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학술대회 및 행사

2021년 가야학술제전 '가야 전사의 무기' 개최

2021-07-20 16:28:59
조회 1565

국립김해박물관은 “2021년 가야학술제전의 두 번째 순서로 가야 전사의 무기학술심포지엄을 723() 오전 10시부터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대면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국립김해박물관 공식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할 예정이다. 국립김해박물관의 중장기 연구과제인 가야 전사 연구를 계기로 기획된 이번 심포지엄은 가야 전사의 무기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총 6개의 주제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주제는 가야의 화살통(이성훈, 부산박물관)으로 가야 고분에서 출토된 화살통의 구체적인 형태와 착용 방법을 검토하여 종류에 따른 전술적인 용도와 장식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대 화살통은 화살이 담기는 방식에 따라 시복(矢箙)*과 시통(矢筒)*으로 나눌 수 있는 데 가야는 이 형태 모두가 확인된다. 그 중 가야의 시복은 북방의 기마 문화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상위계층이 사용하는 중요한 화살통이라고 논하였다.

* 시복: 화살의 2/3 이상이 수납되는 형태

* 시통: 화살촉 머리 부분의 일부만이 주머니와 같은 것에 담기는 형태

 

두 번째 주제는 가야 철촉의 변천과 보유양상(장상갑, 의령박물관)이다. 발표자는 가야지역 고분에서 출토된 다양한 ()화살촉의 변천과 부장양상을 통해 지역별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 주목할 점은 ()화살촉을 부장하는 행위에 대한 규제가 지역별로 확인된다는 점이며, 계층에 대한 차별화가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세 번째 주제는 가야의 환두대도(박경도, 국립광주박물관)이다. 삼국시대 각 국은 귀걸이, 허리띠장식, 금동신발 등과 함께 환두대도를 위세품으로 활용하였다. 최근 용봉환두대도를 비롯해 가야 장식대도 연구에서 많이 논의되는 분야가 제작기법과 계보, 제작지 문제 등이다. 가야에서 출토된 환두대도에는 백제와 신라의 영향을 보이는 요소, 가야 고유의 특징이라 생각되는 요소들이 섞여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해석이 몇 가지로 나뉘어 있다. 발표자는 이번 학술제전에서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살펴보고 백제와 가야의 환두대도의 세부 속성을 추가로 비교해 가야 환두대도의 제작기법과 계보에 관하여 논하였다.

 

네 번째 주제는 4~5세기 김해·부산지역 장병무기 비교검토(신동조, 부산박물관)이다. 장병무기는 긴 자루 끝에 날카로운 날을 매단 무기이다. 이번 발표에서는 김해와 부산지역에서 출토된 장병무기의 변천과 분포양상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양 지역은 금관가야 연맹체로 언급되나 장병무기는 보유 기종이나 부장양상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차이의 배경으로 발표자는 양 지역이 서로 다른 무장체계를 갖추고 있기 때문으로 논하였다.

 

다섯 번째 주제는 고대 갑주의 의례적 성격(김혁중, 국립김해박물관)으로 갑주(갑옷과 투구)가 의례에서 사용되는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의례에 사용된 갑주는 고분 부장품뿐만 아니라 사찰이나 주거지에서도 출토되며 방어적 기능과는 상관없는 문양, 형태 등의 다양한 장식이 있다. 이러한 갑주는 무덤에 묻힌 사람을 기리는 공헌품 이외에도 다양한 성격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 주제 무기체계로 본 가야 전사(우병철, 영남문화재연구원)에서는 금관가야와 대가야의 무기체계 및 군사조직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금관가야는 무기체계로 보아 해양을 중심으로 운영된 수군과 함께 성을 방어하기 위한 방위군이 중심된 군사조직으로 보았다. 대가야는 처음에는 장병무기를 중심으로 한 보병 중심이었으나 이후 영역이 확대되자 고구려, 백제, 신라와 같은 주변국의 전술에 대응하기 위하여 궁병 등 경보병을 포함한 다양한 무기체계로 변화해 갔음을 논증하였다.

 

이번 학술심포지엄은 지금까지 가야의 무기 관련 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토론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러한 학술 성과는 향후 가야사 복원을 위한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2,684개(3/135페이지)
 
학술대회 및 행사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2644 [국립전주박물관] 특별전 연계 <만경·동진 고대문화와 문물교류>...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015 2025.02.18
2643 [가야사학회] 원고모집(2025.04.30(수)까지) 안내 첨부파일 관리자 620 2025.02.17
2642 유라시아문명사연구회 제48회 정기발표회 안내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826 2025.02.10
2641 유라시아문명사연구회 제47회 정기발표회 안내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144 2025.01.07
2640 [충북대학교박물관] ‘중부지역 원삼국 문화와 단양 수양개 유적’ 학술포럼...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218 2024.12.18
2639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 부여 관북리유적 16·17차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첨부파일 관리자 1372 2024.12.10
2638 [중부고고학회] 2024년 기획학술대회 '2024년 중부지역 문화유적 조...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682 2024.12.09
2637 유라시아문명사연구회 제46회 정기발표회 안내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224 2024.12.09
2636 제54회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국제학술회의 <국민국가 건설과 고고...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915 2024.12.06
2635 국가유산진흥원 학술지 ‘매장유산연구’ 원고 모집 첨부파일 국가유산진흥원 1420 2024.12.06
2634 <‘합천 옥전 고분군과 합천박물관의 미래’ 학술대회> 개최 안...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075 2024.12.05
2633 [대한문화재연구원] <국가유산 지정을 위한 보성 조성리유적의 현재와... 사진 첨부파일 대한문화재연구원 1219 2024.12.04
2632 [삼강문화재연구원] 울산 쇠부리 기술 학술대회 개최 안내 사진 첨부파일 (재)삼강문화재연구원 956 2024.11.29
2631 <고고자료로 살펴본 시흥 오이도 유적과 군자만> 학술세미나_한... 첨부파일 한강문화재연구원 830 2024.11.28
2630 영남고고학회 2024년 워크숍 개최 안내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383 2024.11.27
2629 [삼한문화유산연구원] 2024년 남해군 국제학술세미나 <남해 삼별초...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108 2024.11.27
2628 [국가유산진흥원] '고대 도로의 인식' 학술대회 개최 안내 사진 첨부파일 국가유산진흥원 1394 2024.11.26
2627 [대한문화재연구원] <국가 사적 지정을 위한 후백제 역사 속의 무안... 사진 첨부파일 대한문화재연구원 1243 2024.11.25
2626 [경산시립박물관] 제3회 학술대회 <경산 소월리유적의 성격과 가치 ... 사진 첨부파일 경산시립박물관 714 2024.11.25
2625 [서울특별시·서울대학교박물관] 2024 서울 백제역사유적 국제학술회의 &...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927 2024.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