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백제토기의 생산유통과 국제성

2019-10-30 09:47:14
조회 1147


백제토기의 생산유통과 국제성


김종만 지음


ISBN : 978-89-6062-217-3-93900

판형 : 162X234 신국판

쪽수 : 412쪽

가격 : 29,000원




백제토기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서가 출간되었다.

서경문화사에서 펴낸 백제토기의 생산유통과 국제성은 국립공주박물관장과 국립제주박물관장을 지낸 김종만이 30여 년간 국립박물관에 근무하면서 참여한 다양한 발굴조사와 소장품, 그리고 최근의 연구성과들을 총망라하여 여러 각도에서 백제토기에 대한 이해를 시도한 것이다.

책은 모두 8장으로 구성되었는데, 백제토기에 대한 기존의 연구시각과 쟁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으며, 마한 단계에서부터 백제토기가 등장하고 발전하는 과정에 대한 검토, 백제토기의 기종과 기능에 의한 분류, 백제토기의 제작기술과 생산유통의 체계에 대해 원료의 획득과 태토의 선정과정, 성형과 제작과정에 대한 복원, 가마에서의 생산과 수급관계를 통한 유통, 규격화된 백제토기의 분배과정, 백제토기에 나타난 문자와 기호를 통해 그 의미와 성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해 보았으며, 백제토기 중 23개 기종을 선정하여 명칭 정의, 출현 계기, 형식, 시기별 변천과정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일부 기종에 대해서는 백제 이후의 변천과정에 대해서도 연구를 진행하여 백제토기 전통의 계승과정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그리고 삼국시대 문화를 선도했던 백제가 국제적인 감각을 갖고 개방적으로 문화를 수용하고 주변 인접국에 기술을 전파하는 과정도 다루었다. 백제토기의 전파과정을 통해 백제가(百濟家)로의 통합과 흡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 것도 흥미롭다.

백제토기의 생산유통과 국제성은 지금까지 발간된 연구서에서 다룬 토기에 대한 기종이나 형식보다는 토기가 함의하고 있는 기술체계와 사회상을 복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 기술한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백제복합사회상을 복원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머리말

 

연구 시각과 쟁점

1. 종합綜合 연구

2. 지역단위地域單位 연구

3. 기종별 연구

4. 용도·기술유형·문양별 연구

5. 기타

 

등장과 발전

1. 마한토기

2. 백제토기의 성립과 발전

 

기종과 용도

1. 기종의 분류

2. 기능에 의한 용도 분류

 

제작기술과 생산유통 체계

1. 원료의 획득과 태토胎土

2. 성형成形과 제작과정 복원

3. 생산과 유통

4. 규격토기의 제작과 분배

5. 녹유기의 생산

6. 토기에 나타난 명문銘文·기호記號의 성격

7. 문양文樣의 의미

 

형식과 편년

1. 시기 구분

2. 주요기종의 형식과 편년

 

국제성과 기술의 전파

1. 백제토기와 중국

2. 백제토기와 고구려

3. 백제토기와 가야·신라

4. 백제토기와 일본

 

맺음말

 

참고문헌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78개(4/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718 통일신라 건축유적의 치석과 결구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493 2022.09.27
717 한국고대와전명문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498 2022.09.27
716 목간으로 보는 일본 고대인의 일상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75 2022.09.22
715 [고고학 이론 껍질 깨기] 소개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489 2022.09.01
714 한국의 고고학 56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616 2022.08.02
713 한신고고학 30주년 기념 논총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483 2022.08.01
712 한국의 고고학 55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42 2022.05.04
711 신라의 성장 과정과 복식사여체제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580 2022.04.29
710 충주 고구려비 어제와 오늘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527 2022.04.29
709 『동북아시아 현생인류의 확산과 교류』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605 2022.03.29
708 『通說의 탄생-한국 상고사의 주류학설에 대한 발전적 검토-』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637 2022.03.18
707 박물관 큐레이터로 살다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608 2022.03.04
706 일본목간총람(日本木簡總覽)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04 2022.03.04
705 중국목간총람(中國木簡總覽)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444 2022.03.04
704 한국목간총람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711 2022.03.04
703 계간 한국의 고고학 54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651 2022.02.25
702 경산 소월리 목간의 종합적 검토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68 2022.02.25
701 동아시아 논어의 전파와 계양산성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68 2022.02.25
700 『한국식 청동무기의 동북아지역 전개』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637 2022.01.06
699 『연해주 선사고고학 개론』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 726 2021.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