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현장소식

*국립제주박물관 학술발굴조사 현장설명회 개최*

2002-02-05 15:15:00
조회 2698
* 현장설명회 개최 - 일 시 : 2002. 2. 5(화) 13:30 - 장 소 : 북제주 종달리유적 현장 - 참석대상 : 제주도민, 관련연구자 등 1. 조사개요 가. 유 적 명 : 북제주 종달리유적 나. 조사지역 : 제주도 북제주군 구좌읍 종달리 전 1131번지 다. 유적성격 : 패총유적 라. 시 대 : 청동기시대말 ~ 철기시대 마. 조사기간 : 2001. 11. 27 ~ 2002. 1. 20일 중(실조사 36.5일) 바. 조 사 단 : 국립제주박물관 발굴조사단(단장 : 조 현종) 2. 조사목적 및 경위 가. 우리 박물관은 제주도의 선사・고대문화의 양상을 체계적으로 파 악하고, 주변 지역과의 비교 검토를 통하여 구체적인 성격을 규명하고 자 발굴조사에 착수하였으며, 또한 우리 박물관이 제주 역사문화의 규 명을 위해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적 학술조사의 시작으로 실시 되었 다. 나. 현재 제주도 내에서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기원전후시기 문화의 전반적인 양상・생산과 교류 등에 대한 연구자료가 부족한 실 정인 바, 이 유적의 조사를 통해 이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다. 또한 계속되는 경작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파괴되면서 유물이 상 당량 노출되어 있는 상황이므로 유적의 멸실을 방지하는 발굴조사를 통하여 학술연구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3. 조사의 진행 가. 지형에 의거한 조사대상 지역의 평면구획, 탐색트렌치 설정, 유구 확인. - 패총조사에 입각한 격자법(4×4m grid 구획)의 조사방법 적용 - 유적의 지형, 퇴적층위 양상, 유구의 분포 파악을 위한 기준 트렌 치 설정 - 패총 및 생활유적의 확인 나. 확인된 패각층 및 유구에 대한 정밀 발굴조사 실시. - 층위에 의한 정밀조사 - 각종 분석을 위한 시료 채취 - 조사내용의 기록(사진, 도면, 일지 등) 다. 발굴조사 완료시 조사전 상태로 원상복구 4. 유적의 환경 가. 자연환경 - 유적은 기생화산인 지미봉(地尾峯, 해발 165.3m)의 남쪽 말단부 에 해당되며, 현재 가장 가까운 해안과는 직선거리 약 750m 가량 떨어 져 있다. 또한 유적은 현재 해발 4m 이하에 해당된다. - 지미봉의 북서쪽은 넓은 갈대밭이 형성된 철새도래지이며, 지미 봉의 남동쪽에 해당되는 본 유적의 앞에도 갈대밭의 습지가 남아 있 다. 이 유적이 형성될 당시에는 현재의 갈대밭에 해당되는 습지와 일부 는 본 조사구역의 하부까지 바닷물이 들어와 해안선을 형성하고 있었 던 것으로 추정된다. - 또한 현재의 종달리 마을을 중심으로 한 지미봉의 남쪽으로는 비 교적 높은 저평한 구릉지대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예로부터 양질의 용 천수가 풍부한 지역으로 당시의 사람들은 이 곳을 중심으로 생활하였 던 것으로 추정된다. 나. 고고학적 환경 - 지미봉을 중심으로 한 북제주군 종달리 일대는 신석기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의 패총 등 다양한 생활유적이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 다. - 본 유적과 가까운 지역에서 부분적으로 기 실시되었던 발굴조사 결과에 의하면 B.C.1C~A.D.2C 및 A.D. 6~7C경의 문화양상이 확인 되었다. - 인근의 시흥리에서는 신석기시대 말기의 토기편들이 확인되며, 세화리에서는 청동기시대의 마제석검이 발견되었다. 또한 종달리 포 구 주변에서는 검신부가 절단된 한국식동검이 돌무지속에서 발견된 바 있으며, 우도에서는 고인돌이 확인되는 등 선사시대 이래로 생활중 심지의 하나를 이루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5. 조사내용 가. 층위 - 유적은 조사구역내의 토층단면상에서 보면 서・남쪽에서 북・동 쪽으로 낮은 경사를 이루는 U자상의 만입지대가 점차 매립되면서 비교 적 평탄한 현재의 지형을 형성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하층은 급경사를 이루고 상층으로 갈 수록 퇴적이 반복되면서 완만한 경사를 나타내고 있다. - 유적의 층위를 문화층에 의하여 대분하면 다음과 같다. <<층위는 첨부화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출토유물 1) 토기.석기 출토유물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토기인데, 모두 깨어진 파편의 상태로 150여 박스가 수습되었다. 석기 역시 대부분 깨 어진 상태이며, 그 양은 적은 편이다. 토기의 경우, 개략적인 상황은 아래와 같다. (종달리유적 토기문 화의 구체적인 변화.발전양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향후 층위에 따른 면밀한 연구.검토가 이루어 질 것이다.) - 층위상으로 보아 이 유적은 표토.경작층 및 재퇴적층의 교란층 과 3개의 문화층으로 구분된다. - 삼양동유적에서 곽지리유적 문화(토기문화 등)로의 변화.발 전 양상을 이해 할 수 있는 중요유적으로 평가된다. - 직립구연.외반구연.내만구연과 구경부 축약방법 등 구경부의 형태가 다양하며, 저부에 있어서도 곽지리식토기와 같은 높은 굽도 있 으나 비교적 얇은 굽이 일반적이다. 또한 크기에 있어 대형의 옹형토 기, 중소형의 옹형.발형토기, 소형에 해당되는 발형토기 등 다양한 형 태의 토기들이 출토되었다. 이는 향후 층위에 의한 변화양상이 확인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재지계의 토기와 함께 외래계의 토기가 공반되어 출토되었다. 마연기법이 채용된 정선된 태토의 소형토기, 단면삼각형의 이중구연토 기 등이 이에 해당되는데, 한반도 남해안지역의 점토대토기 문화내용 을 보여주고 있다. - 제지계의 토기문화와 함께 특정시기에 나타나는 외래계의 토 기문화를 통하여 당시 교류관계의 양상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되며, 재지계의 토기문화에 있어 외래계 토기문화의 위치와 수용 및 변 화・발전양상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석기의 경우, 이 유적은 이미 석기를 중심으로 하는 문화단계를 벗어났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석기가 출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다. 주종을 이루는 것이 대소형의 망칫돌과 모룻돌이며, 일부 지석류 가 있다. 황적갈색 점토층(⑩층)과 유기물층(⑪층)의 경계부에서 대팻 날석기 1점이 출토되었다. 2) 화천(貨泉) 제Ⅱ패각층내의 아래쪽 부분에서 1점이 출토되었다. 화천은 중국 신대(新代)에 발행된 30여종의 왕망전(王莽錢) 가 운데 하나로 기원후 14년에 주조되기 시작하여 기원후 40년(後漢光武 華建武16年)까지 정식으로 유통되었으나 실제로는 더 늦은시기까지 통 용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정백리1호분, 남정리 116호분(채협총), 낙랑토성지, 김해 회현리패총 등에서 출토되었으며, 제주도내에서는 산지항출토품과 금성리유적 출토품이 있다. 3) 유기물 유기물층의 상면은 해발 120cm에서 수평면을 유지하고 있으며, 두께는 약 50-60cm 정도이다. 유기물층의 윗부분은 흑색을 띠고 있어 상대적으로 부식의 정도가 심한 상태이며, 아랫부분은 다갈색으로 유 기물들의 잔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유기물층의 형성요인은 바닷물의 영향에 의한 경우와 담수(또 는 지하수)에 의한 경우를 예상할 수 있으나 토양 등에 의한 자연과학 적 분석을 통하여 확인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유적에서 출토되는 유기물은 나무, 나뭇잎, 상수리나무 열 매, 갈대 등과 같은 초본류, 곤충날개 등의 자연유물이다. 나무의 경우 껍질이 잔존된 상태로 관찰되기도 한다. 조사구역내에서 유기물층과 그 기반층에 해당되는 하층과의 경 계가 확인되었는데, 경계부의 유기물층에서 말뚝시설이 일부 확인되 고 있다. 이는 좁은 지역의 조사로 인하여 전체적인 양상을 확인할 수 는 없지만 유기물층이 어느정도 고착된 상태에서 유기물층에 대한 인 위적인 시설물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4) 기타 이 외에 호박제 옥 1점, 철도자, 골각기(도자병 등), 다량의 수골 (獸骨), 특징적인 패류 및 패각층 블럭샘플 자료, 분석용 토양 블럭샘 플 자료 등이 출토 및 수습되었다. 6. 조사성과와 의의 - 계획된 학술발굴조사를 통하여 제주 동부지역 선사・고대문화를 규 명할 수 있는 중요한 학술연구자료를 획득할 수 있었다. 조사결과 유적 의 중심시기는 기원전 2세기경에서 기원후 2세기경에 해당되는 것으 로 판단되나 향후 유물의 정리 및 비교검토를 통하여 다소 조정될 가능 성이 있다. 하부 목재집적층의 유적형성시기는 청동기시대까지 소급 될 가능성이 많다. - 이 유적에서 출토된 다양한 형태의 토기류는 제주도 토기문화의 변 화・발전을 이해하는 토대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또한 마연토기, 단면 삼각형점토대토기 등의 외래계 토기는 한반도 남해안지역의 점토대토 기 문화와 관련성이 있으므로 이들 유적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당시 주호(州胡)의 대외교류 역량과 그 내용을 이해하고, 외래문화의 이입 과 재지계의 토기문화로 수용・발전되는 과정을 이해 할 수 있는 중요 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 제Ⅱ패각층 출토 화천(貨泉)은 대외교류와 관련한 유물자체의 중요 성은 물론 사용연대가 한정되어 있어 향후 다양한 연구에 있어 편년의 기준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유물은 기존의 한반도와의 교류에 더하여 중국을 기점으로 하는 동방교역로를 통해 새로운 문물이 유입 되었음을 보여준다. - 조사과정에서 수습된 패류 및 동물뼈 자료는 자연환경의 일면은 물 론 당시인의 자연물의 이용과 관련된 많은 단서들을 제공하게 될 것이 며, 유기물층에서 출토된 완전한 상태의 유기물들은 제주의 고환경 및 식생연구에 획기적인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617개(21/31페이지)
 
현장소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217 군산 산월리유적 운영자 2045 2002.04.29
216 울산권 광역상수도(대곡댐)사업 편입부지내 2차 발굴 운영자 1936 2002.04.26
215 울산 국도 24호선(상북-언양간) 도로 확·포장공사구간내 운영자 1872 2002.04.26
214 대구-부산간 고속도로 건설구간내 살내유적 운영자 2131 2002.04.16
213 산청군 신안리 명동유적 (단성-산청간 도로 확·포장공사구간내) 운영자 2623 2002.04.01
212 진성-이반성간 도로 확·포장 공사 구간 내 무촌유적 발굴조사 운영자 2460 2002.03.29
211 경부고속철도 대구연결선구간-칠곡 심천(창평)리 유적 발굴조사 운영자 2068 2002.03.29
210 해운대 좌동 군사업지구내 유적 운영자 2687 2002.03.29
209 晉州 武村遺蹟 현장 설명회 안내(3/17) 운영자 1302 2002.03.15
208 경주 덕천리 기마인물형 토기 출토 운영자 3563 2002.03.14
207 부산 해운대 군복지시설부지 발굴조사 현장설명회(3/16) 운영자 1238 2002.03.12
206 강진 삼흥리 유적 운영자 2476 2002.03.05
>> *국립제주박물관 학술발굴조사 현장설명회 개최* 국립제주박물관 2699 2002.02.05
204 기장 청강리 유적 II 운영자 2386 2002.01.31
203 울산 화정유적 발굴조사 운영자 2414 2002.01.31
202 순천 국도우회도로 건설공사구간내 문화유적발굴조사 현장설명회(1/28) 전남문화재연구원 1123 2002.01.26
201 춘천거두지구 문화재 발굴조사 운영자 3160 2001.12.26
200 창녕 우강리 고분군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운영자 2401 2001.12.21
199 함안 성산산성 6차 발굴조사 운영자 2123 2001.12.21
198 함안 성산산성 현장설명회(12/22) 운영자 1021 2001.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