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로고

단행본

러시아 연해주의 성(城) 유적과 고대 교통로

2019-07-17 10:23:28
조회 1382


러시아 연해주의 성(城) 유적과 고대 교통로


올가 바실레브나 디야코바 저

김재윤 역(부산대학교 교수)


ISBN : 978-89-6062-216-6-93000

판형 : 152X224 신국판

쪽수 : 364쪽

가격 : 24,000원



본고는 디야코바(Ольга Васильевна Дьякова) 박사가 작성한 글(О. В. Дьяква 2009)이다. 러시아 연해주에서 백두대간의 연장선상에 있는 시호테알린(Сихотэ-Алиня) 산맥의 영동(嶺東)지역에서도 북쪽에 위치한 청동기시대부터 발해, 여진시대까지 존재한 56기의 성 유적을 소개하고, 고대의 해안로와 뱃길(수로)이 있던 교통로로서의 역할이 제시되었다.

청동기시대 성은 리도프카 문화의 토벽만 남은 것이 대부분이며, 기원전 1천년기 후반에 축조된 것으로 보고 있다. 매우 간단한 시설이며, 크기, 형태, 성벽의 축조방법이 각양각색이고 자연입지를 그대로 살려서 축조되었다. 마을을 방어하고 교통로의 가능성을 디야코바 박사는 상정하고 있다.

청동기시대 외의 45기 유적은 말갈문화 및 발해, 동하국 시기의 것으로 보고 있다. 유적은 입지에 따라서 산지성, 평지성, 곶 성으로 크게 분류하고 유적의 특징에 따라서 유적을 유형화해서 각 성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발해의 유적 가운데 석성이 있는데, 시미리코프 클류치(Шмырков Ключ) , 자볼로첸나야(Заболоченная) , 클류치(Ключ), 바시코프스코예(Васьосвске), 세셀렙스코예(Сеселевское) , 야슈(Яшу) 성 등 5기를 고구려 기술로 축조된 것으로 소개되었다. 특히 직접 디야코바 박사가 조사한 시미리코프 클류치 성, 자볼레첸나야 성, 클류치 성에는 산 정상부까지 비탈길을 따라서 꼬불꼬불한 길이 나 있고, 산의 정상부에 납작한 돌로 성벽을 들여 쌓은 는 점 등이 고구려 전통의 축성기술일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되었다.

하지만 유적의 시기 및 위치와 관련해서 복잡한 문제도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고구려 축성기술로 제작되었다는 성은 이 책에서 소개된 특징으로 단정 지을 수 있는 문제인지도 해결되어야 한다. 해제에서 언급했듯이 연해주에는 고구려 성이 확인된 적이 없다. 그러나 연해주와 인접한 목단강 유역에서 발해시기의 고구려 전통의 산성 유적이 소개된 적은 있지만, 간략해서 쉽게 비교하기 어렵다. 반면에 동하국(1215~1234)으로 비정된 성은 과연 그때 지어진 것인지도 좀 더 꼼꼼한 조사가 필요하다. 동하국은 20여 년간 존재한 국가인데, 쿠날레이스코예 성과 같은 거대한 성이 이 국가에서 처음 축조된 것인지를 설명하는 것은 쉽지 않다. 성의 초축연대를 알 기 위해서는 처음 축조된 구지표, 성벽의 기저부를 조사해야 만 알 수 있으나, 동하국으로 비정된 성 유적에서는 이에 대한 아쉬운 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지역에서 발해유적이 확인된다면 영역문제와도 관련이 있는데, 이는 그간 러시아 학자들이 생각한 발해의 영역문제와도 차이가 있다.

그러나 연해주의 동북지역 동해안가 성 유적을 통해서 발해, 여진시대는 물론 보다 더 오래된 기원전 일천년기 중반 청동기시대부터 해안가를 따라서 인간의 이동 흔적인 교통로로 볼 수 있다는 점은 흥미로운 연구성과이다. 뿐만 아니라 연해주의 동북 해안가에서 발해성 및 고구려 축성기술로 지어진 석성의 존재가 러시아의 대표적인 말갈 및 발해 연구자를 통해서 발표되었다는 점에서 한국학계에 살펴보고, 비판하고 인지 할 필요가 있다.






머리말
제1장 러시아 연해주 발해·여진시대의 성(城)연구사
제2장 러시아 연해주 동북지역의 성(城)

제3장 연해주 동북지역 성(城)의 특징
제4장 연해주 동북지역의 고대 교통로

제5장 연해주 동북지역 성(城) 유적과 고고학적 함의: 교통로

맺음말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78개(1/39페이지)
 
단행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778 켈트, 게르만, 스카타이를 넘어서: 유럽의 철기시대 고고학과 정체성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6 2025.06.27
777 한국의 고고학 67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29 2025.06.27
776 백제 국가제사 연구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64 2025.06.11
775 대가야의 성장과 금공문화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50 2025.04.23
774 일본 고고박물관 개론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52 2025.04.23
773 무덤 고분, 영생을 꿈꾸다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42 2025.04.23
772 발굴과 사색 청동기시대 사진 첨부파일 서경문화사 193 2025.03.20
771 한국의 고고학 66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222 2025.02.17
770 한국의 고고학 65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298 2024.11.19
769 안즈민 일기 - 1963~65년 조중고고발굴대의 고조선 연구와 역사 분쟁...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40 2024.11.19
768 우리 시대의 가야사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439 2024.10.24
767 한국의 고고학 64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48 2024.08.08
766 평양 대동강면 무덤떼의 축조 집단 연구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399 2024.07.12
765 카자흐스탄과 한국, 5천년의 파노라마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52 2024.06.28
764 쟁점, 한국 고대사 그 해답을 찾다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495 2024.05.23
763 한국의 고고학 63호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615 2024.04.19
762 고고학 첫걸음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97 2024.03.08
761 자연환경 그리고 신라의 발생과 붕괴 사진 첨부파일 주류성출판사 587 2024.02.14
760 [신간] 처음 읽는 한국고고학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791 2024.02.08
759 화학고고학 사진 첨부파일 사회평론 아카데미 508 2024.02.08