차 성벽의 외곽을 따라 연속적 으로 석렬유구가 나타나는데, 경사면을 따라 암반층 위에 흙을 다지고 그 위에 돌들을 깔아 놓은 것으로 보아 성벽을 보강하는 시설물로 생각 된다. ④ 석렬유구 3 성벽 시설부의 최하단에 위치한 유구이다. 석렬유구 1로부터 4.4m 하 단부 다짐층 경사면이 끝나는 아래에서 확인되었다. 남북 방향 ‘一’자 형으로 길이는 약 4.3m이며, 서쪽으로 약 60cm정도 위에 평행으로 석 재가 노출되었다. 경사면을 따라 다짐을 하고 돌을 일렬로 깔아놓은 것 으로 보아 경사면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석렬의 아래쪽으로는 두께 10~20cm의 와적층이 노출되었다. 대부분 굵고 진 한 선문의 와편들로 다른 유구에서 출토되는 선문들과 다른 양상을 보 인다. 3) 치 ① 1차 성벽 치 치의 형태는 전체적으로 보아 장방형이며, 크기는 2m×13.2m×2.1m 로 일반적인 치보다 규모가 크다. 1차 성벽 치의 전면부는 기단석이 하 나도 남아있지 않은데, 뒤채움돌의 시작 부분에 부분적으로 기단석을 놓았던 형태대로 할석이 깔려있어서 기단석의 크기는 약 90×60cm, 90 ×70cm, 55×70cm, 110×75cm로 판단된다. ② 2차 성벽 치 TR-A의 정리 중에 1차 성벽 치 3.2m 외곽에서 노출되었다. 2차 성벽 치는 대부분 기단석만 잔존하고 옥수수알 모양의 성돌이 한 단씩 7매 가 부분적으로 남아있다. 2차 성벽 치의 기단석 또한 2차 성벽과 마찬 가지로 덜 다듬어진 장대석을 이용하였고, 정면의 기단부 중 3매의 기 단석은 1차 성벽 치의 기단석을 재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북으로 회절 하는 구간은 경사면을 따라 심하게 아래로 떨어져서 기단석이 아래로 밀려나오거나 빠져나갔다. 기단석의 크기는 평균 80×75×32cm이다. 1 차 치는 경사면을 따라서 계단식으로 축조하였지만, 2차 치의 북쪽 면 은 경사면을 따라 밀려 내려와 축성상태가 매우 불량한 상태이다. 2차 성벽 치의 규모는 3.43×24.5×5.1m다. 4) 출토유물 성벽조사 구간에서는 출토된 유물은 대부분이 와편이며, 기타 유물로 는 토기편, 철기류, 석기류 등이 있다. ① 토기류 성벽에서는 거의 출토되지 않고 2차 성벽 아래 경사면을 보완하고 있 는 석렬의 끝단 사이에서 대부분 출토되었다. 인화문토기편, 단각고 배, 호, 대부합, 완, 뚜껑, 무문토기편, 우각형파수, 옹편 등이 출토되었 다. 대부분의 토기편은 파손되어 그 기형을 구분할 수 없는 동체부편 이 주를 이루고 있다. ② 석기류 2차 성벽 앞 할석 사이에서 석촉이 출토되었고, 등성시설 위 퇴적층에 서 일부 파손된 유구석부가 출토되었다. ③ 철기류 철정과 철촉 등이 수습되었으며, 마름쇠가 2차 성벽 치에서 출토되었 다. ④ 기와류 금번 조사에서는 유구 전체에 걸쳐 압도적으로 기와의 출토량이 많 다. 성벽구간에서는 대부분 선문을 시문한 기와가 출토되고 있다. 수키 와는 대부분 가늘고 긴 선문이 타날되었고, 암키와는 비교적 굵은 선문 이 타날되었다. 동문지와 그 아래 성벽부분에서는 격자문과 당초문, 승 문 기와도 출토되나, 승선문의 경우는 그 수가 매우 적다. 2. I지구 평탄지 1) 유구 TR-E에서는 성의 내벽으로부터 3.2m 지점에 2×3.3m 범위로 강돌이 쌓여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강돌의 크기는 대략 20cm 내외다. 조사가 완료되지 않아 정확한 유구의 규모와 성격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유사 시 투석전에 이용하기 위해 강돌을 성벽 인접부에 쌓아 놓은 것으로 판 단된다. 성의 내벽으로부터 10.1m 떨어진 지점부터 2.4×5.8m의 규모로 적석 유구가 노출되는데 정확한 유구의 성격은 현재 확인 중이다. 트렌치의 가장 동쪽지점에서는 암반을 굴토한 구덩이가 노출되었는 데 저장공의 일부분인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지름 130cm, 깊이 60cm 까지 확인되었고, 내부는 흑갈색모래로 채워져 있었다. 성벽의 내벽은 아직 완전히 노출되지는 않았으나, 지표아래로 2m정 도 암반을 경사지게 굴토하여 5단 정도 석렬을 쌓고 외벽과의 사이는 할석으로 뒤채움을 한 내외협축으로 쌓은 것으로 보인다. 기저부는 기 단석을 따로 시설하지는 않았으며 면석이 보이지 않는데 성의 안쪽으 로 밀려서 일부 무너지고 빠져 나간 것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2) 유물 TR-E에서는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우선 내벽 노출부분에서는 표토를 제거하자마자 1/4 잔존한 연화문화당이 출토되었고, 남으로 확 장한 구간에서도 표토층 제거 후 유구석부가 노출되었다. 또한 평탄지 북쪽 회절부로 돌아가는 지점서는 표토에서 연질호가 출토되었는데, 등산로 상에 노출되어 있었던 것을 수습하여 복원하였다. 전체적인 유물 출토 현황을 살펴보면 토기편은 투창이 뚫린 단각고배 와 인화문토기편, 우각형파수 등이 출토되었고, 기와는 격자와 선문, 당초문 기와까지 다양하게 출토되고 있으나 소량이다. IV. 조사성과 및 향후과제 1. 조사성과 1) 10차 발굴조사 결과 이성산성의 성벽은 초축성벽과 소위 옥수수 성 돌을 사용하여 축성한 2차 성벽 등 모두 두 차례에 걸쳐 축조된 것으로 생각된다. 기존 조사시 소위 2차 성벽이라 지칭했던 구조물은 시기를 달리하여 축성된 성벽이 아니고 체성을 보강하기 위해 개보축한 구조 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점은 두 차례에 걸쳐 축조된 치의 구조로 명확 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기조사된 남벽의 경우도 3차에 걸쳐 축성된 것 이 아니고 2차에 걸쳐 축성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내벽의 경우 이미 남벽에 대한 조사와 9차조사시에 일부 노출된 동벽 의 내벽 조사를 통해 내외협축으로 쌓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번 10 차 조사에서도 I지구 평탄지에서 동벽으로 연결된 구간에서 내벽조사 가 이루어졌는데, 조사결과 역시 내벽을 축조하고 외벽 사이에는 뒤채 움을 한 내외협축으로 쌓은 것으로 판단된다. 2) 동문지는 9차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최소한 두 차례에 걸쳐 개보 수된 현문식의 문지로 판단된다. 이러한 점은 성벽이 2차에 걸쳐 축조 된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1차 문지가 조성될 때는 성벽 하 단부에 별다른 시설없이 바로 문지로 올라오는 현문식의 구조를 가졌 던 것으로 볼 수 있으며, 2차 문지가 축조되면서 등성시설과 체성을 연 결한 구조물이 축조되고 동문지의 급격한 경사면을 따라 성벽이 무너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성벽외곽으로 개보축 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2차 성벽 바깥에 나타나는 석렬의 구조물과 다짐층은 급격한 경사 로 인해 성벽과 경사면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판단된다. 3) 북쪽으로 회절하는 구간에서는 1,2차 성벽과 연결되어 돌아가는 치 가 노출되었다. 1차 치는 1차 성벽과 마찬가지로 장방형으로 잘 다듬어 진 석재를 이용하여 성벽과 맞물려 직각으로 축조하였고, 2차 치는 전 면만 다듬어진 석재로 기단부를 조성하였다. 2차 치는 성벽과 각지게 돌아가는 부분이 맞물려 있지 않고 약 15cm 정도 벌어진 틈을 다짐으 로 채워 직각으로 돌아간다. 1차 치의 규모는 2m×13.2m×2m, 2차 치 는 3.43m×24.5m×5.1m의 규모로, 1,2차 치 모두 북벽으로 회절하는 부분의 모든 면을 다 보완하고 있는 형태이다. 치의 규모는 한강유역 은 물론 다른 지역에서도 보기 힘든 대형의 구조물이다. 치와 동문지 사이는 급격한 경사면을 이루고 있어서 통행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반 면에 치가 설치된 동북사면은 비교적 완만한 능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서 실제로 사람들의 통행이 이 지역을 통해 이루어졌을 것으로 생각된 다. 따라서 올라오는 적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한강유역 전체를 조망 할 수 있는 이 지점에 치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었을 것이 다. 2. 향후과제 1) 발굴유구 보존방안 그 동안의 발굴조사는 주로 건물지 위주로 이루어져 왔고, 이에 대한 보수, 복원사업이 진행되어 삼국시대 말과 통일신라기에 이르는 시기 에 대한 시민들의 역사교육의 현장으로 활용되어 왔다. 이번 10차 발굴조사 결과 이성산성은 건물지 뿐만 아니라 성벽의 구 조도 비교적 잘 남아 있으며 시기를 달리하는 축성방법을 파악할 수 있 는 좋은 자료로 생각된다. 그러나 성벽의 경우 동절기와 춘절기를 거치 면 성벽의 훼손을 면치 못할 것이며 이 산성이 시민들이 많이 찾는 장 소라는 점을 감안하면 하루빨리 성벽에 대한 보존,정비계획이 마련되 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성벽에 대한 복원사업은 재정적인 뒷받침은 물 론 철저한 고증이 필요하므로 그리 간단한 일이 아니다. 현재 1차 성벽 의 경우 동문지 앞의 성벽이 최고 17단까지 남아 있고 성벽의 잔존 높 이가 약 6m에 달하는 것으로 보여 어느 정도의 복원이 가능하겠지만 2 차 성벽의 경우 성벽의 실제 높이는 물론 어떠한 형태로 1차 성벽과 연 결되어 있는지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현 상태에서 어떤 방식으 로 보존하는 것이 최선의 방책인지 심도있는 논의가 반드시 필요할 것 이다. 2) 향후 발굴계획 그 동안의 발굴조사 결과 성 내부의 시설물에 대한 조사는 어느 정도 이루어졌으나 아직 성벽구간에 대한 조사가 미미한 형편이다. 10차 발 굴조사에서 축성방법에 대한 이해가 어느정도 이루어졌으나 궁극적으 로는 성벽에 대한 절개가 이루어져야만 남벽과의 정확한 비교, 검토가 이루어 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동문지를 제외한 나머지 문지에 대 한 조사가 미진하므로 이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며 이는 이성산성의 활 용과 통행방법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성 내부에 대한 조사로는 G지구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G지구는 이 성산성의 가장 정상부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사방을 조망할 수 있는 가 장 좋은 장소이다. 또한 이런 지형을 갖추고 있는 곳에는 저장공이 발 견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산성을 가장 먼저 사용한 세력에 대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곳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박물관에서는 이에 따 른 조사계획을 준비중에 있으며, 발굴조사와 함께 하남시와 연계하여 보존,정비사업을 병행해 나가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617개(17/31페이지)
 
현장소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297 완도 보길도 윤선도유적 발굴조사 운영자 2092 2003.03.24
296 나주 금성관 동.서익헌지 복원 발굴조사 운영자 2114 2003.03.24
295 현장설명회 자료 유병일 2082 2003.02.19
294 울주 신화리유적 운영자 2331 2003.02.07
293 울주 신화리 경부고속철도 언양보수기지내 유적 현장설명회(2/7) 운영자 1121 2003.02.07
292 大田 加午宅地開發事業地區內 加午洞遺蹟 指導委員會資料 운영자 2284 2003.02.05
291 대전 가오동유적 현장설명회(2/5) 운영자 1086 2003.02.05
290 정읍 신정동 유적 원광대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595 2003.01.15
289 울주 남천초등학교 신축부지 발굴조사 운영자 2263 2003.01.14
288 나주읍성 동문지(성벽,옹성지) 발굴조사 운영자 1854 2003.01.10
287 나주읍성 동문지 현장설명회(1/10) 운영자 883 2003.01.10
>> 하남 이성산성 발굴조사 운영자 2470 2002.12.30
285 충주 숭선사지 운영자 2087 2002.12.30
284 충주 숭선사지 시·발굴조사 현장설명회(12/30) 운영자 930 2002.12.30
283 제천 신월동 유적 운영자 2154 2002.12.26
282 제천 신월동 신월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현장설명회(12/30) 운영자 930 2002.12.26
281 하남 교산동 유적 발굴조사 (제4차) 운영자 2276 2002.12.24
280 하남 교산동 유적 현장설명회(12/26) 운영자 919 2002.12.24
279 밀양시 교동유적 지도위원회 및 현장설명회 개최안내 밀양대학교박물관 1899 2002.12.17
278 울진 덕신리 유적 발굴조사 운영자 2620 2002.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