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일본 소재 한국 고대 문자자료

2023-05-09 15:30:35
조회 163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일본 국보 2호에 찍힌 '사마'(무령왕) 명문…누구를 위해 만든 거울일까
                                   - 경향신문 (khan.co.kr)




도서 개요

 - 제목 : 일본 소재 한국 고대 문자자료

- 지은이 : 박남수

- 판형 및 페이지 : 150 X 220mm / 588

- 발행일 및 가격 : 2023420/ 가격 35,000

- ISBN : 978-89-6246-503-7 (93910)

- 주류성출판사

 

도서 소개

"일본에 소재한 문자자료 연구를 통해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는다

본서에서 다루는 한국 고대 문자자료들은 모두 일본에 소재함으로 인하여 일제 관학자들의 맥을 잇는 일본 학자들이 연구를 주도하였고, 우리 학계에서 이에 대한 반론을 펼쳤다고는 하지만 수동적인 것이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는 고대 한일 양국 간의 교류에 대한 역사상을 왜곡하고 양국의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에 투영됨으로써, 양국 후세대들의 역사관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필자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752년 일본 관료들이 작성한 매신라물해에 대해 연구하였던 것은 고대 동아시아 교역사 연구자로서 느꼈던 책임감 때문이었다. 필자는 연구 과정에서 우리와 관련된 자료 특히 일본에 소재한 문자자료에 대하여 우리 학계의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절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본서를 기획하고 상재한 이유이기도 하다.

 

 

출판사 서평

"일본은 교류 과정에서 수용한 소중화주의 이념으로 일본서기를 왜곡

고대 일본은 한반도를 통하여 우수한 대륙문화를 받아들여 정치·문화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백제와의 교류를 통하여 정치제도, 불교, 학문, 기술 등을 받아들임으로써 아스카(飛鳥)문화와 다이카(大化) 개신을 완성하였고, 통일신라와 교류함으로써 하쿠호(白鳳)문화와 덴표(天平)문화를 꽃피웠다. 그러나 교류 과정에서 수용한 소중화주의 이념으로 말미암아 일본서기의 왜곡을 불러왔고, 그것은 일본의 신라정벌론으로 이어져 신라-일본간의 정치적인 갈등을 빚었다. 결국 일본은 견신라사와 견당사를 폐지하고 외부 세계와 문을 닫음으로써 국풍문화에 몰입하였다. 일본은 국풍문화로써 가나를 만들고 문예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면서 봉건사회에 접어들었다. 이로써 아시아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중세 봉건사회를 경유하였다는 탈아론(脫亞論)의 논리적 근거로 내세우고 있지만, 사실 일본이 외부 국가와 문호를 굳게 닫는 쇄국과 내부의 치열한 전쟁을 거쳐 임진왜란이라는 침략 전쟁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1853년 미국의 페리제독이 이끄는 흑선에 의해 강제 개국한 일본은 비로소 근대화의 길에 들어설 수 있었고, 마침내 제국주의에 편승함으로써 또다시 대륙침략을 감행하였다. 비록 조선을 식민지화하였다고는 하지만 마침내 미국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폭 투하로 패망에 이르렀다. 일본의 패망은 쇄국과 침략 전쟁, 그리고 제국주의의 야욕이 빚은 참사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오늘날 한일 역사관은 일제 강점기 일본 관학자들에 의한 일선동조론이나 임나일본부설’, ‘식민지근대화론등의 프레임에 의해 만들어지고 포장된 것이 적지 않다. 저들 일제 관학자들은 고대 일본을 소중화적 이데올로기로 무장하여 고립시킨 계기로 작용한 일본서기를 바탕으로, 광개토대왕릉비로 대표되는 각종 사료를 왜곡하였다. 더욱이 일본에 소재한 각종 명문 자료의 국적뿐만 아니라 그 명칭까지도 곡해함으로써 굴절된 고대 한일 역사상을 만들어냈다. 이는 단순히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는데 그치는 것뿐만 아니라, 실물 자료들의 명칭과 성격까지 말살 내지 자국주의 중심으로 호도한 데서 드러난다.

 

본서에서 다루는 백제 동성왕 인물화상경을 일본에서는 스다하치만신사 인물화상경(the Suda Hachiman Shrine Mirror)’으로 부르면서 중국 동경을 모방하여 일본에서 제작한 명문이 있는 일본의 가장 오래된 동경이라 하여 일본의 국보(고고 2)로 지정하였다. 그러나 이는 백제 동성왕 때에 백제가 만든 동경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 명명한 명칭에서 백제와 관련될 만한 티끌만한 실마리도 찾을 수 없다. 또한 신라 내성 모접문서는 신라 문서임에 분명함에도 사하리가반부속문서라고 일컬음로써 신라와의 관련성을 전혀 살필 수 없다. 사실 칠지도의 경우도 일본서기 기사를 바탕으로 백제가 일본에 헌상한 것이라는 인식이 우세한 형편이다. 신라모전첩포기신라종에 있어서도 그 소장처만을 밝히고 있을 뿐, 그 공식 명칭에서 신라와 관련된 어떠한 것도 찾을 수 없다. 상대적으로 그 명칭을 분명히 하고 있는 신라촌락문서신라 집사성첩문의 경우에는 한일 역사학계가 여전히 학문적 논쟁을 지속하고 있는 부문이다.

 

지은이

 

박남수(朴南守)

 

1957년 해남 출생

현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전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

전 국사편찬위원회 연구편찬정보화실장

전 동국사학회·신라사학회 회장

 

주요 논저

신라수공업사, 신서원, 1996.

한국 고대의 동아시아 교역사, 주류성, 2011.

신라 화백제도와 화랑도, 주류성, 2013.

한국 고대, 목면과 향료의 바닷길, 경인문화사, 2016.

 

 

목차

 

[ 책을 펴내며 ]

 

. 백제의 칠지도와 동성왕 인물화상경

1. 백제 전지왕 奉元四年명 칠지도와 그 사상적 배경

1. 머리말

2. 연호 奉元과 칠지도명의 석문

(1) ‘奉元四年十一月十六日의 석독

(2) 명문의 구성과 석문

3. 길상구설의 문제와 전지왕의 연호 제정

4. 칠지도 제작의 사상적 배경

(1) ‘周 正月 冬至丙午 正陽

(2) 칠지도 도상에 투영된 奇生의 원리

(3) ‘百練銕七支刀와 전륜성왕의 이념

5. 맺음말

 

2. 백제 동성왕 인물화상경(‘隅田八幡鏡’)과 사마

1. 머리말

2. 명문의 석독과 석문

(1) 명문의 석독

(2) 명문의 문장 구성과 석문

3. 동경 제작의 주체와 동경의 성격

(1) 기년의 표기방식과 제작 주체

(2) 장봉(長奉)의 동(, ) 200()와 그 성격

4. 동성왕 13(491) 동경의 제작과 그 배경

5. 동경의 대왕-사마와 웅진기 백제 왕실 계보의 복원

6. 맺음말

 

. 신라촌락문서와 촌락사회

1. 신라촌락문서의 연구 현황과 석독

1. 머리말

2. 신라촌락문서의 연구현황과 쟁점

3. 신라촌락문서의 추기(追記)와 석독

4. 신라촌락문서의 이두 사용례와 어법

5. 맺음말

 

2. 신라촌락문서의 인구통계와 그 작성 시기

1. 머리말

2. 공연과 계연, 9등연

(1) 공연

(2) 계연과 9등연

3. 문서의 인구 통계와 그 작성과정

(1) 문서의 구조와 인구통계의 정합성

(2) 문서의 작성 과정

4. 문서의 작성 시기

(1) 695년설의 몇 가지 문제

(2) 이두의 용법으로 본 문서의 작성 시기

5. 맺음말

 

3. 신라촌락문서의 연령구분과 촌락사회

1. 머리말

2. 연령구분과 제()()

3. 공연의 여자(余子)법사(法私)

(1) 여자(余子)

(2) 법사(法私)

4. 왕실 직속촌의 운영

5. 헌덕왕대 촌락사회의 인구변동과 동요

6. 맺음말

 

4신라촌락문서의 우마 사육과 전답 및 수목 경영

1. 머리말

2. 촌락의 우마(牛馬) 사육

3. 기촌관모답(其村官謨畓), 내시령답(內視令畓)과 촌주위답(村主位畓연수유전답(烟受有田 畓)의 성격

(1) 기촌관모답(其村官謨畓)

(2) 내시령답(內視令畓)

(3) 연수유전답(烟受有田畓)과 촌주위답(村主位畓)

4. 마전(麻田)의 경작과 수목(樹木)의 재배

5. 맺음말

 

5. 신라의 토지제도 변화와 촌락민의 생활

1. 머리말

2. 문무관료전(文武官僚田)

3. 녹읍(祿邑)의 폐지와 세조(歲租)

4. 적성연사법(赤城佃舍法)과 정전(丁田연수유전답(烟受有田畓)

5. 사전(私田)의 발생과 촌락민의 생활

 

. 신라내성모접문서와 모전첩포기

1. 신라내성모접문서(‘사하리가반부속문서’)와 신라 내성의 마목장 운영

1. 머리말

2. 본 문서의 연구 현황과 쟁점

3. 신라내성모접문서의 마소내(馬所內)와 마모미(馬毛尾)모접(毛接)

(1) 마소내(馬所內)

(2) 마모미(馬毛尾)의 공납(貢納)

 (3) 모접(毛接)

4. 신라내성모접문서의 마료초가와 그 제작시기

(1) 파천촌(巴川村)의 미()대두(大豆) 징납과 마료(馬料)

(2) 신라내성모접문서의 축()()과 초가(草價)

(3) 신라내성모접문서의 제작시기

5. 9세기 전반 신라 내성(內省)의 마정(馬政)

6. 맺음말

 

2. 신라모전첩포기와 신라물

1. 머리말

2. 신라모전첩포기(新羅毛氈貼布記)

3. 매신라물해(買新羅物解)의 신라물

4. 정창원(쇼소인) 신라물의 전래 시기와 대일 교역

5. 맺음말

 

. 신라 집사성첩과 신라종

1. 신라 흥덕왕대 집사성첩(執事省牒)과 대일(對日) 관계

1. 머리말

2. 기삼진(紀三津) 방환(放還)의 전말과 집사성첩문(執事省牒文)

3. 집사성첩식(執事省牒式)과 문서 행정

4. 신라의 대일정책과 집사성첩의 성격

 

2. 신라 중하대 신라종과 주종불사(鑄鐘佛事)

1. 머리말

2. 신라종과 종명(鐘銘)의 석독

(1) 상원사동종(上院寺銅鐘) (2) 무진사종(无盡寺鐘) (3) 선림원종(禪林院鍾)

(4) 청주 연지사종(菁州 蓮池寺鐘) (5) 규흥사종(竅興寺鐘) (6) 송산촌대사종(松山村大寺鐘)

3. 주종불사(鑄鐘佛事)의 변화와 지방사회

4. 주종불사(鑄鐘佛事)의 사상적 배경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64개(11/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564 동북사강(東北史綱) (경희 고대사 · 고고학 연구총서 3) 최병식 888 2017.10.19
563 러시아 연해주와 극동의 선사시대 서경문화사 913 2017.10.18
562 ‘중국 고고학―송․원․명’ 신간안내 관리자 993 2017.09.20
561 ‘중국 고고학―진․한’ 신간안내 관리자 1191 2017.09.20
560 계간 한국의 고고학 37호 최병식 781 2017.09.20
559 경주에서 찾은 신라의 불국토 권혁재 812 2017.09.04
558 삼국유사 요모조모 권혁재 718 2017.09.04
557 마한 · 백제토기 연구 성과와 과제 권혁재 1032 2017.09.04
556 가야사 새로 읽기 최병식 790 2017.08.24
555 『신석기시대 도구론』 소개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738 2017.08.21
554 ‘중국고대사’ 신간안내 관리자 917 2017.08.16
553 목간과 문자연구 17 최병식 594 2017.08.14
552 『그가 있었기에 – 최순우를 그리면서』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676 2017.07.27
551 청동기시대의 고고학(1~5) 서경문화사 1188 2017.06.27
550 계간 한국의 고고학 36호 최병식 901 2017.06.09
549 석기고고학 관리자 1185 2017.05.29
548 고려 대몽항쟁과 축성 서경문화사 779 2017.05.26
547 고구려 음식문화사 권혁재 928 2017.05.02
546 신화 속에 깃든 백제의 역사 권혁재 775 2017.04.21
545 동아시아와 백제토기(일본어) 土田 純子(츠치다준코) 775 2017.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