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세트)>

2019-01-21 12:25:30
조회 1407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세트)




■ 책 개요
    ▪ 제목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세트)
    ▪ 저자  : 정호섭 외 10인
    ▪ 권수 및 판형 : 6권 / 210X 300mm
    ▪ 발행일 및 가격 : 2018년 12월 28일 / 가격 185,000원
    ▪ ISBN 978-89-6246-377-4 94910 (원문 세트)
       ISBN 978-89-6246-381-1 94910 (번역문 세트)
    ▪ 주류성출판사
      02-3481-1024 (대표전화) / 02-3482-0656 (FAX)
      e-mail : juluesung@daum.net / 홈페이지 : www.juluesung.co.kr
      문의 : 이준(010-3899-0688) / 한상현(010-5572-1662)


■ 책소개

韓·中·日 3국의 한국 고대사 관련 사료를 연대별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사료집

이 사료집은 한국고대사 전체를 시간적 범위로 하여 한·중·일 삼국의 한국고대사 관련 자료를 총망라하여 집성한 것이다. 중국의 ‘자치통감’이나 조선의 ‘동국통감’처럼 한국 고대사와 관련한 사료를 정리한 일종의 현대판 ‘한국고대통감’이라 할 수 있다.
한국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을 위해 자료조사 및 수집, 원문 교감 및 판본 확인, 사료배열, 번역 및 주해, 사료 종합의 5단계 과정을 거쳐 작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매뉴얼에 따라 연대기적으로 사료를 정리하였고, 상호비교를 통해 인용사료들의 출전과 전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료간의 관계와 상이점 등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연대와 월일이 불분명한 사료를 주해하여 사료의 객관화를 이루었으며, 번역되어 있지 않던 중국 정사류와 유사류 등을 한글로 번역하여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다만 편년이 불가능한 비연대기 사료들은 여기에 수록하지 않았다.
동아시아 사료를 연대기적으로 정리하여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는 사료집이 나왔다는 측면에서 나름 의미가 있을 수도 있겠다. 특히 사료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을 수도 있는 학문 후속세대에게는 이 사료집이 공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사료에 접근할 때 그 사료가 어떤 전거에서 시작된 것인지, 그것이 어떻게 변형되어 수록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 구성 (총 6권)

1권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번역문 B.C. 2333년 ~ 642년)
2권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번역문 643년 ~ 760년)
3권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번역문 761년 ~ 936년)
1권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원문 B.C. 2333년 ~ 642년)
2권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원문 643년 ~ 760년)
3권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원문 761년 ~ 936년)


■ 지은이

연구책임자 정호섭(한성대, 한국고대사)
전임연구원 채미하(경희대, 한국고대사)
           박승범(단국대, 한국고대사)
           정동준(성균관대, 한국고대사)
공동연구원 박현숙(고려대, 한국고대사)
           박찬흥(국회도서관, 한국고대사)
           김종복(안동대, 한국고대사)
           박준형(해군사관학교, 한국고대사)
           박근칠(한성대, 중국중세사)
           최재영(한림대, 중국중세사)
           이재석(한성대, 일본고대사)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78개(11/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578 『중국 고고학 동향』발간 및 메일 서비스 이용 신청 안내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974 2018.02.28
577 『고구려•발해의 고분 문화 – 증보편 – 』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136 2018.02.26
576 『 발해의 고분 문화 III 』 안내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061 2018.02.26
575 『 마한‧백제의 분묘 문화 IV(증보) 편』2권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243 2018.02.06
574 고신라 금석문과 목간 (古新羅 金石文과 木簡) 최병식 980 2018.01.24
573 천문고고통론(天文考古通論) 최병식 1141 2018.01.17
572 일본고고학사와 식민지고고학을 만나다 서경문화사 1174 2018.01.17
571 한국 고대 도교 서경문화사 1097 2018.01.17
570 계간 『한국의 고고학』 38호 최병식 1206 2018.01.08
569 가야인의 불교와 사상 최병식 884 2018.01.08
568 박물관이란 무엇인가? - 이론과 실제 최병식 1245 2017.12.29
567 동북아시아에서 본 마한토기 권혁재 1304 2017.11.21
566 『흉노』 신간 안내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226 2017.11.01
565 『한국 신석기시대 고고학사』 안내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249 2017.11.01
564 동북사강(東北史綱) (경희 고대사 · 고고학 연구총서 3) 최병식 1116 2017.10.19
563 러시아 연해주와 극동의 선사시대 서경문화사 1212 2017.10.18
562 ‘중국 고고학―송․원․명’ 신간안내 관리자 1239 2017.09.20
561 ‘중국 고고학―진․한’ 신간안내 관리자 1497 2017.09.20
560 계간 한국의 고고학 37호 최병식 1069 2017.09.20
559 경주에서 찾은 신라의 불국토 권혁재 1000 2017.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