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세트)>

2019-01-21 12:25:30
조회 1404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세트)




■ 책 개요
    ▪ 제목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세트)
    ▪ 저자  : 정호섭 외 10인
    ▪ 권수 및 판형 : 6권 / 210X 300mm
    ▪ 발행일 및 가격 : 2018년 12월 28일 / 가격 185,000원
    ▪ ISBN 978-89-6246-377-4 94910 (원문 세트)
       ISBN 978-89-6246-381-1 94910 (번역문 세트)
    ▪ 주류성출판사
      02-3481-1024 (대표전화) / 02-3482-0656 (FAX)
      e-mail : juluesung@daum.net / 홈페이지 : www.juluesung.co.kr
      문의 : 이준(010-3899-0688) / 한상현(010-5572-1662)


■ 책소개

韓·中·日 3국의 한국 고대사 관련 사료를 연대별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사료집

이 사료집은 한국고대사 전체를 시간적 범위로 하여 한·중·일 삼국의 한국고대사 관련 자료를 총망라하여 집성한 것이다. 중국의 ‘자치통감’이나 조선의 ‘동국통감’처럼 한국 고대사와 관련한 사료를 정리한 일종의 현대판 ‘한국고대통감’이라 할 수 있다.
한국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을 위해 자료조사 및 수집, 원문 교감 및 판본 확인, 사료배열, 번역 및 주해, 사료 종합의 5단계 과정을 거쳐 작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매뉴얼에 따라 연대기적으로 사료를 정리하였고, 상호비교를 통해 인용사료들의 출전과 전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료간의 관계와 상이점 등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연대와 월일이 불분명한 사료를 주해하여 사료의 객관화를 이루었으며, 번역되어 있지 않던 중국 정사류와 유사류 등을 한글로 번역하여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다만 편년이 불가능한 비연대기 사료들은 여기에 수록하지 않았다.
동아시아 사료를 연대기적으로 정리하여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는 사료집이 나왔다는 측면에서 나름 의미가 있을 수도 있겠다. 특히 사료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을 수도 있는 학문 후속세대에게는 이 사료집이 공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사료에 접근할 때 그 사료가 어떤 전거에서 시작된 것인지, 그것이 어떻게 변형되어 수록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 구성 (총 6권)

1권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번역문 B.C. 2333년 ~ 642년)
2권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번역문 643년 ~ 760년)
3권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번역문 761년 ~ 936년)
1권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원문 B.C. 2333년 ~ 642년)
2권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원문 643년 ~ 760년)
3권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원문 761년 ~ 936년)


■ 지은이

연구책임자 정호섭(한성대, 한국고대사)
전임연구원 채미하(경희대, 한국고대사)
           박승범(단국대, 한국고대사)
           정동준(성균관대, 한국고대사)
공동연구원 박현숙(고려대, 한국고대사)
           박찬흥(국회도서관, 한국고대사)
           김종복(안동대, 한국고대사)
           박준형(해군사관학교, 한국고대사)
           박근칠(한성대, 중국중세사)
           최재영(한림대, 중국중세사)
           이재석(한성대, 일본고대사)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78개(10/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598 『북방고고학개론』소개 사진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422 2018.07.04
597 건축유적의 발굴과 해석 서경문화사 1323 2018.06.22
596 三國史記 본기의 원전과 편찬 최병식 1119 2018.06.20
595 한국 고대사의 기본 사료 최병식 1086 2018.06.15
594 북방 유라시아 제사 고고학의 현황과 과제 최병식 1132 2018.06.05
593 백제 도성 연구 서경문화사 1090 2018.05.31
592 안라(아라가야)의 위상과 국제관계 권혁재 970 2018.05.31
591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형성과정 연구 최병식 1129 2018.05.08
590 무기형 석기의 비교 고고학 서경문화사 1374 2018.05.03
589 고고 유물의 관찰과 유구 조사방법 사회평론 아카데미 2115 2018.04.18
588 한국고대사와 백제 고고학 서경문화사 1517 2018.04.05
587 한국고대사의 재인식 서경문화사 1140 2018.04.05
586 인류의 기원과 진화 (제2판) 사회평론 아카데미 1730 2018.03.29
585 『전남지역 고대문화의 양상과 교류』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005 2018.03.27
584 『영산강유역 마한제국과 낙랑•대방•왜』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230 2018.03.27
583 고구려 복식 문양의 도안 연구 권혁재 1198 2018.03.08
582 『타제석기의 제작과 이해』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488 2018.03.06
581 『고대 한반도 중부지역의 제철기술 연구』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310 2018.03.06
580 『러시아 극동지역의 역사』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894 2018.03.06
579 목간과 문자 연구 18 최병식 899 2018.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