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세트)>

2019-01-21 12:25:30
조회 1398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세트)




■ 책 개요
    ▪ 제목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세트)
    ▪ 저자  : 정호섭 외 10인
    ▪ 권수 및 판형 : 6권 / 210X 300mm
    ▪ 발행일 및 가격 : 2018년 12월 28일 / 가격 185,000원
    ▪ ISBN 978-89-6246-377-4 94910 (원문 세트)
       ISBN 978-89-6246-381-1 94910 (번역문 세트)
    ▪ 주류성출판사
      02-3481-1024 (대표전화) / 02-3482-0656 (FAX)
      e-mail : juluesung@daum.net / 홈페이지 : www.juluesung.co.kr
      문의 : 이준(010-3899-0688) / 한상현(010-5572-1662)


■ 책소개

韓·中·日 3국의 한국 고대사 관련 사료를 연대별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사료집

이 사료집은 한국고대사 전체를 시간적 범위로 하여 한·중·일 삼국의 한국고대사 관련 자료를 총망라하여 집성한 것이다. 중국의 ‘자치통감’이나 조선의 ‘동국통감’처럼 한국 고대사와 관련한 사료를 정리한 일종의 현대판 ‘한국고대통감’이라 할 수 있다.
한국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을 위해 자료조사 및 수집, 원문 교감 및 판본 확인, 사료배열, 번역 및 주해, 사료 종합의 5단계 과정을 거쳐 작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매뉴얼에 따라 연대기적으로 사료를 정리하였고, 상호비교를 통해 인용사료들의 출전과 전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료간의 관계와 상이점 등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연대와 월일이 불분명한 사료를 주해하여 사료의 객관화를 이루었으며, 번역되어 있지 않던 중국 정사류와 유사류 등을 한글로 번역하여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다만 편년이 불가능한 비연대기 사료들은 여기에 수록하지 않았다.
동아시아 사료를 연대기적으로 정리하여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는 사료집이 나왔다는 측면에서 나름 의미가 있을 수도 있겠다. 특히 사료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을 수도 있는 학문 후속세대에게는 이 사료집이 공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사료에 접근할 때 그 사료가 어떤 전거에서 시작된 것인지, 그것이 어떻게 변형되어 수록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 구성 (총 6권)

1권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번역문 B.C. 2333년 ~ 642년)
2권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번역문 643년 ~ 760년)
3권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번역문 761년 ~ 936년)
1권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원문 B.C. 2333년 ~ 642년)
2권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원문 643년 ~ 760년)
3권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원문 761년 ~ 936년)


■ 지은이

연구책임자 정호섭(한성대, 한국고대사)
전임연구원 채미하(경희대, 한국고대사)
           박승범(단국대, 한국고대사)
           정동준(성균관대, 한국고대사)
공동연구원 박현숙(고려대, 한국고대사)
           박찬흥(국회도서관, 한국고대사)
           김종복(안동대, 한국고대사)
           박준형(해군사관학교, 한국고대사)
           박근칠(한성대, 중국중세사)
           최재영(한림대, 중국중세사)
           이재석(한성대, 일본고대사)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78개(9/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618 <박물관학의 기초-진화하는 지식 시스템> 관리자 1506 2019.01.21
617 『중국 동북지방의 고고문화』 소개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627 2019.01.15
616 『고고학적 기록 이해하기』 소개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245 2019.01.03
615 고려시대 역사서의 신이성(神異性)과 삼국유사 사진 첨부파일 역사산책 1725 2018.11.16
614 호서고고학회 『초기도시의 고고학』 도록 발간 첨부파일 관리자 1413 2018.11.08
613 『한국고고학전문용어집』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605 2018.11.07
612 한국 대중고고학 개론 사진 첨부파일 최병식 1971 2018.11.01
611 가야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사진 첨부파일 최병식 1967 2018.11.01
610 고구려 - 수 전쟁 사진 첨부파일 최병식 1074 2018.11.01
609 『마한고고학개론』 소개 사진 첨부파일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469 2018.10.31
608 신라 삼국통일 연구 권혁재 1271 2018.08.29
607 계간 한국의 고고학 40호 최병식 1103 2018.08.24
606 울산의 고분과 고대 사회 서경문화사 1029 2018.08.23
605 목간과 문자 연구 19 (한국목간학회 총서) 최병식 1068 2018.08.22
604 중국 출토문헌의 새로운 세계 최병식 1482 2018.08.07
603 이슈와 쟁점으로 읽는 한국고대사 역사산책 2390 2018.08.01
602 삼국통일 어떻게 이루어졌나 권혁재 1307 2018.07.27
601 한국과 동아시아 동궁 연구 역사산책 1022 2018.07.19
600 문화유산학 개론 사회평론 아카데미 1217 2018.07.12
599 『한성백제의 성장』소개 진인진(기증처-업무교류) 1123 2018.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