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현장소식

대구-부산간 고속도로 제7공구내 시굴조사(금천리,살내유적)

2001-06-08 11:00:00
조회 2338
<밀양 금천리유적> *유적위치:경남 밀양시 산외면 금천리 620-2답일대(약 29,000평) *조사기간:2001.4.16~6. *조사기관: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단장 성태현, 책임조사원 이성주) *조사내용 1.조사방법 및 경과 1)시굴조사구간은 하천의 홍수범람 등에 의하여 형성된 충적지이다. 충적지는 문화층이 중첩되어 발견되는 예가 많으므로 문화층과 자연퇴 적층의 판별 및 해석이 유적의 성격을 해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2)조사는 고속도로 구간내 중앙에 남-북으로 동천의 방향과 직교하게 트렌치를 설치하여 퇴적환경과 지형을 파악하였다. 조사구간의 남쪽 경계지점인 동천과 밀양강이 합류하는 곳에는 인공제방이 설치되어 있 으며 홍수에 의한 경작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동천을 따라 다시 인공제 방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방과 제방사이에는 골재채취장으로 이용되 다가 성토하여 레미콘 공장이 있어 조사를 할 수 없었다. 그러나 1트렌 치의 양상과 주변 지형으로 보아 이곳은 하상역층이 퇴적되어 있을 것 으로 여겨진다. 2.시굴트렌치의 양상 1)조사구역의 남쪽 수로와 수로사이의 1트렌치는 현재 논으로 이용되 고 있으며 이 일대는 지표의 표고(16.3m)가 주변보다 약 1m정도 낮은 편으로 현재 경작층 아래에 조립질의 모래와 모래자갈층이 퇴적되어 있다. 경지정리 전에 이 일대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홍수 범람 에 의해 하상에 토사가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2)7~10트렌치는 지표면의 표고가 약 17.3m정도인데 북쪽편 수로 건너 보다 약 1~1.5m정도 낮은 편이다. 현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지형이 낮 은 것을 알 수 있다. 조사결과 이 곳은 현경작토 직하에 조립질모래와 역층이 형성되어 있었다. 모래층은 물의 영향에의해 환원되어 회색기 미를 띄고 있는 것으로 보아 논으로 사용되기 직전까지 하천이 형성되 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구하천은 서쪽의 밀양강으로 합류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주민들의 전언에 의하면 집중호우시 밀양강이 역류하 여 상습적인 피해지역이었다고 한다. 3)2~6트렌치는 모래자갈층위에 세립질 모래와 조립질 모래가 충접되 어 두께 30~150cm로 퇴적되어 있는데 이곳은 밤나무 단지가 조성되 어 있던 곳으로 홍수에 의해 토사가 집중적으로 퇴적되어 자연제방상 의 지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지표면과 밤나무 조영시의 구 지표 외에는 문화층은 존재하지 않는다. 3트렌치의 북쪽끝에서 확인한 결과 모래자갈층은 두께가 3m이상이었다. 4)1~10트렌치 일대는 조사결과 북쪽에서 남쪽(현재 동천)으로 하천이 측방으로 이동하여 유로가 변경되었거나 유로가 여러갈래로 나뉘어져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곳은 하천의 홍수퇴적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5)유적의 북쪽 22~24트렌치는 현 경작토 아래에 회청색 점질토와 조립 질 모래가 퇴적되어 있다. 이곳 일대는 북쪽편의 구릉에서 평지로 이어 지는 곳에 구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6)12,13트렌치는 현재 보리를 경작하고 있는 곳으로 수로를 중심으로 1~10트렌치와는 퇴적양상이 다르다. 기적역층위에 세립질모래, 실트 로 구성된 자연제방을 이루고 있다. 자연제방은 선사시대에서부터 상 대적으로 지면이 높아서 홍수의 피해가 적기 때문에 취락의 입지나 농 경지로 이용되어져 왔다. 11~13, 15~21트렌치는 기본적으로 토층양상 이 거의 동일한데 넓은 면적은 아니지만 북쪽으로 가면서 자연제방의 뒤에는 배후습지성 퇴적물이 형성되어 있다. 3.표준층서 1)청동기시대 주거지가 확인된 13트렌치를 중심으로 토층양상을 간단 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층-회청색사질토:현경작토 2층-회갈색사질토:산화철반문다량-경작층 3층-회갈색사질토:산화철반문다량-경작층 4층-회청색사질토:경작층 5층-회청색사질토-경작층 6층-4,5층의 산화철집적층 7층-회갈색사질토:경작층 8층-4,5,7층의 산화철집적층 9층-회갈색:1~8층의 망간집적층, 경작층 10층-회갈색:9층의 산화철집적 11층-회갈색:경작토, 망간집적층-백자편출토 12층-11층의 산화철집적층 13층-암갈색토:경작층, 망간반문다량 14층-암갈색토:경작층, 망간반문다량 15층-흑갈색토:경작층?(논,밭) 혹은 구표토층(무문토기편 출토, 회갈 색 및 명갈색토혼입) 16층-갈색토:이질토 혼입, 망간반문층(무문토기편 출토)-문화층 17층-갈색토:이질토 혼입-문화층 18~21층-청동기시대 주거지 내부토:1호주거지 22~25층-청동기시대 주거지 내부토:2호 주거지 26층-암갈색토-무문토기편 출토, 구표토층 혹은 경작층(?):청동기시 대 주거지 형성층 27층-갈색토:무문토기편 출토-문화층 28층-명갈색:무문토기편 출토-문화층(?) 29층-명갈색:점성강함-문화층(?) 30층-명갈색토:자연퇴적층 31층-직경 20~40cm의 자갈층-하상력층(자연퇴적층) 이상의 토층양상으로 보아 1~14층까지는 논으로 계속 이용되었으며 11층에서는 백자편이 출토되기 때문에 11,12층으로부터 상층은 조선시 대 이후의 논경작층으로 판단된다. 13층과 14층은 유물이 출토되지 않아 정확한 시기는 판단할 수 없다. 15층에서부터 주거지 내부토 외 29층까지는 무문토기편이 출토되는 층 으로 표토층 내지 경작층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상층들이 모두 자연퇴 적층이 아니기 때문에 논, 밭으로 사용되었을 시 그 상부가 삭평되거 나 층의 경계가 불명확하여 토층단면에서 거의 수평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26층은 청동기시대 주거지가 확인되었기 때문에 그 아래층은 주 거지가 구축되기 이전에 형성된 것이다. 26층과 그 아래에서 확인된 유 물은 이중구연토기로서 청동기시대 전깅 해당하는 것으로 14트렌치에 서는 이중구연토기와 공반하여 청동기시대 이른 시기로 판단되는 경작 구(보습)가 출토되었다. 주거지는 1,2호 주거지 외에 13트렌치 중앙부근의 동단벽에서 주거지 1 기가 더 확인되었다.(3호주거지) 층위상으로 1,2호 주거지보다 선행하 는 17층에서 확인되어 차후 발굴조사시 양주거지들간의 선후관계는 평 면과 단면의 정밀한 조사를 통해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토층단면에서 확인된 주거지는 현재 보리의 경작으로 인해 트렌치를 확장할 수가 없 어 평면에서 그 윤곽은 일부만 확인하였다. 2)18트렌치에서는 자갈층이 경사져 내려가면서 습지퇴적물이 회청색 점질토로 이어진다. 13트렌치의 주거지가 형성된 26층의 암갈색토도 경사져 내려가면서 회갈색점질토와 연결되고 회청색점질토에 이어진 다. 이 회갈색점질토는 그 아래에 산화철과 망간이 분리 집적되고 있 어 논 경작층으로 추정된다. 이 층에서는 무문토기편이 출토되고 있어 정확한 시기 및 성격은 정밀 발굴조사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 다. 도면에 제시된 토층에서 1~12층은 조선시대 이후의 논 경작층이 며 16층이 논경작층에 해당한다. 그 아래에 산화철과 망간이 분리 집적 되고 25층의 회청색점질토 위에는 지하수변동 층인 24층과 지하수에 의한 망간과 산화철집적층이 형성되어 있다. 유구가 확인되 트렌치를 중심으로 주거지가 확인된 13트렌치일대의 자 연제방에는 청동기시대 주거지가 분포할 것이며 수전이 확인된 배후습 지 지역에는 당시 경작유구가 존재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결과 1.구 하천에 의한 홍수 퇴적물로 구성된 1~10트렌치 일대는 유구는 존 재하지 않는다. 2.11~13트렌치를 중심으로 자연제방이 형성되고 그 뒤에 배후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조사결과 확인된 유구로보아 자연제방에는 주거지, 배 후습지에는 경작유구가 존재할 것으로 보인다. 3.13트렌치에서 확인된 주거지를 중심으로 26층이 존재하는 지역은 유 구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층들이 존재하 는 11~13, 15~20트렌치일대는 청동기시대 주거지 및 경작유구가 분포 할 것으로 기대된다. 4.본 금천리유적에서 확인된 토기와 석기를 보면 신석기시대 문화의 잔 재를 일부 포함한 무문토기 문화의 초기양상이 확일될 뿐만 아니라 이 와 동시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은 경작지가 함께 노출되기 때문에 청동 기 문화의 개시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유적으로 판단 된다. 5.본 조사지역은 인터체인지 구간으로 일부 성토하여 녹지가 조성될 예 정이어서 시공방법, 도로공사의 여건 및 유적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차 후 발굴조사방법, 조사범위가 신중히 판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밀양 살내유적> *조사지역:경남 밀양시 활성동 살내 산 464-19림, 465-5번외 *조사기간:2001.4.16~현재 *조사기관: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조사내용 1.토층상태:유적이 입지한 곳이 강안의 충적대지이므로 홍수범람이 잦 고, 산성산 말단부의 선상지형과 맞물리는 곳이기 때문에 각 트렌치별 토층조사에서 넓지 않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복잡한 양상으 로 층위가 확인되었다. 그 중 주거지 및 구상유구가 확인된 1트렌티를 표본으로 한 기준토층은 다음과 같다. <토층설명> I-1층:회색사질점토. 자갈이 약간 혼입되어 있는 현재 경작층 I-2층:암적갈색사질점토. 자갈이 혼입되어 있는 현재 경작층으로 I-1층 의 산화철, 망간 집적층 II-1층:갈회색사질점토. 자갈이 약간 혼입되어 있는 논층 II-2층:갈회색사질점토. 적색기미를 띠는 논층. II-1층의 산화철 집적층 II-3층:암갈색사질점토. 논층으로 II-1층의 망간 집적층 III층:암회갈색사질토와 자갈이 대량으로 혼입된 층 IV층:암회갈색사질점토. 자갈이 약간 혼입되어 있는 논층 V-1층:갈회색사질점토. 자갈이 약간 혼입되어 있는 논층 V-2층:암적갈색사질점토. 논층으로 IV층과,V-1층의 산화철 집적층 VI층:암갈색사질점토. IV층과, V-1,2층의 망간집적층 VII-1층:암황갈색사질토. 목탄 소량 혼입. 구 내부토 VII-2층:암갈색사질토. 무문토기편, 목탄 혼입. 매우 단단하다. 구내부 토 VIII-1층:암갈색사질토, 목탄 소량 혼입. 주거지 내부토 VIII-2층:흑갈색사질점토. 목탄 다량 혼입. 주거지 내부토 IX층:암황갈색사질토. 무문토기시대 문화층 X-1층:암갈색사질토. 단단하다. X-2층:황갈색사질토. X-3층:암갈색사질토. 단단하다. X-4층:황갈색사질토. 단단하다. XI층:암황갈색사질토. 매우 단단하다. 2.시굴트렌치별 유구 현재 주거지 6동, 구상유구 1기, 석관묘 1기, 밭유구가 확인되었다. 그 리고 2,3,4, A트렌치와 인접해 있는 기존에 지석묘로 알려진 상석들은 모두 자갈층 상부에 현대경작층과 함께 위치하고 있어 모두 본래 위치 를 벗어나 이동된 것이었다. *조사결과 1.살내유적은 주거지, 구상유구, 밭유구, 석관묘가 확인되어 생활유구 와 매장유구, 경작유구가 공존하는 복합 취락유적임을 알 수 있다. 2.기존에 지석묘로 알려진 상석들은 모두 제자리를 벗어나 현대의 경작 층위에 놓여진 것임을 알 수 있다. 3.이러한 복합 취락유적은 이미 남강댐수몰지구의 진주 대평 일대의 조 사에서 대규모로 확인되었는데, 밀양지역에서도 최초로 무문토기시대 취락유적이 확인되었다. 4.살내유적에 대해서는 고속도로 건설공사전 발굴조사가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617개(27/31페이지)
 
현장소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97 「연천 호로고루성」유적 발굴조사 운영자 2340 2001.06.08
>> 대구-부산간 고속도로 제7공구내 시굴조사(금천리,살내유적) 운영자 2339 2001.06.08
95 부여 궁남지(宮南池) 발굴조사 운영자 2320 2001.06.08
94 양주 관아지(楊洲 官衙址) 현장설명회(6/8) 운영자 750 2001.06.08
93 수도권광역 상수도 6단계 구간내 문화유적 현장설명회(6/5) 운영자 657 2001.06.08
92 대전 월평산성 현장설명회(6/4) 운영자 719 2001.06.08
91 구룡-부여간 도로공사 구간내 유적 현장설명회(6/1) 운영자 743 2001.06.08
90 용담댐 수몰지구내 문화유적 4차 발굴조사 및 지석묘 이전복원 지도 위원회... 운영자 2988 2001.06.05
89 용담댐 수몰지구내 문화유적 4차 발굴조사 및 지석묘 이전복원 지도 위원회... 운영자 2122 2001.06.05
88 용담댐 수몰지구내 문화유적 4차 발굴조사 및 지석묘 이전복원 운영자 2062 2001.06.05
87 하남시 교산동 건물지 제2차 발굴조사 운영자 2075 2001.06.05
86 國立慶州博物館 共同溝敷地 發掘調査 운영자 1931 2001.06.05
85 浦港 芝谷洞 포항테크노파크 造成豫定敷地 試掘 운영자 2134 2001.06.05
84 포천 자작리유적 운영자 3295 2001.05.31
83 연천 호로고루성(瓠盧古壘城) 현장설명회 (5/25) 운영자 810 2001.05.28
82 부여 궁남지 현장설명회(5/17) 운영자 708 2001.05.28
81 오이도 패총 시굴조사 지도위원회(5/16) 운영자 691 2001.05.21
80 경주 황성동 강변로 개설구간내 유적 현장설명회(4/26) 운영자 706 2001.05.21
79 회암사지 현장설명회(4/26) 운영자 640 2001.05.21
78 포천 자작리 유적 현장설명회(4/2) 운영자 799 2001.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